분야 : 언어 총 709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언어
파찰음 / 破擦音 [언어/언어/문자]
두 조음기관(調音器官)을 폐쇄시켜 공기를 압축하였다가 공기를 일시에 파열시키지 않고 천천히 내보내면서 마찰시키는 언어음. 현대국어의 파찰음으로는 /ㅈ ㅉ ㅊ/ 세 가지뿐이다. 이들은 혓바닥의 일부분을 경구개(硬口蓋)에 대고 공기를 폐쇄시켰다가 혓바닥을 떼면서 마찰시켜
팔세아 / 八歲兒 [언어/언어/문자]
조선시대에 청학역관(淸學譯官)을 양성하기 위하여 편찬한 만주어 교재. 1책. 목판본. 초간본은 ≪삼역총해 三譯總解≫·≪청어노걸대 淸語老乞大≫·≪소아론 小兒論≫과 함께 같은 때에 만들어졌다. ≪팔세아≫는 ≪소아론≫과 함께 1777년(정조 1)에 검찰관 김진하(金振夏)와
평서문 / 平敍文 [언어/언어/문자]
화자가 사건의 내용을 평범하게 진술하는 문장. 평서문은 평서형 어미가 결합하여 성립된다. 진술은 청자에 대한 화자의 일방적 진술과 청자의 질문에 대한 화자의 응답 진술로 구분할 수 있다. 평서문은 하자와 청자가 얼굴을 마주 대고 이야기를 주고받는 상관적 장면과 매체를
평서법 / 平敍法 [언어/언어/문자]
문체법의 하나.문체법을 문장서법으로 사용하는 학자들이 흔히 쓰는 용어이다. 평서법에서 가장 기본적인 것은 해라체의 직설평서법어미 ‘―다’이다. ‘―다’는 대화 등의 상관적 장면뿐만 아니라 지문 등의 단독적 장면에서도 쓰인다. “지금 학교 간다.”라는 말을 누가 하였다고
평안도방언 / 平安道方言 [언어/언어/문자]
평안남북도에서 쓰이는 방언. 평안도는 낭림산맥을 경계로 함경도와 접해 있어 평안도방언과 함경도방언은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 낭림산맥이 시작되는 압록강 유역의 평안북도 후창과 산맥의 남쪽에 위치한 평안남도 양덕 등은 함경도방언의 특징을 일부 가지고 있다. 반면, 평안남도
평음 / 平音 [언어/언어/문자]
국어의 장애음 중 공기의 방해 정도나 근육의 긴장 등이 약하여 경음이나 격음에 대비되는 소리. 많은 언어들은 장애음을 하위 구분할 때 성대의 울림을 활용하여 ‘유성음’과 ‘무성음’으로 나누는 반면에, 국어는 성대의 울림이 아닌 다른 음성적 특징에 기반하여 ‘평음:경음: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 平昌上院寺重創勸善文 [언어/언어/문자]
1464년(세조 10) 혜각존자(慧覺尊者) 신미(信眉)가 학열(學悅)·학조(學祖) 등과 함께 세조를 위하여 오대산 상원사를 중수할 때 지은 글. 국보 제292호. 2첩(帖). 필사본. 세조가 중수의 소식을 듣고 물자를 보내면서 지은 글인 상원사 어첩(御牒)과 함께 첩장
폐쇄음 / 閉鎖音 [언어/언어/문자]
허파에서 나온 공기의 흐름이 입술, 잇몸, 연구개(軟口蓋:물렁입천장) 등의 위치에서 완전히 막히면서 나는 언어음. 파열음은 ‘폐쇄-지속-파열’의 과정을 거치면서 소리가 나는 자음을 말하지만, 파열음 등의 자음은 음절말 위치에서 ‘폐쇄-지속’의 과정만 일어나고, ‘파열’
포유문 / 包有文 [언어/언어/문자]
문장 종류의 하나.둘 이상의 절(마디)이 상·하의 주종관계로 구성되어 있는 복문(겹월)이다. 분포상 종속절의 위치는 단문이나 절 안에서의 품사와 다름이 없으며, 기능상으로도 품사들과 같이 종속절은 주절의 주요성분이 되거나 부수성분이 된다. 기능에 따라서 포유문의 종속절
표민대화 / 漂民對話 [언어/언어/문자]
19세기 중엽 일본 사쓰마(蕯摩)나에시로가와(苗代川)의 전어관(傳語官)과 전라도 출신 표류민과의 대화를 기록한 책. 상권의 전반부에는 전라도 순천 어부 11명과 일본 전어관의 문답 내용이 수록되어 있고, 상권의 후반부에는 전라도 해남 상인 16명과 일본 전어관의 문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