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원주민란 / 原州民亂 [역사/근대사]
1885년 강원도 원주목(原州牧)에서 발생한 민란. 원주목민들이 환곡의 폐단을 시정해줄 것을 호소하기 위하여 모였다가 마침내 관아로 쳐들어가 판관, 이서의 집을 파괴, 창고지기를 불에 태워 죽이기에 이르렀다. 이에 이서들도 별도로 무리를 지어 각 촌리로 나가 양반가 등
원주분지 / 原州盆地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원주시를 중심으로 형성된 침식분지. 원주분지의 면적은 약 100㎢에 달한다. 원주분지의 동서 길이는 약 10㎞, 남북 길이는 약 15㎞이다. 동쪽에 치악산(雉岳山, 1,288m), 서쪽에 봉화산(鳳華山, 334m), 남쪽에 백운산(白雲山, 537m), 북쪽에 장
원주우산산업단지 / 原州牛山産業團地 [경제·산업/산업]
강원도 원주시 우산동에 위치한 산업단지. 1970년 3월에 공업단지 시설계획인가가 나고 1973년 5월에는 지방공업개발장려지구로 지정되었다. 1992년 5월에는 공업단지 용도별구획이 고시되었으며, 개발이 완료되었다. 1997년 현재 단지의 총면적은 35만5000㎡이고
원주치악체육관 / 原州雉岳體育館 [지리/인문지리]
강원도 원주시 명륜동에 있는 실내체육관. 1980년 5월 20일에 설립되었다. 원주의 명산으로 이름 높은 치악산의 정기를 이어받는다는 뜻으로 ‘치악체육관’이라고 하였다. 총면적은 1,598㎡, 건평은 910㎡이다. 수용인원은 7,000명이며 농구ㆍ배구ㆍ복싱ㆍ배드민턴ㆍ핸
원주향교 / 原州鄕校 [교육/교육]
강원도 원주시 명륜동에 있는 향교. 고려 인종 때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422년(세종 4) 목사 신호(申浩)가 중건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전소되었다가 1603년(선조 36) 이택(李澤)이 대성전을 중건하였다
원지국 / 爰池國 [지리/인문지리]
삼한시대 마한의 소국. 마한 54소국 중의 하나이다. 『삼국지(三國志)』위서(魏書) 동이전(東夷傳) 한조(韓條)에 삼한의 여러 소국 이름이 열거되어 있다. 이들 나라 이름은 당시의 중국음에 따라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그러므로 삼한 소국의 이름과 위치비정은 중국 고대음
원천석 / 元天錫 [종교·철학/유학]
1330(충숙왕 17)∼? 고려 말 조선 초의 은사. 두문동 72현의 한 사람이다. 할아버지는 열, 아버지는 윤적이다. 원주원씨의 중시조이다. 어릴 때부터 재명이 있었으며, 문장이 여유있고 학문이 해박해 진사가 되었다. 그러나 고려 말에 정치가 문란함을 보고 개탄하면서
원천집 / 源泉集 [종교·철학/유학]
송주환의 시문집. 9권 4책. 연활자본. 1960. 1960년경 족제 상환이 편집,간행하였다. 권1에는 시 128수,권2에는 시 53수, 권3∼6에는 서158편, 권7에는 잡저 4편, 잠명 5편, 서 2편, 기 7편, 서찬서 4편, 상량문 1편, 고유문 1편이 실려져
원청명제진설도 준경영경묘대빈묘완왕묘동 / 園淸明祭陳設圖 濬慶永慶墓大嬪墓完王墓同 [정치·법제]
원, 준경묘, 영경묘, 대빈묘, 완왕묘에서 24절기 중의 하나인 청명일에 제사를 올릴 때 제물을 제상에 배열하는 진설도. 준경묘와 영경묘는 태조의 5대조인 이양무(李陽茂)와 부인인 삼척이씨의 묘이다. 판심에 이왕직이 찍힌 용지로 보아 일제강점기 이왕직에서 작성된 문서이
원행을묘정리의궤 / 園行乙卯整理儀軌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정서류(政書類) 정조(正祖) 명편, 금속활자본(정리자), 1797년(정조 21), 10권 8책. 이 책의 구성은 수권, 권1-5, 부편, 권1-4이다. 1795년(정조 9) 윤2월 정조가 자궁(慈宮)과 함께 현륭원에 행행 때의 경위와 절차, 비용 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