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원손관례교서 / 元孫冠禮敎書 [정치·법제]

    1761년(영조 37) 원손 성과 왕손 인, 진에게 내리는 관례 교서. 이 교서는 절첩장의 형식으로 만들어져 있다.《승정원일기》에 왕세손의 관례 교서를 작성한 기사가 1761년(영조 37)에 실려 있다. 이 교서도 당시에 제작된 것임을 추정할 수 있다. 이 문서는 작위

  • 원수부 / 元帥府 [역사/근대사]

    대한제국 때 설치되었던 황제 직속의 최고 군통수기관. 고종은 아관파천 이후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대한국국제를 반포해 자강의 의지와 개혁을 추진하였는데, 1899년 군통수권을 장악하기 위해서 원수부를 설치하였다. 황제가 대원수로서 모든 군기를 총괄하고 육해군을 통령하였고,

  • 원숙강증시문서 / 元叔康贈諡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증규장각제학 원숙강(元叔康)에게 '정민(貞愍)'이란 시호를 내리면서 발급한 칙첩. 문서에는 '청백자수왈정 재국봉간왈민'이라 적어 정민이란 시호를 내린 연유를 적었다.

  • 원숙강특증문서 / 元叔康特贈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25일. 교리를 지낸 고 원숙강(元叔康)을 정2품 자헌대부 규장각제학에 특증하는 임명장. 경술국치 4일 전의 문서이다.《순종실록》의 기사에는 원숙강을 정2품 규장각제학에 추증하라는 순종의 명이 있다.

  • 원순모음화 / 圓脣母音化 [언어/언어/문자]

    양순음(兩脣音) ‘ㅂ, ㅃ, ㅍ, ㅁ’ 다음에서 비원순모음(非圓脣母音) ‘○(·)’가 원순모음 ‘ㅜ(ㅗ)’로 바뀐 음운현상. 중세국어의 ‘믈[水], 블[火], 플[草], [角]’ 등이 근대국어, 특히 17세기 말엽 이후로 ‘물, 불, 풀, (뿔)’ 등으로 원순음화를

  • 원시 / 院試 [정치·법제/법제·행정]

    한성부와 경기에 거주하는 자를 대상으로 한 무과 초시. 훈련원이 주관하였다. 본래 원시는 병조와 훈련원이 공동으로 시취하였으나 세종 9년(1427)부터 문과의 관시의 예에 따라 훈련원이 단독으로 시취하게 되었다. 선발인원은 태종 2년에 50원(경기에서는 별도로 40인

  • 원양국 / 爰襄國 [지리/인문지리]

    삼한시대 마한의 소국. 마한 54소국 중의 하나이다.『삼국지(三國志)』위서 동이전 한조(韓條)에 수록된 여러 삼한 소국 이름의 표기는 당시의 중국 상고음에 따랐을 것인데, 그 음은 대체로 우리의 한자음에 가깝다. ‘원양국’의 ‘원(爰)’은 중국 고음이 ‘ji○○n’이고

  • 원옹집 / 園翁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이의승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오도일에 의하여 수집, 그의 문집과 함께 오도일의 아들이 1728년(영조 4) 간행하였고, 그 뒤 1796년(정조 20) 저자의 증손 재항이 중간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장서각 도서에 있다. 권두에 윤동수 서문과

  • 원유관 / 遠遊冠 [생활/의생활]

    조선시대 때 왕과 왕세자가 조현복인 강사포에 쓰던 관 원유관·강사포로 대를 이루는 조복이다. 제복인 면류관·구장복, 상복인 익선관·곤룡포와 더불어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국왕의 예복으로 계속 준용되었고, 조선 말기에는 고종이 입고 찍은 사진도 있다. ≪세종실록≫ 예지에 관

  • 원유남 / 元裕男 [종교·철학/유학]

    1561(명종 16)∼1631(인조 9). 조선 중기의 무신. 할아버지는 송수, 아버지는 호, 어머니는 김광후의 딸이다.1583년(선조 16) 무과에, 1586년 무과중시에 각각 급제하였다. 창성부사, 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