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총 3,14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야청도의성 / 夜聽擣衣聲 [문학/한문학]
발해의 시인 양태사(楊泰師)가 지은 한시. 양태사는 발해 문왕 때 귀덕장군(歸德將軍)으로 시에 능하였다. 759년(문왕 23)에 일본에 부사(副使)로 갔다가 송별연에서 「밤에 다듬이 소리를 듣는다[夜聽擣衣聲]」는 시를 지어 읊었다 한다. 일본에서 편찬한 한시집 『경국집
약산동대 / 藥山東臺 [문학/고전산문]
이종정(李鍾楨)이 지은 고전소설. 1책(총 172면). 구활자본. 작품은 무대가 영변의 약산동대이고 주인공이 송경필과 빙옥으로 달라졌을 뿐, 「춘향전」을 모방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기생점고」·「형장가(刑杖歌)」·「농부가」·「몽유가(夢遊歌)」·「강호별곡(江湖別曲)
약오가장초 / 藥塢家藏抄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여항시인(閭巷詩人)인 엄한붕(嚴漢朋)과 그의 아들인 계응(啓膺)에 관한 시문을 모은 책. 불분권 1책. 필사자와 필사연대는 미상이다. 체재는 「금금기실시서(錦衾記實詩序)」와 이에 따른 시 36수, 「약오수연첩(藥塢睟讌帖)」·「약오제문(藥塢祭文)」의 세 부분
양기손전 / 楊己孫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필사본. 「양기손전」에는 대부분의 가정소설에서 볼 수 있는, 첩이 본처를 모해하여 남편이나 시부로 하여금 내쫓게 하거나, 본처의 자녀를 학대하고 축출하는 내용은 보이지 않는다. 이 작품에는 남편이 예쁜 첩에게 빠져 본처를 돌보지
양등시과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1권 1책. 필사본. 책의 내용은 제명 그대로 온갖 종류의 등불 및 제등행렬(提燈行列)의 아름다움을 가사체로 노래하였다. 책 끝에는 전각 위에 앉아서 장안의 등놀이를 관망하던 임금이 좌우의 제신(諸臣)에게 등시(燈詩)를 지으라고 명하여 한림학사
양문충의록 / 楊門忠義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43권 43책의 국문필사본으로 장서각 도서본이 유일본이다. 『양문충의록(楊門忠義錄)』과 관계가 있는 작품은 『현몽쌍룡기(現夢雙龍記)』·『조씨삼대록(曺氏三代錄)』이다. 『현몽쌍룡기(現夢雙龍記)』와 『조씨삼대록(曺氏三代錄)』은 연작 관계로 볼
양반전 / 兩班傳 [문학/고전시가]
조선 정조 때에 박지원(朴趾源)이 지은 한문 단편소설. 작자의 문집인 『연암집 燕巖集』「방경각외전 放璚閣外傳」에 실려 있다. 저작연대는 자세히 알 수 없다. 지은이의 초기 작품으로 추정된다. 「양반전」은 부농이 등장하여 경제력에 의한 양반신분획득의 가능성이 나타난다.
양사언설화 / 楊士彦說話 [문학/구비문학]
조선 전기 명필로 이름난 양사언에 관한 설화. 문헌자료집에 실려 있는 「양사언설화」는 양사언의 출생 과정을 이야기한 것으로서, 『계서야담』에 2편, 『청구야담(靑丘野談)』·『해동야서(海東野書)』·『동야휘집(東野彙輯)』·『기문총화(記聞叢話)』·『선언편(選諺篇)』에 각각
양산가 / 陽山歌 [문학/고전시가]
신라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노래. 가사는 전하지 않으며, 제작동기가 『삼국사기』 열전(列傳) 제7 김흠운조(金歆運條)에 전하며, 같은 내용이 축약되어 『증보문헌비고』 권106 악고(樂考) 17에 옮겨져 있다. 655년(태종무열왕 2) 낭당대감(郎幢大監) 김흠운이 백
양산대성암소장동인시화 / 梁山大聖庵所藏東人詩話 [문학/한문학]
경상남도 양산시의 대성암에 소장되어 있는 서거정의 시화집.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인 사가정(四佳亭) 서거정(徐居正, 1420~1488)이 편찬한 시화집으로, 우리나라의 시와 시인을 소재로 쓴 문학비평서이다. 서거정의 나이 57세 때인 1477년(성종 8)에 간행된 초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