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총 4,64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불조요경 / 佛祖要經 [종교·철학/원불교]
원불교의 연원경전. 원불교의 교조 박중빈이 편집하였다. 1943년에 편찬된 <불교정전><사십이장경><현자오복덕경><업보차별경> 등의 다섯 경전과 <수심결><목우십도송><휴휴암좌선문> 등 세 편의 논이 수록되어 있다. 이 경전은 불법을 주체로 한 원불교 사상의 연원을 잘
비국인례옹임주차무늑융명예령사칙명 / 比國人禮雍任駐箚武勒蕯名譽領事勅命 [정치·법제]
1901년(광무 5) 10월 26일 고종이 벨기에인 레옹(禮雍, Emile Le Hon)을 주차부뤼셀명예영사로 임명하는 칙명. 《고종실록》에는 이와 관련된 기사가 실려 있지 않으나, 1905년 9월 4일에 '외국에 주재하는 본국 며예 영사들에게 훈장을 수여한다.'는 기
비답 / 批答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신하의 상소에 대해 국왕이 내린 답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것은 정사에 대한 불윤비답으로서 ≪동국이상국집≫·≪동문선≫을 비롯, 여러 문집 등에 전재된 것이 많이 있다. 정사뿐 아니라 국왕에게 올린 소청에 대한 불윤비답도 있다. 그러나 의윤비답도 이따금 있
비석소재기 / 碑石所在記 [정치·법제]
소재기 문서. 신숙주(申叔舟)의 묘비, 묘암존자(妙巖尊者)의 탑명, 박중손(朴仲孫)의 신도비 등의 소재지와 찬자를 작성한 문서. 각 기록의 상단과 하단에 빗금이나 원형으로 표시하여 점검한 흔적이 있다.
비안군읍지 / 比安郡邑誌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비안군(현 의성군 비안면)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채색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1786년(정조 10) 무렵 편찬된 『비안현읍지』 사본 1책이 규장각 도서에 있고, 1878년(고종
비연상초 / 斐然箱抄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학자 장지완(張之琬)의 시문집. 1857년(철종 8) 친구 이자전(李紫田)이 주관하고 현보여(玄報汝)가 자금을 대어 최성환(崔瑆煥)의 수교(讐校)를 거쳐 간행하였다. 3권 1책. 목활자본. 권두에 최성환의 서문이 있다. 권1에 시 84수, 권2에 부 2편,
비와집 / 卑窩集 [종교·철학/유학]
정중대의 문집. 4권 2책. 석인본. 1931. <비와집> 권두에 노상직이 1926년에 쓴 서문과 이중균이 1931년에 쓴 서문이 있다. 권1에는 시 97수와 연설 1편이 실려져 있고, 권2에 서 23편‧기 1편‧잡저 1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3에 제문 19편‧묘갈 1
비인현읍지 / 庇仁縣邑誌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비인군(현 서천군 비인면)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901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필사본. 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구성은 진관(鎭管)·건치연혁(建置沿革)·성지(城池)·관원(官員)·관해(官廨)·관사(官舍)·창고(倉庫)·단묘(壇廟
비천집 / 飛泉集 [생활]
별집류(別集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5책이며, 판종은 석인본(石印本)이다. 규격은 29.2×18.8cm이고, 반곽은 19.4×15.2cm이다. 표제와 판심제는 비천집(飛泉集)이다. 전기진(田璣鎭)이 지은 것으로, 서문(序文)은 辛亥(1971)에 이
비해당소상팔경시첩 / 匪懈堂瀟湘八景詩帖 [문학/한문학]
1442년(세종 24)에 안평대군(安平大君)이 문인들의 시문을 모아서 엮은 시첩. 시의 체재는 오언고시, 오언배율, 오언절구, 칠언고시, 칠언율시, 칠언절구, 육언절구 등 다양하다. 권수(卷首)의 이인로와 진화의 시는 팔경을 산시청람(山市晴嵐), 연사모종(烟寺暮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