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총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이륜 / 李倫 [종교·철학/유학]
1636(인조 14)∼1731(영조 7). 조선 후기의 종실. 할아버지는 선조, 아버지는 계, 어머니는 황이중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1655년(효종 6) 종실시강에서 입격하여 가자되었고, 오랫동안 사옹원과 종부시를 주관하였다. 그 뒤 종친
이린전 / 李麟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 활자본. 필사본. 1916년동창서옥(東昌書屋)에서 발행한 활자본이 있다. 이 작품은 주인공 이린이 중국에 들어가 절세미인 두소저(杜小姐)를 얻고 과거에 급제하여 승상에까지 오른다는 내용이다. 이 소설은 우리나라 사람이 중국에 들어가 입
이만 / 李槾 [종교·철학/유학]
1669(현종 10)∼1734(영조 10).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융일, 어머니는 김초 딸이다. 작은아버지 현일에게 학문을 익히면서 권해·손덕승 등 당시의 대유들과 더불어 고경을 강론하였다. 일찍이 아버지와 형의 권유로 과장에 출입하여 향시에는 거듭 합격하였으나
이만각 / 李晩慤 [종교·철학/유학]
1815년(순조 15)∼1874년(고종 11). 조선 말기의 학자. 자는 근휴(謹休), 호는 신암(愼庵)‧암후(巖后), 본관은 진성(眞城)이다. 일찍이 영리(榮利)의 뜻을 버리고 경전과 『주서절요(朱書節要)』를 깊이 연구하면서 후진양성에 전력하였다. 성리학에도 조예가
이만경 / 李晚景 [종교·철학/유학]
1691년(숙종 17)∼1776년(영조 52). 조선 후기 효자·의병. 아버지가 중풍이 걸렸을 때, 수 년간 불평 없이 시중을 들었다. 1728년(영조 4)에 이인좌의 난이 일어나자, 형을 도와 반란군을 막는 데 공을 세웠고, 어려운 사람들을 구제하는 데 앞장섰다.1
이만도 / 李晩燾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842∼1910). 강화도조약체결에 반대하는 최익현을 지지하다 삭탈되었다. 을미사변 후 의병장으로 활약했다. 을사늑약 때 을사오적 처형을 상소하였다. 경술국치 후 단식 24일 만에 순국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이만부 / 李萬敷 [종교·철학/유학]
1664(현종 5)∼1732(영조 8). 조선 후기의 학자. 할아버지는 관징, 아버지는 옥, 어머니는 이동규의 딸이다. 1729년(영조 5) 학행으로 장릉참봉과 빙고별제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퇴하였다. 저서로는『식산문집』 20책 외에 『역통』3권,『대상편람』1권,『사서
이만손 / 李晩孫 [종교·철학/유학]
1811년(순조 11)∼1891년(고종 28). 조선 말기의 유학자. 이황의 후손이다. 1881년(고종 18)의 만인소의 소두였다. 전 참판 강진규·이만운, 전 승지 이만유 등 상주·안동 지방 유생들이 연서하여 1881년 2월 고종에게 올렸다. 이것이 <영남만인소>이다
이만수 / 李晩秀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52∼1820). 홍경래의 난 때 평안도관찰사로서 치안관리를 제대로 못한 죄를 물어 파직, 경주에 유배되었다. 후에 빈객·예조판서·수원유수 등을 지냈다. 글씨에 능해 〈양성기적비〉·〈서명선사제비〉 등을 남겼다. 저서로는《극옹집》이 있다.
이만운 / 李萬運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23∼1797). 이경갑의 아들이다. 이덕무 등 실학자와 교유하였다. 1782년(정조 6)《문헌비고》의 개정에 참여, 1790년에《증보문헌비고》 초고를 완성하였다. 1796년 서유구 등과 함께 《문헌비고》 재보완 작업에 착수하였으나 이듬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