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월오당집 / 月梧堂集 [종교·철학/유학]

    안진석의 문집. 석인본, 서: 이중균(1932), 2권 1책. 1933년에 후손들이 편집 간행하였다. 문집은 2권 1책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권두에는 1932년에 지은 동전 이중균(1862~1939)의 서문이 있다. 상권에는 57제 66수의 시와 제문 1편이 실려 있다

  • 월운집 / 月雲集 [종교·철학/유학]

    고횡의 문집. 석인본. 서: 이원영(1947). 4권 2책. 저자의 손자 정환. 극환 등에 의해서 1971년에 간행되었다. 권1에는 부 1편과 시가 실려져 있으며, 권2에는 설 9편과 논 19편만 실려져 있다. 권3에는 서 11편, 기 18편, 발 5편, 잠 3편, 명

  • 월월이청청 [생활/민속]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노물리일대에 전승되는 민속놀이. 5, 16세쯤 되는 처녀들과 새댁들이 손에 손을 잡고 노래를 부르며 노는 원무(圓舞)로서 음력 2월 보름날 밤에 가장 절정을 이루는 여성 집단놀이이다. 그밖에 정월 보름날, 3월 보름날, 4월 보름날, 8월 보름날

  • 월인석보 / 月印釋譜 [언론·출판/출판]

    1459년(세조 5)에 세조가 세종이 지은「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을 본문으로 하고 자신이 지은『석보상절』을 설명부분으로 하여 합편한 책. 목판본. 초간본 10권(권1·2·7·8·9·10·13·14·17·18) 8책과 중간본 4권(권21·22·23·25) 4책이 보

  • 월인천강지곡 / 月印千江之曲 [언론·출판/출판]

    조선 세종이 1449년(세종 31)에 지은 불교 찬가(讚歌). 활자본. 상 · 중 · 하3권. 현재 상권 1책과 중권의 낙장이 전할 뿐이다. 보물 제398호. 이 책은 《석보상절》과 함께 합편되어《월인석보》로 간행되었다. 원간본과의 대조에 의하면, 이때 《석보상절》보

  • 월정서원 / 月井書院 [교육/교육]

    전라남도 나주시 노안면 금안리 광곡(光谷)에 있는 서원. 1659년(효종 10)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박순(朴淳)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69년에 ‘월정(月井)’이라 사액되었으며, 1789년에 김계휘(金繼輝)·심의겸(沈義謙)·정철(鄭

  • 월출산 / 月出山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과 강진군 성전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810.7m. 소백산계에 속하는 해안산맥의 말단부에 높이 솟은 산체는 견고한 석영반암과 분암류로 구성되어 있어 수목이 잘 자랄 수 없는 급경사의 지형을 이룬다. 기암괴석이 많아 남국(南國)의 소금강(小金剛)

  • 월출산국립공원 / 月出山國立公園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영암군과 강진군에 걸쳐 있는 월출산 일대에 지정된 국립공원. 월출산국립공원은 아름다운 자연 경관과 유수한 문화자원, 그리고 남도의 향토적 정서가 골고루 조화를 이루고 있는 한반도 최남단의 산악형 국립공원이다. 우리나라의 다른 국립공원에 비해 면적이 좁은 편이다

  • 월터정 / ─鄭 [예술·체육/체육]

    해방 이후 스포츠 외교가로 알려진 체육인. 재미교포 2세. 1904년 하와이 파할라(Pahala)에서 출생하였다. 초등학교 때부터 골프 캐디, 양복점 재단조수, YMCA 체육지도원 견습생 및 보조지도자 등의 경험으로 자립정신을 키웠다.1932년 미국 공화당에 입당하여

  • 월포리자라살이터 / 月浦里─ [지리/인문지리]

    북한의 행정구역상 평안남도 평성시 월포리에 있는 자라서식지. 북한 천연기념물 제399호. 서식지는 평성시 월포리와 성천군 유동리 경계를 흐르는 대동강과 그 유역이 포함되어 있다. 이곳에는 15∼20m 높이의 석회암 절벽이 1,000m 가량 펼쳐져 있고, 유동리 쪽은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