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언어 총 709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언어
큰사전 [언어/언어/문자]
한글학회가 엮은 종합적인 대규모 국어사전. 순우리말·한자말·외래어·관용어·사투리·은어(변말)·곁말을 비롯하여 고유명사·전문어·제도어·고어(옛말)·이두 등 총 16만 4125어휘를 수집하여 국어로 뜻풀이하였다. 이 책은 1929년 10월 31일 조선어사전편찬회가 조직되어
탄설음 / 彈舌音 [언어/언어/문자]
조음방식(調音方式)에 의한 자음 분류의 하나. 하나의 조음기관을 다른 조음기관에 단 한 번, 빠르게 대었다가 떼는 동작으로 만들어지는 자음을 가리킨다. 현대 한국어의 ‘노래’처럼 음절초 위치에서 발음되는 /ㄹ/은 탄설음 중 치음(齒音) 혹은 치조음(齒槽音)인 [ɾ]에
태교신기 / 胎敎新記 [언어/언어/문자]
사주당 이씨(師朱堂李氏, 1739∼1821)가 1800년(정조 24)에 아기를 가진 여자들을 위하여 한문으로 글을 짓고, 아들인 유희(柳僖)가 음의(音義)와 언해를 붙여 1801년(순조 1)에 이루어진 책. 1821년(순조 21)에 쓴 신작(申綽)의 서문과, 1801년
태상감응편도설언해 / 太上感應篇圖說諺解 [언어/언어/문자]
1852년(철종 3)에 중국의 도교경전 『태상감응편도설』을 한글로 번역한 책. 1655년에 명나라 허남증(許纜曾)이 편찬한 7책의 『태상감응편도설』을 최성환(崔瑆煥)이 1848년(헌종 14)에 다시 편집하여 한문본 『태상감응편도설』을 간행하고, 1852년에 다시 만(滿
통사론 / 統辭論 [언어/언어/문자]
자립적 언어형식이 하나 이상 모여서 더 큰 자립적 언어형식을 이룰 때, 그 큰 언어형식을 ‘통사적 구성’이라 하며, 이러한 통사적 구성의 됨됨이, 그 성립과정과 그에 관련된 문제들을 다루는 문법의 한 분야. 통사론에는 문장성분으로서의 격(格)에 어떠한 종류가 있는가,
통신언어 / 通信言語 [언어/언어/문자]
컴퓨터 통신 또는 인터넷의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언어의 총칭. 1990년대 이후 인터넷 사용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온라인 상에서는 네티즌 특히, 엔세대(Network世代)라고 불리는 청소년들이 만들어 사용하는 언어가 통용되고 있다. 그 결과 통신하는 사람들 사이
통학경편 / 通學徑編 [언어/언어/문자]
1916년 신녕군(新寧郡) 참사인 황응두(黃應斗)가 편찬한 한자학습서. 2권 1책. 목판본. 경상북도 영천시의 혜연서루(蕙然書樓)에서 간행하였다. 어린이가 한자를 학습할 때 『천자문』이나 유합(類合)은 적합하지 않다고 보고, 새로운 물목명칭(物目名稱)을 중심으로 하여
파생어 / 派生語 [언어/언어/문자]
일반적으로 어근(語根)에 하나 이상의 파생접사(派生接辭)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단어. 둘 이상의 형태소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는 합성어와 같으나 접두사나 접미사가 어기에 종속적으로 결합된 점이 다르다. 그리고 문장 속에서 한 단어(단일어)와 동등한 자격으로 쓰인다. 파
파스파문자 / 八思巴文字 [언어/언어/문자]
원나라 라마승 파스파(’Phags-pa, 八思巴)가 티베트 문자에 기초하여 원나라의 말을 나타내기 위해 네모꼴로 만든 음소문자. 1265년(至元 2)에 원나라 세조 쿠빌라이 칸이 국사(國師)인 라마승 파스파에게 명하여 만들어 1269년(至元 6)에 반포한 것으로, 티베
파열음 / 破裂音 [언어/언어/문자]
두 개의 조음기관(調音器官)을 완전히 폐쇄하였다가 폐장기류(肺臟氣流)를 내보내면서 파열시키는 언어음. 파열음은 주로 자음의 조음방식에 따라 분류할 경우에 쓰이는 음성학적 명칭이다. 국어의 /ㄱ ㄲ ㅋ/, /ㄷ ㄸ ㅌ/, /ㅂ ㅃ ㅍ/ 등의 장애음(障碍音)들과 /ᄠᅳ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