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찬위” 에 대한 검색결과 21,6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572)

사전(7,07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임관인 1인, 판임관인 전독(典讀) 1인으로 바꾸었으며 전위 2인은 그대로 두었다. 이 관직은 1905년에 반포된 포달(布達) 126호의 궁내부관제의 개정시에도 친왕부의 관원으로서 계속 존속되어오다가 1910년 국권강탈 이후 폐지되었다.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조선 시대 중앙군인 오위(五衛) 가운데 전위(前衛) 충좌위(忠佐衛) 소속에 딸린 부대. 세조 2년(1456)에 처음 설치되었으며, 주로 원종공신(原從功臣)과 그 자손으로 편성되었다. 경국대전經國大典에 따르면, 충의 인원은 정해지지 않았다. 一房差備忠應入...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청원이 있었지만 이 때에 이르러서야 원종공신의 부(府)인 충익사(忠翊司)가 설정됨으로써 그 우대의 방법이 구체화되었던 것이다. 나중에는 『경국대전』에 규정되어 있지 않은 환관입후자(宦官立後者) 및 양반첩자(兩班妾子)의 종친가혼취자(宗親家婚娶者) 등도 충에 소...
    이칭별칭충좌위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의 중앙군으로서 오위(五衛)의 충좌위(忠佐衛)에 소속되었던 특수 병종(兵種).
    정의조선시대의 중앙군으로서 오위(五衛)의 충좌위(忠佐衛)에 소속되었던 특수 병종(兵種).[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Chungchanwi | MR표기Ch’ungch’anw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E5_S_0007 宋寧 정치사건 紹熙五年六月九日, 慶元二年六月 靈武, 壽康宮, 壽康 朱子, 趙丞相, 趙子直, 寧宗, 趙, 寧宗, 趙, 朱子, 光宗, 孝宗, 寧宗, 堯, 舜, 唐玄宗, 光宗, 趙汝愚, 朱子, 鄭玄, 鄭玄, 孝宗, 寧宗, 胡紘,...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24권 1장 7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8)

  • 한국신종교사전 [한국신종교사전(韓國新宗敎事典) | 원광대학교]
    저자 : 한국신종교사전편찬위원회 ... | 출판사 : 도서출판 한맘 | 출판일 : 20180625
    근대에 발생한 한국 신종교들은 근대 대중·민중의 삶을 읽어낼 수 있고, 현대 신종교들은 또 다른 종교문화의 삶을 읽어낼 수 있는 재료가 되기에 중요하다. 근현대 한국 종교문화의 흐름은 먼저 유·불·도 삼교를 주축으로 하는 전통 종교문화의 근현대적인 변모를 담고 있다. ...
  • 개화기·일제강점기(1876~1945) 재조일본인 정보사전 [개화기‧일제강점기(1876-1945) 재조일본인 정보사전 | 고려대학교]
    저자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재조일본인 정보사전... | 출판사 : 보고사 | 출판일 : 20180830
    이 『개화기·일제강점기(1876-1945) 재조일본인 정보사전』은 1876년부터 1945년까지 약 70년간 한반도에 거주했거나 한반도와 관련하여 활동한 일본인 인물정보를 종합적으로 조사, 발굴, 수집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국내외 전문 연구자들이 집필한 것이다....
  • 視聽韓語敎本 [중국문화대학 | Chinese Culture University]
    저자 : 호정환(중국문화대학), 중국문화대학 한국어문학계교재편찬위원회(중국문화대학 한국어문학계)... | 출판사 : 中國文化大學華岡出版部 | 출판일 : 2012.07
    분야교육 | 유형단행본
    제 1 단원 제 2 단원 제 3 단원 제 4 단원 제 5 단원 제 6 단원 제 7 단원 제 8 단원
  • 韓語發音 [중국문화대학 | Chinese Culture University]
    저자 : 호정환(중국문화대학), 정윤도(중국문화대학), 중국문화대학 한국어문학계교재편찬위원회(중국... | 출판사 : 中國文化大學華岡出版部 | 출판일 : 2012.07
    분야교육 | 유형단행본
    1.첫째마당 - 한국어문의 이해 2.둘째마당 - 노래로 배우는 한국어 3.셋째마당 - 동화로 배우는 한국어 4.넷째마당 - 회화로 배우는 한국어 5.다섯째마당 - 생활 한국어
  • (조선왕실의 일상 1) 조선의 왕으로 살아가기 [장서각 왕실문화총서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심재우(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학부 교수), 한형주(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교수), 임민혁(한... | 출판사 : 돌베개 | 출판일 : 2011.12.05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1. 조선시대의 왕 (1) 왕에 주목하는 이유 (2) 조선시대의 왕과 왕권 (3) 호칭으로 본 왕과 왕실 (4) 조선시대 정치 운영의 특징과 왕의 일상 (5) 왕

논문(1)

고서·고문서(2,194)

  • 經史門7_宋寧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宋寧 《語類》: “朱子曰: ‘趙丞相也有不是處.’ 問: ‘所以不是處?’ 曰: ‘公他日當自見之.’” 又曰: “趙子直亦可謂忠臣, 然以宗社之大計言之, 亦有未是處, 未知何以見先帝.” 商其意, 其上一條之不答者, 趙之不是, 卽寧宗之不是也. 下一條, 趙無以見先帝, 則寧宗獨免哉?...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四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經史篇六]論史門三_寧宗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寧宗 《語類》: “朱子曰: ‘趙丞相也有不是處.’ 問: ‘所以不是?’ 曰: ‘公他日當自見之.’” 又曰: “趙子直亦可謂忠臣, 然以宗社之大計言之, 亦有未 未: 미의회도서관본ㆍ아단문고본(가)ㆍ연세대본(가)에는 ‘不’로 되어 있다. 是處, 不知何以見先帝.” 商其意, 其上...
    서명星湖僿說類選卷之八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1 第一統統首忠李之發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699년_대대면(大代面) 1699년 대대면(大代面) 第四奉月里 1 第一統統首忠李之發 統第一戶府案付忠李之發年伍拾伍乙酉本慶州父忠繼植祖訓鍊院主簿德男曾祖訓鍊主簿世勲外祖秉節校尉龍驤尉 副司果佑本草溪妻金召史年肆拾貳戊寅本慶州父定虜衛冷祖別侍繼日曾...
    연도_면이름1699년_대대면(大代面) | 면이름대대면(大代面) | 마을이름第四奉月里
  • 1 第一統統首忠朴世昌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699년_대대면(大代面) 1699년 대대면(大代面) 第五八等里 1 第一統統首忠朴世昌 統第一戶 府案付忠朴世昌年伍拾陸丙戌本密陽父通政大夫宗立祖通政大夫文曾祖宣武原從功臣訓鍊院判官遜外祖通政大夫朴愛男本 蔚山母良女召史今故妻良女朴召史年肆拾陸甲午本迎日父正兵云...
    연도_면이름1699년_대대면(大代面) | 면이름대대면(大代面) | 마을이름第五八等里
  • 6 第六統統首忠金尙哲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02년_웅촌면(熊村面) 1702년 웅촌면(熊村面) {第}---{里} 6 第六統統首忠金尙哲 統第一戶 府案付忠金尙哲年伍拾癸亥本金海父忠太成祖忠貴南曾祖宣武原從功臣訓鍊院貞 連外祖定虜衛辛應龍本靈山妻朴召史年參拾捌乙巳本密陽父正兵山好祖正兵石乙金曾祖...
    연도_면이름1702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里}

구술자료(5)

  • 강신항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족관계와 성장기, 서울대학교 재학시절, 학도호국단, 한국전쟁, 국방부 전사편원회, 공군 입대 국방부 전사편원회의 구성, 국방부 전사편원회의 역할, 한국전란1년지 집필을 위한 자료수집 방법, 한국전란1년지 집필 과정, 공군 정훈장교로서의 직책과 활동 내용,
    분야역사 | 유형인물 | 지역서울 | 시대현대 | 테마현대사와 군
  • - 농-군- , 시절이 - , 이, 이 - 로다- 다 아 솔라도레미솔‘라’ 라를 퇴성하면서 종지 솔라레 비고정 장단 곡 ♪ = 150 이소라, [순창의 민요]금과들소리보존회, 2005년. 74쪽. 이소라,“팔탄농요”[충효예의 고장 (곤)]화성시사편원회, 2
    녹음지역전라북도 익산시 삼기면 오룡리 검지 | 녹음날짜1985.3.22 | 가창방식멕받형 (선후창)
  • 3마디 ♩. = 67 이소라,[순창의 민요]금과들소리보존회, 2005년. 82, 182쪽. 이소라,“팔탄농요”[충효예의 고장 (곤)]화성시사편원회, 2005. 235, 223, 495쪽. (익산 02) 자진 방아타령.jpg ‘익산 CD 자진방
    녹음지역전라북도 익산시 삼기면 오룡리 검지 | 녹음날짜1985.3.22 | 가창방식멕받형 (선후창) 끝3행은 선입후제창
  • 김조형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공장에서 상임고문으로 활동함 - 제약업에서 완전히 물러난 후 개성시민회에서 편원으로 활동함 - 우메기, 홍해삼, 탕평채 등의 토속음식을 소개함 - 남북관계가 개선되어 서신 왕래 정도는 가능했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피력 월남민 구술 연구사업의 자료로서 구
    구술자김조형 | 직업사업가 | 지역경기도
  • 조완규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 선인재단, 성신여학교, 인천대학교, 육군본부 전사편원회, 전시연합대학, 정수장학회, 카이스트(KAIST), 키스트(KIST), 학도호국단,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해주동중학교, 해주서중학교, 학도호국단, 한국통계학회, 행정초등학교, KBS, MBC, 빌 앤 멜린다
    구술자조완규 | 직업연구소 이사장 | 지역불명

기초학문(4)

  • 국사편원회 소장 〈國有地調査書(抄)〉에 대하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1
    71249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1 국사편원회 소장 〈國有地調査書(抄)〉에 대하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해방 직후 북한학계의 민족해방운동사 인식과 편찬 - 조선력사편원회 간행 〈조선민족해방투쟁사〉의 검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장세윤, 게재일 : 2004
    09295 장세윤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고려사학회 2004 해방 직후 북한학계의 민족해방운동사 인식과 편찬 - 조선력사편원회 간행 〈조선민족해방투쟁사〉의 검토 https://www.krm.or.kr/krmts/l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대한제국기 태양력의 시행과 역서의 변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성희, 게재일 : 2003
    11221 정성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國史編員會 2003 대한제국기 태양력의 시행과 역서의 변화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조선 초기 국왕 친인척의 정치 참여와 ‘君親無將’ 원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윤주, 게재일 : 2014
    55892 김윤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특별시사편원회 2014 조선 초기 국왕 친인척의 정치 참여와 ‘君親無將’ 원칙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5,791)

  • 헌법초안(법전편원회안)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9) 건국헌법제정 헌법초안(법전편원회안)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48년 5월 미군정청 사법부 법전편원회 헌법기초분과위원회 『현민 유진오 제헌헌법 관계 자료집』(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9) 법령/통계/조사보고서 20 ...
    대표표제어헌법초안(법전편찬위원회안) | 자료유형법령/통계/조사보고서 | 집필자미군정청 사법부 법전편찬위원회 헌법기초분과위원회 | 출처『현민 유진오 제헌헌법 관계 자료집』(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9) | 키워드법전편찬위원회, 헌법기초분과위원회, 권승렬, 양원제, 내각책임제, 국민, 친일파 처벌 규정, 정치적 정통성
  • 남조선과도정부 법전편원회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9) 건국헌법제정 남조선과도정부 법전편원회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80년 유진오 『헌법기초회고록』(서울: 일조각, 1980)(pp.17-92) 회고/전기 76 이 글은 헌법 및 정부조직법 기초전문위원이었던 유진오가 행정연구...
    대표표제어남조선과도정부 법전편찬위원회 | 자료유형회고/전기 | 집필자유진오 | 출처『헌법기초회고록』(서울: 일조각, 1980)(pp.17-92) | 키워드행정연구회, 신익희, 헌법기초위원회, 유진오, 헌법초안, 이승만
  • 동아인터뷰 이현종 국사편원장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18) 역사교과서문제 동아인터뷰 이현종 국사편원장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82년 8월 6일 동아일보사 동아일보 기사/사설 6 이 글은 일본 교과서의 한국관계왜곡 서술 문제를 놓고 국회에서 마라톤 회의와 대정부 질의가 계속되는...
    대표표제어동아인터뷰 이현종 국사편찬위원장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동아일보사 | 출처동아일보 | 키워드국사편찬위원장, 한일관계, 역사왜곡, 식민사관, 타율성이론
  • 摠辦免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의친왕부춍판 민봉식씨 부첨으로 젼임고 김택긔씨가 춍판으로 승임얏더라
    게재일1907년 4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 王府摠辦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의친왕부춍판은 젼공 민쳘훈씨가 피임고  졍삼품 김긔씨가 피임엿다더라
    게재일1906년 7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160)

  • 이조실록 편찬 완성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본 뉴스는 국사편원회에서 조선왕조실록을 축소 제작하는 과정을 영상으로 담고 있다.
    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56년 10월 10일 | 제작공보처
  • 불교의 역사와 교단_1주차_1차시
    [불교의 프리즘으로 보는 한국성의 글로컬리티 | 동국대학교]
    교 국사학과 교수 전공분야│한국고대사 학 력│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박사 주요약력│ 현) 국사편원회 국사편원 현) 역사실학회 지역이사 현) 대구사학회 섭외이사 현) 이화사학연구소 편집위원 현)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소장 현) 한국사상사학회 편집위원 교단과
    강좌제목교단과 종파 | 강의자박광연
  • 불교의 역사와 교단_1주차_2차시
    [불교의 프리즘으로 보는 한국성의 글로컬리티 | 동국대학교]
    교 국사학과 교수 전공분야│한국고대사 학 력│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박사 주요약력│ 현) 국사편원회 국사편원 현) 역사실학회 지역이사 현) 대구사학회 섭외이사 현) 이화사학연구소 편집위원 현)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소장 현) 한국사상사학회 편집위원 교단과
    강좌제목교단과 종파 | 강의자박광연
  • 불교의 역사와 교단_1주차_3차시
    [불교의 프리즘으로 보는 한국성의 글로컬리티 | 동국대학교]
    교 국사학과 교수 전공분야│한국고대사 학 력│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박사 주요약력│ 현) 국사편원회 국사편원 현) 역사실학회 지역이사 현) 대구사학회 섭외이사 현) 이화사학연구소 편집위원 현)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소장 현) 한국사상사학회 편집위원 교단과
    강좌제목교단과 종파 | 강의자박광연
  • 불교의 역사와 교단_1주차_4차시
    [불교의 프리즘으로 보는 한국성의 글로컬리티 | 동국대학교]
    교 국사학과 교수 전공분야│한국고대사 학 력│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박사 주요약력│ 현) 국사편원회 국사편원 현) 역사실학회 지역이사 현) 대구사학회 섭외이사 현) 이화사학연구소 편집위원 현)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소장 현) 한국사상사학회 편집위원 교단과
    강좌제목교단과 종파 | 강의자박광연

기타자료(6,331)

  • 동식물도감편원회규정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동식물도감편원회규정 동식물도감편원회규정 교육 문헌 현대 교육법령 법령 교육과정 교육매체
    범주1교육법령 | 형식관보 | 한글저자문교부령
  • 초등교재편원회편 어린이국사 상권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재편원회편 어린이국사 상권 초등교재편원회편 어린이국사 상권 初等敎材編員會編 어린이國史 上卷 교육 문헌 교육과정 교과서ㆍ지도서 교육과정 ...
    범주1교육과정 | 형식문서 | 사료철명RG 331, SCAP, Civil Information & Education Section, Education Division, Textbook & Curriculum Branch, Textbooks and Translation, 1946-51, Box 5597
  • 부산시교육위원회예규집편원회규정제정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부산시교육위원회예규집편원회규정제정 부산시교육위원회예규집편원회규정제정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교육법령 자치법규
    범주1교육행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부산시교육위원회교육감 | 사료철명조례훈령규칙
  • 강원교육지편원회규정공포(33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강원교육지편원회규정공포(33호) 강원교육지편원회규정공포(33호)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교육법령 자치법규
    범주1교육행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강원도교육위원회교육감 | 사료철명훈령
  • 교육감 3대 행정지표 및 강원교육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감 3대 행정지표 및 강원교육편원 교육감 3대 행정지표 및 강원교육편원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
    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사료철명강원교육

연구과제(14)

주제어사전(35)

  • / [역사/근대사]

    과 함께 판임관인 전위 2인이 있었다. 그 뒤 1902년 제도가 재편되면서 영을 없애고 대신 칙임관으로서의 총판 1인, 주임관인 1인, 판임관인 전독 1인으로 바꾸었으며 전위 2인은 그대로 두었다. 이 관직은 1905년에 반포된 포달 126호의 궁내부관제의 개정시

  • / 忠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의 중앙군으로서 오위의 충좌위에 소속되었던 특수 병종. 1456년(세조 2)에 처음 설치된 것으로 원종공신의 자손들을 편입하게 한 특권적인 병종이었다. 나중에는 ≪경국대전≫에 규정되어 있지 않은 환관입후자 및 양반첩자의 종친가혼취자 등도 충에 소속되는 특

  • 차비충 / 差備忠 [정치·법제/법제·행정]

    가례 등의 의례 행사 때 충에서 의장을 위해 차출된 군인. 조선 시대 가례 및 향사 등의 의례 행사 때 임시로 도감이 만들어지거나 할 때 의장, 의례 행사에 동원할 관원을 차비하였다. 이때에 중앙 군인 오위의 충에서 많이 차출되었다. 그들은 주로 원종공신의

  • 김택영 / 金澤榮 [종교·철학/유학]

    항일기의 학자(1850∼1927). 홍문관 찬집소에 보직되어 문헌비고 속원으로 있으면서 통정대부에 올랐다. 학부 편집위원이 되었으나 사직하였다. 계몽사상가 양계초·장병린 등과 교유가 있었다. 저서로는《한국소사》등 다수가 있다.

  • 오위 / 五衛 [정치·법제/국방]

    배(彭排), 충좌위에 충의위(忠義衛)·충(忠)·정병(正兵)·장용위(壯勇衛)가 각각 속하는 것으로 성문화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