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총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이도순 / 李道純 [종교·철학/유학]
1585년(선조 18)∼1625년(인조 3). 증조부는 이유온, 조부는 이엄이다. 부는 이숭경이다. 한강 정구의 문인으로, 문장과 필법이 뛰어났으며, 인품이 고상하여 곽재우의 추중을 받았다. 문집으로『모재집』이 전한다.
이도익 / 李道翼 [종교·철학/유학]
1692년(숙종 18)∼1762년(영조 38). 부는 이식이다. 음보로 삼가현감을 거쳐, 관직이 주부에 이르렀다. 문명이 높았으며, 좌승지에 추증되었다. 문집으로《희구재유고》가 전한다.
이도자 / 李道孜 [종교·철학/유학]
1559(명종 14)∼1642(인조 20).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석경, 어머니는 하함의 딸이다. 정구의 문인이다. 1592년에 임진왜란시 노모를 안전하게 보호한 뒤 이듬해 김면의 진중에 나가서 위장으로 활약하였다. 1600년 고령향시에 스승의 권유로 나가 장원
이돈우 / 李敦宇 [종교·철학/유학]
1801년(순조 1)∼1884년(고종 21). 조선 말기의 문신. 상두 아들, 어머니는 김사선의 딸이다. 1827년(순조 27) 증광별시에 병과로 급제, 홍문관제학, 이조참의, 이조참판, 전라도관찰사, 대사헌, 형조판서·대사헌·한성부판윤 등을 차례로 역임하였다. 저서
이동근 / 李東根 [종교·철학/유학]
1644년(인조 22)~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이경전, 조부는 이후이다. 부친은 이오빈, 생부는 이인빈이다. 외조부는 정원첨, 동생으로 이효근과 이도근이 있다. 1689년(숙종 15) 증광시 문과에 을과 4위로 급제하였다. 관직은 사간원정언‧사헌부지평‧필선‧사
이동순 / 李同淳 [종교·철학/유학]
1779년(정조 3)∼1860년(철종 11).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이수증, 조부는 이세학, 부친은 이구천이다. 1807년(순조 7) 식년시 병과 12위로 문과에 급제하였다. 이후 사간원정언·홍문관수찬·군위현감·사헌부장령 등을 역임하였다. 이후 동지의금부사·한성부
이동순 순흥현감 해유문서 / 李同淳 順興縣監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해유문서. 1832년(순조 32) 1월 29일 후임관이 겸순찰사에게 올린 첩정이다. 이동순(李同淳)은 퇴계의 후손으로 구천(龜天)의 아들이다. 1830년(순조 30) 7월 초3일에 본직을 제수받고 동월 11일에 사조(辭朝)한 후 동월 25일에 도임하였다. 실적 437일
이동언 / 李東彦 [종교·철학/유학]
1662(현종 3)∼1708(숙종 34). 조선 후기의 문신. 덕여 증손, 할아버지는 민달, 아버지는 세무, 어머니는 김우의 딸이다. 1693년(숙종 19) 사마시에 합격, 같은 해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성균박사, 사간원정언, 북평사 등을 역임하였다.
이동완 / 李棟完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51∼1725). 1678년 증광시에서 진사 2등 1위로 합격하였다. 저술로는《모산선생문집》이 있다.
이동직 / 李東稷 [역사/조선시대사]
1749년(영조 25)∼미상.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1775년(영조 51) 생원으로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홍문관정자‧저작‧박사‧감찰 등을 역임하였고, 초계문신(抄啓文臣)에도 뽑혔으며, 홍문록에 오른 뒤 수찬이 되었다. 1792년 부교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