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총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이상정 / 李象靖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11∼1781). 경학에 통달하고 문장·율려 등 제도문물에 밝았다. 연일현감을 사직하고 안동에서 퇴계 학통을 이은 학술 강론으로 많은 학자들을 배출했다. 저서로는《독성학집요》·《퇴도서절요》·《약중편》 등이 있다.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이상진 / 李尙眞 [종교·철학/유학]
1614(광해군 6)∼1690(숙종 16). 조선 중기의 문신. 정란 증손, 할아버지는 종길, 아버지는 영선, 어머니는 민여임의 딸이다. 1645년(인조 23)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조참판, 대사간, 경상도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이상진 / 李象辰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10∼1772). 1756년(영조 32) 성균관에 들어갔으며, 뒤에 귀향하여 《대학》·《논어》·《중용》·《주자서절요》 등을 탐독하면서 후진양성에 전념하였다. 저서로는 《하지유집》 7권 3책이 있다.
이상형 / 李尙馨 [종교·철학/유학]
1585(선조 18)∼1645(인조 23). 조선 후기의 문신. 효령대군의 7대손, 아버지는 욱, 어머니는 임대영의 딸이다. 김장생의 문인이다. 1625년(인조 3)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병조좌랑, 사헌부지평, 옥과현감, 홍문관부수찬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천묵
이상황 / 李相璜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63∼1841). 효령대군의 후손, 1792년 영남에 암행어사로 나가 역전의 세와 시노비의 신공을 줄일 것을 청하였다. 1835년(헌종 1) 실록총재관에 임명되어,《순조실록》편찬을 주재하였다.
이서 / 李潊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의 문신. 1662∼1723. 아버지는 하진, 이익의 형이다. 관직은 찰방에 그쳤다. 1694년(숙종 20)에 당시 좌의정이었던 박세채의 천거로 관직이 나갔다. 글씨를 잘 썼는데, 진체의 필법을 따르지 않고 스스로의 필법을 계발하여,『성재집』에서 이르기를 “동국
이서구 / 李書九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평안도관찰사, 형조판서, 판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문인. 아버지는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의정부영의정(議政府領議政)을 증직 받은 이원(李遠)이며, 어머니는 정경부인(貞敬夫人)이 된 평산 신씨(平山申氏)로 부사 신사관(申思觀)의 딸이다. 계비(繼妣)
이서우 / 李瑞雨 [종교·철학/유학]
1633(인조 11)∼? 조선 후기의 문신. 성헌 증손, 할아버지는 길남, 아버지는 경항, 어머니는 이경유의 딸이다. 당색으로는 대북계열의 집안에서 태어났다. 1651년 증광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였다. 병조참의, 함경도관찰사, 황해도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이석경 / 李碩慶 [종교·철학/유학]
1543(중종 38)∼1628(인조 6).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이엄,어머니는 박광미의 딸이다. 과거에 뜻을 두지 않아 한번도 응시하지 않았다. 효행으로 부사과를 역임하였다. 저서로는『덕암문집』2권이 있다.
이석규 / 李錫奎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58∼1839). 항복 7대손, 정관 증손, 할아버지는 종주, 아버지는 경관, 어머니는 서종벽의 딸이다. 고양군수로 있던 1807년(순조 7) 알성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대사성·대사간·충청도관찰사, 형조판서·한성부판윤·판의금부사 등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