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3,14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낙지가 / 樂志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종 때 이서(李緖)가 지은 가사. 줄글체 기사형식(記寫形式)에 순한문투의 표기이다. 형식은 모두 4·4조이며,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 152구이다. 그의 문집 『몽한영고(夢漢零稿)』에 전한다. 작자는 양녕대군(讓寧大君)의 증손이다. 작자가 1523년(중종

  • 낙하생고 / 洛下生藁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학자 이학규(李學逵)의 시문집. 이 전집에 수록된 그의 저술은 춘성당집(春星堂集)(詩), 죽수집(竹樹集)(詩), 삼서(蔘書)(삼재배에 관한 내용), 인수옥집(因樹屋集) 1·2·3(詩·文), 영남악부(嶺南樂府)(영사악부시), 인수옥집 4·5·6·7·8(詩·文

  • 난리가 [문학/고전시가]

    1728년(영조 4)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쓰여진 작자 미상의 가사. 1책 48장. 국문필사본. 서울을 출발하여 경기도·충청도·경상도·전라도를 거쳐 다시 서울로 돌아오기까지의 과정에서 겪은 군사들에 대한 음식 대접, 무고한 백성들의 희생, 반란군의 대진(對陣) 모습

  • 난봉기합 / 鸞鳳奇合 [문학/고전산문]

    김교제(金敎濟)가 지은 개화기 고전소설. 국문활자본. 구활자본. 이 작품은 남녀 주인공의 혼사 장애라는 전통적인 소재를 다루고 있으면서 세태를 반영하는 측면에서 의의를 가진다. 가난한 처사가 양반 자제의 독선생을 맡으면서 생활을 보장받는다거나, 「춘향전」에서와 비슷한

  • 난부인 / 嬾婦引 [문학/한문학]

    고려 중기에 홍간(洪侃)이 지은 한시. 고려 중기에 홍간(洪侃)이 지은 한시. 칠언고시로 『홍애유고 洪涯遺稿』, 『동문선 東文選』 권6, 『청구풍아 靑丘風雅』 권2, 『기아 箕雅』 권13, 『대동시선 大東詩選』 권1에 실려 있다. 홍간의 시에 대하여 허균(許筠)은 『성

  • 난생신화 [문학/구비문학]

    시조신(始祖神)이 알이나 난형(卵形)의 것으로부터 태어났다는 신화.

  • 난설헌집 / 蘭雪軒集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의 시인 허난설헌(許蘭雪軒)의 시문집. 『난설헌집』에 수록된 작품은 시가 총 210수이고 기타 사(辭) 1수, 「몽유광상산시서 夢遊廣桑山詩序」 1편, 「광한전백옥루상량문 廣寒殿白玉樓上梁文」 1편으로 이루어져 있고, 부록으로 주지번의 서문, 양유년의 난설헌집제사

  • 난학몽 / 鸞鶴夢 [문학/고전산문]

    1871년정태운(鄭泰運)이 지은 한문소설. 필사본. 「난학몽」은 난선과 학선이라는 복수 주인공의 일대기를 중심으로 서술하면서, 한언범 일가의 가문 내적 결속과 외적 창달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전반부는 시비들의 참소에 의한 계모-전실 자식 갈등과, 혼사 장애 갈등으로

  • 날현인 / 捺絃引 [문학/고전시가]

    신라 진평왕 때 담수(淡水)가 지은 가요. 신라 진평왕 때 담수(淡水)가 지은 가요. 가사는 전하지 않으며 『삼국사기』 악지(樂志)에 이름만이 전한다.

  • 남강월전 / 南江月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이 작품은 크게 세 부류 인간들의 이야기를 엮어 나간다. 등장인물은 황원상가(黃元裳家)의 원상·국경(國慶) 부자와 원상의 첩 남강월, 성도부윤(成都府尹) 경윤(景潤)과 쌍둥이 남매인 경부인(景夫人)·경몽필(景夢弼) 등이다. 그리고 방해인물로

페이지 / 31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