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고려 총 1,31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고려
괴산 외사리 승탑 / 槐山外沙里僧塔 [예술·체육/건축]
서울특별시 성북구 간송미술관에 소장된 고려시대 화강암으로 만든 8각원당형 불탑.승탑. 보물. 보물 제579호. 높이 3.5m. 원래 충청북도 괴산군 외사리 절터마을의 산기슭에 있었는데, 일제강점기에 일본인이 해외로 반출하려던 것을 간송(澗松) 전형필(全鎣弼, 1906∼
괴산각연사통일대사탑 / 槐山覺淵寺通一大師塔 [예술·체육/건축]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각연사에 있는 고려전기 승려 통일대사의 사리를 봉안한 불탑.부도. 보물. 보물 제1370호. 높이 2.3m. 각연사를 창건한 통일대사의 사리탑이라고 알려진 승탑으로, 무너져 있던 것을 1983년에 복원하였다.승탑은 전형적인 8각원당형 부도이다.
괴산봉학사지오층석탑 / 槐山鳳鶴寺址五層石塔 [예술·체육/건축]
충청북도 괴산군 사리면 봉학사터에 있는 고려전기 5층 석조 불탑.시도유형문화재. 높이 4.97m.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9호. 지금 석탑이 서 있는 곳은 보광산(普光山) 보광사(普光寺, 혹은 봉학사)가 있었던 곳이나 오래 전에 폐사되었으며 현재는 이 탑만이 남아 있는
괴산삼방리삼층석탑 / 槐山三訪里三層石塔 [예술·체육/건축]
충청북도 괴산군 불정면에 있는 고려시대 3층 석조 불탑.석탑. 시도유형문화재. 탑신부 높이 2.1m.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82호. 속칭 ‘탑말, 탑마을’이라 부르는 마을에 건립되어 있는데 석탑이 서 있는 주변은 경작지로 변하였으며 주변에 기와편과 청자편들이 어지럽게
굉연 / 宏演 [문학/한문학]
고려 후기의 승려·시인. 나옹 혜근(懶翁惠勤)의 제자이며 강화도 선원사(禪源寺)의 5대 주지를 지냈다. 원나라에 들어가 학사 구양현(歐陽玄)·위소(危素) 등과 교유하였고, 원명국사(圓明國師)의 비문을 위소에게 부탁하여 짓게 하였다. 『고려국사도선전(高麗國師道詵傳)』을
교관겸수 / 敎觀兼修 [종교·철학/불교]
고려 대각국사 의천의 주장으로, 불교에서 교리체계인 교(敎)와 실천수행법인 지관을 함께 닦아야 한다는 사상. 선종과 교종이 자기의 것만을 주장하는 폐단을 타파하고 모든 종파가 대동단결할 수 있는 이론적 체계를 담은 것이 교관겸수사상이다.
교도 / 敎導 [교육/교육]
고려와 조선시대 각 지방의 교육기관에 파견한 교관의 하나. 1127년(인종 5)에 처음으로 각 주의 향학에 2인씩 파견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도호부 이상의 부·목의 향교에는 교수관(종6품)을, 군·현의 향교에는 훈도관(종9품)을 파견하였으나 문관들이 이를 기피하였으므로,
교방춤 / 敎房舞 [예술·체육/무용]
고려와 조선시대의 교방 소속 기녀가 교방에서 학습하고 공연했던 모든 춤. ‘교방춤’은 두 가지 의미로 구분된다. 하나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교방 소속 기녀가 교방에서 학습하고 공연했던 모든 전통춤 종목을 총괄하여 이르는 말이다. 당악정재와 향악정재 그리고 각 지방 교
교서랑 / 校書郎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비서성의 정9품 관직. 995년(성종 14)에 처음 두었으며 문종 때 비서성이 정비되면서 정원 2인의 정9품직으로 되었다. 1356년(공민왕 5)에 나타나는 정8품의 비서랑이 이전의 교서랑과 비슷한 구실을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1362년의 개혁시에 폐지되었
교위 / 校尉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 초기의 무관직. 오(伍)라는 단위부대의 지휘관이다. 오는 대략 두 개의 대로 편성되어, 교위는 2인의 대정(隊正)을 거느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