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원효 / 元曉 [종교·철학/불교]
617-686. 신라시대의 승려. 성은 설씨, 이름은 서당이다. 29세에 황룡사에서 출가하였다. 44세에 의상과 함께 당나라로 유학을 가던 중 잠결에 마신 물이 해골에 고인 물이었음을 알고 깨달은 바가 있어 유학을 포기하였다. 그 뒤 요석공주 사이에서 설총을 낳고 파계
원효대교 / 元曉大橋 [지리/인문지리]
서울특별시 용산구 원효로와 영등포구 여의도동을 연결하는 다리. 길이 1,470m, 너비 20m의 교량이다. 민자(民資)에 의해 1981년 준공된 국내 최초로 디비닥공법(Dywidag工法)을 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장대교량이다. 이 교량의 형식은 미관과 경제성을
원효산 / 元曉山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양산시 웅상면·상북면·하북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922m. 태백산맥의 여맥이 달리는 경상남도 동부산악지대의 양산구조선(梁山構造線)과 울산구조선(蔚山構造線) 사이에 위치하며, 북쪽에는 정족산(鼎足山, 700m)과 천성산(千聖山, 812m)이 있다. 원효산의
원흥온천 / 元興溫泉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희천군 장동면 원흥리에 있는 온천.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원홍온천(元洪溫泉)으로 기록되어 있으므로 온천이 개발된 지는 450년이 넘은 것으로 보인다. 온천은 청천강 상류로 흘러드는 원흥천의 4㎞ 가량 상류에 있다. 삼면이 높은 산악에 둘려 있고, 단지 원흥천
월간집 / 月澗集 [종교·철학/유학]
이전의 문집. 목판본, 후지: 이증록(1712), 4권4책. 권1은 만사를 포함하여 88제 100여 수의 시와 2편의 소가 수록되어 있다. 권2에는 모두 82편의 서, 권3에는 잡저‧잠‧제문‧묘지‧행장 등이 실려 있다. 권4는 부록으로 묘갈명‧옥성서원봉안문‧상향축문‧제
월강서원 / 月岡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장수군 계내면 월강리에 있는 서원. 1826년(순조 26)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백장(白莊)·송보산(宋寶山)·김남택(金南澤)·최경회(崔慶會)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1868년(고종 5)
월계동장고분 / 月桂洞長鼓墳 [역사/선사시대사]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계동에 있는 삼국시대의 고분군.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20호. 2기. 영산강의 지류를 낀 낮은 구릉지대에 2기의 장고분이 자리잡고 있었다. 이 일대는 광주첨단과학산업단지로 조성됨에 따라 현지 보존을 위한 2차의 조사가 이루어졌다. 1993년 1차 조사
월계서원 / 月溪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읍 고성리에 있는 서원. 1856년(철종 7)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장말익(張末翼)과 장양수(張良守)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울진읍 무월리에 월계사(月溪祠)를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1862년에 ‘월계(月溪)’라고 사액되어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월곶진 / 月串鎭 [정치·법제/국방]
경기 교동현에 있던 수군의 거진. 『신증동국여지승람』권 13, 교동현(喬桐縣) 관방조(關防條)에 “月串鎭 在縣南十六里 有右道水軍僉節制使營”이라 하였다. 그러나 조선후기에 월곶진(月串鎭)은 강화도호부(江華都護府)로 이설(移設)되었다.
월명광산 / 月明鑛山 [경제·산업/산업]
충청북도 옥천군 청산면 명치리에 있었던 광산. 1911년 이후 일인들 명의로 전전하다가 1940년에는 조선토상흑연광업조합이 결성됨에 따라 이에 흡수되었고, 그 뒤 생산 통제를 받아 1941년에 다시 조선광업진흥회사에 흡수되었다. 충청북도와 경상북도와의 경계에 있는 팔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