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총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이문대사 / 吏文大師 [언어/언어/문자]
조선시대의 지방관청에서 주고받은 이두문서에 나타나는 한자어구와 이두를 모으고, 이두에는 한글로 독법을 표기해 놓은 책. 책의 내용은 제목에 따라 분류된 것은 아니나, 크게 4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즉, ① 문서의 허두와 결말부분을 보인 것, ② 문서의 본문부분에 나타나는
이문원 / 李文源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40∼1794). 1771년 정시문과 병과급제 후 삼사와 승정원의 청요직을 역임하고 부사직·형조판서 등에 이르렀다. 1792년 이조판서 재직 중 채제공을 심히 논척하는 상소를 올렸다 향리로 쫓겨나기도 하였으나, 곧 복직되었다.
이문잡례 / 吏文雜例 [언어/언어/문자]
조선 후기 각종 서식(書式)의 이두문(吏讀文)을 모아 간행한 이두학습서. 보장식(報狀式)·소지식(所志式)·상언식(上言式)·중수동추식(重囚同推式)·결송입안식(決訟立案式)·매득사출식(買得斜出式)·이관하체식(移關下帖式) 등 7종의 서식이 실려 있다. 부록으로 이상국거관훈범(
이문형시장 / 李文聲諡狀 [정치·법제]
조선 전기의 문신 이문형(李文馨)에 대해 시호를 추증하기 위해 1800년대 말 고종 대에 허전(許傳)이 지어서 봉상시에 올린 시장. 이 시장에는 작성인과 작성 시기가 나타나 있지 않으나, 성재 허전의 문집인《성재집》에 실려 있어 작성연대와 작성인을 파악할 수 있다.
이문회 / 李文會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58∼1828). 1790년(정조 14) 증광문과 장원 급제 후 대사간·승지·이조참판 등을 지냈다. 승지로서 순조를 시종하면서 중요 문헌 등을 소상이 연구하고 왕도를 위해 직간 했다. 또 벽파를 축출하고 시파의 세력 확장에 동참하였다.
이민곤 / 李敏坤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695∼1756). 보령현감 때〈황극연의〉를 지어 올려 왕도정치를 촉구했다. 사간 때 언로 막힘은 망국의 근본이라며 조종보 신원 상소를 냈다 거제로 유배 갔다. 탕평책 비판과 조영국을 탄핵하다 유배 길에 죽었다. 도승지에 추증되었다.
이민구 / 李敏求 [종교·철학/유학]
1589(선조 22)∼1670(현종 11). 조선 후기의 문신. 정의 증손, 할아버지는 희검, 아버지는 수광, 어머니는 김대섭의 딸이다. 1609년(광해군 1) 사마시 수석으로 합격해 진사, 1612년 증광 문과에 장원급제해 수찬으로 등용, 이후 예조·병조좌랑, 지평,
이민보 / 李敏輔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0∼1799). 형조판서·도총관을 거쳐 노인직으로 판중추부사에 올랐다. 음관으로 보국숭록대부에 오른 것은 황수신 이후 처음이다. 《용비어천가》·《악학궤범》 등을 정리 간행하였다. 저서로는 《풍서집》과 노론시각의 당쟁론《충역변》이 있다.
이민서 / 李敏敍 [종교·철학/유학]
1633(인조 11)∼1688(숙종 14). 조선 후기의 문신. 극강 증손, 할아버지는 유록, 아버지는 경여, 어머니는 박임경의 딸이다. 뒤에 도정 후여에게 입양되었다. 송시열을 사사하였다. 1652년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뒤 검열·정언·지평·교리, 예조판서, 호조
이민식임명문서 / 李敏軾任命文書 [정치·법제]
1907년(광무 11) 7월 29일. 종2품 가선대부 주전원경 이민식(李敏軾)을 봉상시제조 칙임관 2등으로 서임하는 임명장. 궁내부대신 이윤용(李允用)이 봉칙하였다. 주원경은 대한제국 때에 궁내부에 속하여 궁전을 지키고 수리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이다. 이민식은 경술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