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총 3,14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남강철교 / 南江鐵橋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 경상도의 놋다리를 건너자고 노래하면서 해원(解寃)의 시대가 열리게 되어 어렵고 가난하게 살던 사람이 입도하면 모두 원을 풀 수 있다는 내용이다. 4·4조가 주조를 이루며 길이는 4음보 1행으로 계산하여 113행이다. 처음에는 사촌형에게 달을
남국의민요 [문학/구비문학]
진성기(秦聖麒)가 편찬한 제주도민요집. 제주도민요를 우선 ① 자탄가, ② 정가, ③ 경세가, ④ 근로가, ⑤ 만가, ⑥ 오락가, ⑦ 타령, ⑧ 동요, ⑨ 토속가, ⑩ 문답가로 나누고 그 순서에 따라 자료를 수록하였다. 문답가는 어희요(語戱謠)로서 전승동요의 한 갈래로
남궁선생전 / 南宮先生傳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허균(許筠)이 지은 한문소설. 『성소부부고 惺所覆瓿藁』 제8권 문부(文部) 제5의 전(傳) 속에 있는데 5편의 작품 중에서 가장 길다. 「홍길동전」과 더불어 허균소설의 쌍벽을 이룬 「남궁선생전」은 전기체소설이 갖는 하나의 전형(典型)과 같이, 실재하였던 남
남도진 / 南道振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의 문신. 조선조 개국공신 남재(南在)의 11세손이다. 일찍부터 저술에 전념하였으며 또한 예학저술에 힘쓰는 한편, 우집경(禹執卿)에게서 탄금법을 배우고, 안진경(顔眞卿)·유종원(柳宗元)의 서법을 공부하였다. 또한 시조와 가사를 짓고 자연을 완상하며 담담한 한거
남도집 / 南都集 [문학/한문학]
고려 전기 문인 최유청(崔惟淸, 1095~1174)의 시문집(詩文集). 『남도집(南都集)』에 관한 기록은 『고려사』 권99 「최유청열전」과 『해동문헌총록』의 「제가시문집(諸家詩文集)」 등에 보인다. 최자(崔滋)가 엮은 『보한집』(권상)에서는 최유청의 문집을 『문숙공가집
남령전 / 南靈傳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이옥(李鈺)이 지은 한문소설. 이 작품은 김려(金鑢)의 『담정총서 藫庭叢書』 중 이옥의 「매화외사 梅花外史」에 수록되어 있다. 「남령전」의 창작 시기는 작자의 생존 기간을 근거로 할 때, 18세기 말기에서 19세기 초 사이로 추정된다. 작품의 내용은 다음과
남명가 / 南靈傳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원가사는 전하지 않으며 작자에 대해서도 논란이 많다. 작품명칭은 이수광(李睟光)의 『지봉유설(芝峰類說)』 권14에서 비롯되었고, 또 홍만종(洪萬宗)의 『순오지(旬五志)』에 「권선지로가(勸善指路歌)」는 조식(曺植, 호는 남명)이 지은 것이라는 기
남명조식설화 / 南冥曺植說話 [문학/구비문학]
조선 전기의 학자 남명 조식(南冥曺植)에 관한 인물 설화. 남명 조식과 관련된 설화는 탁월한 학문이 신불의 도움에 의한 자각이라고 하는 점, 상사뱀 유형처럼 인간의 욕망을 긍정하는 점도 각별하다. 남명이 실천의 학문을 강조하고, 자각의 학문을 내세운 것 역시 이러한 면
남사고설화 / 南師古說話 [문학/구비문학]
조선 중기의 학자·도사(道士) 남사고에 관한 설화. 천문·지리에 정통하고 도술을 부려 신이한 행적이 많았다는 이인(異人) 남사고에 관한 인물전설이다. 남사고는 선조 때에 천문교수(天文敎授)를 지냈다는 것 외에 뚜렷한 경력은 없는데, 당대부터 여러 문헌에 많은 설화를 남
남산요 [문학/구비문학]
조선 초에 지어진 참요(讖謠). 태조의 뒤를 이을 왕위계승권을 둘러싸고 왕세자와 세도가 사이에 갈등이 있어, 이것을 풍자하고 예언한 것이다. 『증보문헌비고』 권71에 전한다. 하룻밤 사이에 형세가 역전해서 이방석 형제가 죽고 이방원이 득세하여 정도전과 남은도 함께 목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