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역사 > 조선시대사 506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역사 > 조선시대사
  • 의열영빈이씨기제사축식 / 義烈暎嬪李氏忌祭祀祝式 [역사/조선시대사]

    영빈이씨(暎嬪李氏)의 기일(忌日)에 제사를 올릴 때 사용하였던 축문(祝文)의 형식을 규정한 글. 글씨가 해정하지 않은 편이고 글을 고치거나 덧붙인 부분이 있으며, 마지막에 "己酉二月二十二日因傳敎改修"라고 부기되어 있고 연호가 "건륭(乾隆)"으로 되어 있어 1789년(

  • 의열영빈이씨축식 / 義烈暎嬪李氏祝式 [역사/조선시대사]

    영빈이씨(暎嬪李氏)의 영전에 중삭제(仲朔祭)를 지낼 때 쓰이는 축문(祝文)의 형식을 규정한 글. 내용은 여느 축식과 마찬가지로 제사하는 날을 맞이하여 술과 제수를 올리니 흠향하시라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축문은 1754년(영조 30)에 쓰여진 <선자친화경숙빈최

  • 의열영빈이씨치제문 / 義烈暎嬪李氏致祭文 [역사/조선시대사]

    1766년(영조 42) 9월 10일에 광은부위(光恩副尉) 김두성(金斗性)을 보내어 영빈이씨에게 치제할 때 썼던 제문. 영조는 영빈의 삼년상이 끝나고 상복을 벗는 담제(禫祭)를 앞두고 있었기에, 이를 서글퍼하는 마음을 먼저 표현하였다. 그리고 전월에 의례를 치른 일과

  • 이계동 / 李季仝 [역사/조선시대사]

    1450(세종 32)∼1506(중종 1). 조선 중기의 무신. 1470년(성종 1) 무과에 장원으로 급제해 훈련원판관에 임명되었다. 1476년 무과 중시에 급제해 종친부전첨, 창성부사, 동부승지, 형조참판, 선전관, 함경도절도사, 경기도관찰사, 병조판서 등을 역임하였

  • 이덕량 / 李德良 [역사/조선시대사]

    1435(세종 17)∼1487(성종 18). 조선 전기의 무신. 정간 증손, 할아버지는 사관, 아버지는 지장, 어머니는 이승의 딸이다. 세조비 정희왕후의 자서이다. 1457년(세조 3) 무과에 급제, 선전관을 거쳐 사복직장, 종친부부전첨, 사헌부장령, 훈련원부사, 대사

  • 이동직 / 李東稷 [역사/조선시대사]

    1749년(영조 25)∼미상.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1775년(영조 51) 생원으로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홍문관정자‧저작‧박사‧감찰 등을 역임하였고, 초계문신(抄啓文臣)에도 뽑혔으며, 홍문록에 오른 뒤 수찬이 되었다. 1792년 부교리로

  • 이만정 / 李萬禎 [역사/조선시대사]

    생졸년 미상. 조선 후기의 무신. 자는 직향(直鄕), 호는 근재(謹齋), 본관은 진안(鎭安)이다. 무과에 합격하여,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을 지냈다. 곡성현감(谷城縣監)에 제수(除授)된 후, 고원(高原)과 하동(河東)에서 군수(郡守)를 지냈다. 1689년(숙종 15)

  • 이삼 / 李森 [역사/조선시대사]

    1677(숙종 3)∼1735(영조 11). 조선 후기의 무신. 아버지는 사길. 윤증의 문하에서 공부하였다. 병조판서 김구의 천거로 1705년(숙종 31) 무과에 급제하였다. 1713년 정주목사로 임명된 뒤 1717년 평안도병마절도사·함경남도병마절도사, 1721년(경종

  • 이순신 / 李舜臣 [역사/조선시대사]

    1545(인종 1)∼1598(선조 31). 조선 중기의 명장. 아버지는 정, 어머니는 변수림의 딸이다. 그는 위로 희신·요신의 두 형과 아우 우신이 있어 모두 4형제였다. 임진왜란시 왜군을 옥포, 한산, 명량, 노량에서 격파하였다. 사복시주부, 정읍현감, 전라좌도수군절

  • 이의배 / 李義培 [역사/조선시대사]

    1576(선조 9)∼1637(인조 15). 조선 후기의 무신. 할아버지는 흥준, 아버지는 흡, 어머니는 이우직의 딸이다. 1599년(선조 32) 무과에 급제해 선전관, 명천부사, 전라좌수사, 안동부사, 공청병마절도사 등을 역임하였다.

페이지 / 5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