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월미도 / 月尾島 [지리/자연지리]
인천광역시 중구에 있는 육계도로, 1920년대 돌축대를 통해 연육이 됨. 본래 인천도호부 관할이었으나 1653년(효종 4) 용종진이 설치된 후 그에 편입되었다. 월미도는 인천개항을 전후하여 외세의 각축장이 되었는데, 일제강점기에는 한때 군사기지로, 6·25사변 때에는
월봉산 / 月峯山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거창군 북상면과 함양군 서상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279m. 덕유산국립공원의 남쪽에 있는 산으로 북쪽능선을 따라 남령(藍嶺)을 지나 덕유산(1,614m)에 이르고, 남쪽으로는 큰목재·은신치(隱身峙)를 지나 거망산(擧網山, 1,184m)에 이른다. 동쪽사
월봉서원 / 月峯書院 [교육/교육]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산동에 있는 서원. 1578년(선조 11)에 김계휘(金繼輝)를 중심으로 한 지방유림의 공의로 기대승(奇大升)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광산군 비아면 산월리에 망천사(望川祠)를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46년(인조 24)에 현재의 위치로 이
월봉집 / 月峯集 [종교·철학/유학]
고인계의 문집. 목판본, 서: 홍상민, 5권 2책. 7세손 고몽찬이 1856년에 후손 고택룡과 저자의 문집을 간행하려고 구본의 시 2책과 문 2책을 다시 교정하여 각각 1책으로 줄이고 부록까지 포함하여 5권 2책으로 재편하였다. 권수에는 홍상민이 지은 서문과 목록이 있
월성원자력발전소 / 月城原子力發電所 [경제·산업/산업]
경상북도 경주시 양남면 나아리 동해안에 있는 국내 유일한 가압중수로형(加壓重水爐型) 원자력발전소. 현재의 위치는 1975년 6월에 건설부지로 확정되었으며, 부지 총 면적 218만㎡(66만평)으로 발전소와 동급의 원자로 4기를 건설할 수 있는 부지가 확보되어 있다. 현재
월소 / 越訴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소정의 소원 절차를 거치지 않고 사헌부나 왕에게 호소하던 제도. 관원이나 서민들이 억울한 일을 당하였을 때 심리를 호소하는 소원제도는 1401년(태종 1) 11월에 신문고(申聞鼓)의 설치와 함께 마련되었다. 월소금지제도는 소원의 남발을 억제하고 중간기관의 권
월악산 / 月岳山 [지리/자연지리]
충청북도 제천시·단양군·충주시와 경상북도 문경시에 걸쳐 있는 산. 월악산의 높이는 1,095.3m이며, 소백산맥이 충청북도와 경상북도의 경계를 이루는 산악지대이다. 충주호(忠州湖)에 바로 인접하여 있고, 산의 동북쪽에는 소백산국립공원이, 남서쪽으로는 속리산국립공원이 있
월악산국립공원 / 月岳山國立公園 [지리/자연지리]
충청북도 단양군·제천시·충주시와 경상북도 문경시에 걸쳐 있는 국립공원. 월악산은 동경 128°02′∼128°21′, 북위 36°47′∼36°58′에 위치하며 면적은 288㎢이다. 1984년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월악산국립공원은 예로부터 역사적·지리적·문화적으로 상당히
월암서원 / 月巖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월곡리에 있었던 서원. 1630년(인조 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주(金澍)·하위지(河緯地)·이맹전(李孟專)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37년(인조 15)하위지(河緯地)를 추가배향하였고, 1694년(숙종 20)에
월영서원 / 月影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월영동에 있었던 서원. 1713년(숙종 39)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최치원(崔致遠)의 학문과 업적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하여 위패를 봉안하였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1869년(고종 6)에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