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월포리하성단구 / 月浦里河成段丘 [지리/자연지리]

    평안남도 평성시 월포리에 있는 단구. 대동강 우안에 있는 지질학적으로 특이한 지층구조이다. 4계단의 단구로 이루어서 발달된 하성단구 가운데서 가장 전형적으로 남아있는 것이 3단구 인데 그 대표적인 것이 월포리에 있으므로 월포리하성단구라고 부른다. 단구에는 자갈과 붉은

  • 월호도 / 月湖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 월호리에 있는 섬. 동경 127°59′, 북위 34°26′에 위치하며, 여수반도 남쪽 끝에서 동남쪽으로 8.3㎞ 지점에 있다. 면적은 1.92㎢이고, 해안선 길이는 7.88㎞이다. 1896년에 돌산군 화개면에 속하였다가, 1914년에 여수군 화정

  • 위 / 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빈부의 작호. 왕이나 왕세자의 사위인 부마들에게 주는 명예직으로 정1품에서 종2품까지 4종이 있었는데 각기 수록대부·성록대부·광덕대부·숭덕대부의 의빈계가 주어졌다. 이들 의빈은 국초에는 정치에 관여하였으나 태종대부터 정치에의 참여가 많이 제한되었다. 따라서

  • 위계서원 / 葦溪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고성군 마암면 석마리에 있는 서원. 1713년(숙종 39)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인형(李仁亨)·이의형(李義亨)·이익인(李翊仁)·이현(李顯)·이응성(李應星)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 위남입촉기 / 渭南入蜀記 [언론·출판]

    저자 육유(1125-1210). 필사본. 불분권 1책. 표제는 "입촉기 전"이고, 권두제는 "위남입촉기"이다. 권두제 아래에는 "산음 육유"라고 적혀 있다. <입촉기>는 육유가 1170년 윤5월 18일부터 그해 10월 27일까지 158일간 고향 산음을 떠나 임지인 기주

  • 위도 / 蝟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부안군 위도면에 있는 섬. 동경 126°20′, 북위 35°35′에 위치하며, 변산반도에서 서쪽으로 14.6㎞ 지점에 있다. 위도면의 주도에 해당한다. 북쪽에 식도가 있으며, 정금도와는 방조제로 연결된다. 그 밖에 큰딴치도·딴달래섬·거륜도 등 부속 섬들이 있다

  • 위만조선 / 衛滿朝鮮 [지리/인문지리]

    위만이 세운 고대국가. 『사기』조선전(朝鮮傳)과 『한서』조선전 등의 중국 문헌에 등장하는 우리 나라 최초의 고대국가로, 서기전 194년에서 서기전 108년까지 존속하였다. 위만조선의 통치 기간은 위만에서 우거에 이르는 3대 87년간이 되는데, 위만조선은 왕권이 세습될

  • 위미 / 位米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전세조공물을 쌀로 내게 하던 부세제도. 조선 전기에는 전세를 중앙으로 수송하기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그 일부를 쌀이나 콩 대신에 명주(細布)·모시(苧布)·면포·정포 등으로 내게 하고, 그것을 전공 또는 전세조공물이라고 하였다. 대동법을 실시한 뒤 이 전공을

  • 위백규 / 魏伯珪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실학자(1727∼1798). 천거로 옥과현감·장원서별제·경기전령 등을 지냈다. 경세론은 물론 경학·지리·역사·의학 등에 밝아 실학자적인 면모를 갖추었다. 저서로 《정현신보》·《본초강목》·《고금》등이 있다. 죽천사에 배향되었다.

  • 위봉산 / 威鳳山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과 동상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524m. 동남쪽의 원등산(遠登山, 713m), 동북쪽의 화부산(貨付山, 602m), 서쪽의 서대산(西大山, 612m)·종남산(終南山, 600m) 등과 같이 전주시의 동부 외곽을 이루는 산지 중의 하나이다. 동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