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정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7,10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통신사
연구성과물(26,803)
사전(9,066)
- 안분당유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정사하(鄭師夏)의 시문집. [내용] 4권 1책. 목활자본. 1850년(철종 1) 현손 두영(斗永)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치명(柳致明)의 서문이 있고 발문은 없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3에 시...
- 남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감이 되었다가 다시 어의(御醫)로 근무하였다. 그뒤 마전군수ㆍ첨지중추부사를 지내고, 1616년에 음죽현감으로 나갔다가 임소에서 죽었다. 병조참판에 추증되었고, 1646년(인조 24)에는 다시 의정부좌참찬에 추증되었다. 함창의 아곡정사(雅谷精舍)에 제향되었다. ...이칭별칭 사수(士秀)| 고산(孤山)
- 백치유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인 정사화(鄭思和)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29년 정사화의 아들 정훈석(鄭薰錫)이 편집하고 간행하였다. 권두에 조긍섭(曺兢燮)의 서문과 권말에 이후(李垕)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2권 1책...
- 선불보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숭정사(崇正社)에서 7개월간 행사한 내용을 수록한 책. [개설] 숭정사는 정도(正道)를 숭상한다는 뜻으로 불교의 정사(精社)나 도교의 도관을 본받아 결성한 종교단체로서, 도교의 교리를 숭봉하지만 불교의 색채도 가미하고 있어 책명을 『선불...
- 신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비로소 그들이 오대산의 오류성중(五類聖衆)임을 깨달았다고 한다. 그가 살았던 모옥은 지금의 월정사(月精寺)이다. 생애가 설화적이나 효도와 살생, 인간의 내면세계, 보살의 교화 등 깊은 뜻을 내포하고 있다. 그 뒤 모옥에 범일(梵日)의 제자 신의(信義)가 와서 암...이칭별칭효신(孝信)
단행본(2)
- 조선후기 통신삼사의 국내활동 [조선후기 통신삼사의 국내활동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임선빈 ... | 출판사 : 경인문화사 | 출판일 : 20240530조선후기 통신삼사에 대해 통신사 파견의 추이, 통신삼사의 인물별 개황, 통신사 인물 사례 연구로 나누어 살폈다. 조선후기 통신사 파견의 추이는 본 연구의 배경에 해당한다. 조선후기 통신사행은 선조 40년(1607)에 처음 다녀왔으며, 순조 11년(1811)에 끝났다...
- (한국학자료총서 31) 예천 맛질 박씨가 일기 7 [기록문화유산의 보존관리시스템 구축사업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옥영정(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학부 교수), 정치영(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예술학부 교수), 김...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2.02.28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辛亥年(1911) 壬子年(1912) 癸丑年(1913) 甲寅年(1914) 乙卯年(1915) 丙辰年(1916) 丁巳年(1917)
논문(1)
- 8_화서 이항로의 斥邪衛正思想에 대한 이론적 근거와 실천 -周易傳義同異釋義와 斥邪疏를 중심으로- [심설논쟁 아카이브 구축 -자료의 수집‧발굴, 교감‧표점, 해제, 해석- | 한국전통문화대학교]저자 : 김병애 | 게재정보 : 민족문화
고서·고문서(15,751)
- 精舍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700 與猶堂全書補遺○餛飩錄 ITKC_MP_0597A_1700_040_0180 精舍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餛飩錄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精舍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240 附 雜纂集 二 ITKC_MP_0597A_0240_040_0310 精舍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권차명附 雜纂集 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정사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정사 김 남자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边朝鲜族自治州) 연길현(延吉县) 명동공사 농업기술추광참 2 1 정사...대표표제어정사 | 성씨김
- 구옥정사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九玉靜史 啞則已矣言則烏得免一番此 行耶萬事自有天定決非人力 所可犯也別懷善惡何暇言哉未 審其來靜履何如侄兒婚事 間已送單擇吉耶士聖會試得失 何居甚鬱時間何如儒疏何 以爲之云耶從水陸顚倒無撓入 來而居地掠人皆曰島中㝡末 可謂名不虛得也餘在後便詳言 不宣伏 丙子二月十六日夜從益鉉분야문학 | 유형문헌
- 구옥정사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九玉靜史 向日舡回不見書心甚如惄而設 亦有之亦是依舊窮不自保傷心亂 意之辭也呵呵示乘凉生有一來之計 絶域相面意非不切而奈家政之難曠及 行資之無備何想未免欲起還寢也 第春川壽侄是吾儕之責也一不往 反雖緣事勢之難抽外人之疪謗者 亦何能商量其到底而望其恕之耶 人之多言亦可畏也須一番啚之如何聖 云譜事當此...분야문학 | 유형문헌
구술자료(24)
- 정사년 수파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오후 6시 40분 제보자 집을 방문하여 마침 저녁 식사를 마친 제보자와 인사를 나누었다. 조사 취지를 설명 듣고는 노인들이 많이 모인다는 정동석씨 사랑방으로 안내를 했다. 그 곳에는 부락 노인 5명이 있었는데, 제보자가 조사 취지를 설명하고 누구든지 이야기나 노래...조사일시1980-11-17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 제보자유상원
- 정사완네 맏딸애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의 친정인 성주군 수륜면 송내동에서, 베를 짜며 부르는 모친의 노래를 듣고 배웠다. 제보자 역시 마을 동무들에게 가르쳐 주며 베를 짜면서 익혔다. *조사일시1979-10-01 | 조사장소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대황2동 | 제보자이내미
- 정사완네 맏딸애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장소경상북도 성주 | 제보자미상
- 정사헌네 맏딸애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계속해서 제보자 김돌룡이 불렀다. 18세에 본동으로 시집와서 황솔댁 아주머니(작고)에게 배웠으며, 삼 삼을 때나 모심기 할 때 불렀다고 했다. 역시 서사민요인 듯 생각되며 처음에는 민요 가락으로 부르다가 구술로 바꾸어서 했다. 청중들은 연신 제보자의 총기에 감탄했으...조사일시1981-07-21 | 조사장소경상북도 상주군 낙동면 용포리 | 제보자김돌룡
- 빈대로 망한 봉정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일시1982-01-12 | 조사장소전라남도 장성군 삼계면 월연리 | 제보자김일현
기초학문(134)
- 미군정사료와 헌정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경주, 게재일 : 200314256 이경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공법학회 2003 미군정사료와 헌정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fb33b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자유주의와 공정사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주성, 게재일 : 201147017 김주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정치사상학회 2011 자유주의와 공정사회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유형논문 | 게재일2011
- 正史와 情史 사이: 3ㆍ1운동, 후일담의 시작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혜령, 게재일 : 200940801 이혜령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민족문학사학회 2009 正史와 情史 사이: 3ㆍ1운동, 후일담의 시작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유형논문 | 게재일2009
- 정사와 정사 사이 ; 3.1운동, 후일담의 시작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960609 한국연구재단 민족문학사학회 2009 정사와 정사 사이 ; 3.1운동, 후일담의 시작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유형논문 | 게재일2009
- 근대적 사랑의 이면: ‘정사(情死)’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061951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0 근대적 사랑의 이면: ‘정사(情死)’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유형논문 | 게재일2010
신문·잡지(1,098)
- 正使副使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음력월 이십일에 의친왕뎐하 슈졔졀을 거기위야 젼보국죠병식씨 졍피명고 젼판셔김학진씨 부피명얏다더라게재일1906년 4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定査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부에셔 겸임즙포관 려군수 박항씨에게 뎐훈기를 젼쥬군 회민이 평민과 상힐한일을 효유차로 관찰에게 이왕뎐칙엿더니 지금지 금즙지못엿다기에 즙포관으로 사관을뎡얏시니 젼쥬에 급왕야 별반효유고 곳 사보라엿다더라게재일1905년 3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 參政辞疏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참위김교션 방영쥬 랑씨 년젼 일본부관유학 관으로 모역에 범야 형에쳐 쟝호익등외 △부로 류되얏다가 되얏 모쳐에셔 부직을 식히라 하난고로 군부협판 김승규씨 샹소야 갈니고 대신도아즉 상지즁이더니 일젼 졍부에서 모국관인이 그 건으로 참졍대신을 론박난고...게재일1905년 6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勿幹政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죠칙이나리시기를 군인이졍치에 간셥이업계은 군상에 젼심치지야 급에 쓰고져이어늘 근일긔률이이야 군인가 본의을직희지안코 망령도이죠뎡득실을 론란 을 셰운이아니라 금이후로 군부에나 졍부에 임잇쟈외에 안으로 시죵무관이며 밧그로 진위장졸은 졍상에 의...게재일1905년 12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 痴哉情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남촌 리무경의쳡 초동집이 방년이 이십여셰오 화용월 요조데 종로 은방는 김모가 샹죵야 운우의 졍이 지극더니 김모가 그녀인과갓치 로치못을 분히넉여 작년가을에 약을먹고 쥭으니 초동집이 김모를 쥬야에 각고 하종기를 다가 슈일젼에 아편을먹고 쥭엇다더라게재일1903년 2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67)
- 수정사지 yy3-0148_#1 유구 금당지 앞쪽 담장 2014-03-10_0.3928797_금당지 앞쪽 담장.JPG yy3-0148_#2 유구 금당지 정면 중정 2014-03-10_0.3433191_금당지 정면 중정.JPG제목수정사지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있다. 1주차. 불국사와 석굴암 2주차. 불보사찰 통도사 3주차. 법보종찰 해인사 4주차. 승보사찰 송광사 5주차. 영주 부석사 6주차. 속리산 법주사 7주차. 해남 대흥사 8주차. 안동 봉정사 9주차. 십승지에 위치한 마곡사 52주차. 선암사의 다양성 주수완강좌제목템플스테이로 경험하는 한국불교 II | 강의자주수완 교수, 이정은 교수, 안대환 교수
- 있다. 1주차. 불국사와 석굴암 2주차. 불보사찰 통도사 3주차. 법보종찰 해인사 4주차. 승보사찰 송광사 5주차. 영주 부석사 6주차. 속리산 법주사 7주차. 해남 대흥사 8주차. 안동 봉정사 9주차. 십승지에 위치한 마곡사 53주차. 선암사의 다양성 주수완강좌제목템플스테이로 경험하는 한국불교 II | 강의자주수완 교수, 이정은 교수, 안대환 교수
- 있다. 1주차. 불국사와 석굴암 2주차. 불보사찰 통도사 3주차. 법보종찰 해인사 4주차. 승보사찰 송광사 5주차. 영주 부석사 6주차. 속리산 법주사 7주차. 해남 대흥사 8주차. 안동 봉정사 9주차. 십승지에 위치한 마곡사 54주차. 선암사의 다양성 주수완강좌제목템플스테이로 경험하는 한국불교 II | 강의자주수완 교수, 이정은 교수, 안대환 교수
- 있다. 1주차. 불국사와 석굴암 2주차. 불보사찰 통도사 3주차. 법보종찰 해인사 4주차. 승보사찰 송광사 5주차. 영주 부석사 6주차. 속리산 법주사 7주차. 해남 대흥사 8주차. 안동 봉정사 9주차. 십승지에 위치한 마곡사 55주차. 선암사의 다양성 주수완강좌제목템플스테이로 경험하는 한국불교 II | 강의자주수완 교수, 이정은 교수, 안대환 교수
기타자료(660)
- 정사섭;鄭四燮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4163 일본 廣島 廣島高等學校 廣島高等學校一覽 大正15年4月~大正16年3月 1926 97면 정사섭;鄭四燮 조선학교소재지역廣島 | 학교명廣島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정사섭;鄭四燮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4169 일본 廣島 廣島高等學校 廣島高等學校一覽 昭和2年4月~昭和3年3月 1927―08―28 92면 정사섭;鄭四燮 조선학교소재지역廣島 | 학교명廣島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정사섭;鄭四燮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4184 일본 廣島 廣島高等學校 廣島高等學校一覽 昭和3年4月~昭和4年3月 1928―07―25 92면 정사섭;鄭四燮 조선학교소재지역廣島 | 학교명廣島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정사섭;鄭四燮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4198 일본 廣島 廣島高等學校 廣島高等學校一覽 昭和4年4月~昭和5年3月 1929―09―15 85면 정사섭;鄭四燮 조선학교소재지역廣島 | 학교명廣島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정사섭;鄭四燮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4229 일본 廣島 廣島高等學校 廣島高等學校一覽 昭和5年4月~昭和6年3月 1930―07―12 142면 정사섭;鄭四燮 조선 제4회 1930년 3월 10일학교소재지역廣島 | 학교명廣島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2)
-
「한국학연구소」 설립과 차세대 연구 전문인력 양성 및 산동성 지방지에 나타난 唐代 한국학 자료 DB 구축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鐘潔 | 山東師範大學 (Shandong Normal University) | 2024 | 국외 | 해외
-
『冊府元龜』 한국 관계 기사 집성 및 역주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정운용 | 고려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이진한 | 고려대학교 | 2014 | 국내 | 서울
-
영․정조대 국가운영과 왕실재정-정례서를 통해 본 왕실과 나라 살림-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최주희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4 | 국내 | 경기
-
한국 근대(고종‧순종시대: 1863~1910년) 기록물의 아카이빙과 활용방안 연구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이태진 | 서울대학교 | 2024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292)
-
정사 / 正使 [정치·법제/외교]
조선시대 조선 조정에서 중국이나 일본으로 보내는 사행의 우두머리. 조선시대 외교정책의 근간은 사대와 교린의 정책이었다. 명·청에 대해서는 사대정책을 취했고, 일본·여진·유구 등에 대해서는 교린정책을 취하였다. 이로써 국내적으로는 정치적 안정을 꾀하는 한편, 국제적으로
-
고봉정사 / 孤峯精舍 [예술·체육/건축]
충청북도 보은군 마로면에 있는 조선전기 최수성·김정·구수복 등이 창건한 서당.시도기념물.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건불. 충청북도 기념물 제51호. 2단으로 쌓은 석축을 기단으로 하고 그 위에 정방형에 가까운 모양의 덤벙주춧돌을 놓고 민흘림으로 된 둥근 기둥을
-
구전정사 / 口傳政事 [정치·법제/정치]
고려 후기 왕의 구두명령을 받아 정치하는 것을 뜻하는 말. ≪고려사≫에 의하면 1319년(충숙왕 6)에 왕이 이창에게 구전수직하여 당후관에 임명한 것이 그 시초라고 보고 있다. 구전정사는 본래 정상적인 절차는 아니며, 전정이 문란해지면서 왕이 구전으로 관리를 임명하
-
귀정사지 / 歸政寺址 [예술·체육/건축]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만행산(萬行山)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사찰터.시도기념물. 전라북도 기념물 제76호. 귀정사는 515년(백제 무령왕 15)에 현오국사가 창건하였으며, 창건 당시의 이름은 뒷산의 이름을 딴 만행사였다.그 후 1002년(목종 5) 대은선사(大隱禪師
-
금대정사 / 金臺精舍 [예술·체육/건축]
을 개조하여 이름을 고친 것이 우모정(寓慕亭)이다.한편, 금대 서편에 있는 지악정(芝嶽亭)은 지악 조동도가 1624년(인조 2)에 소규모로 건립하였으나, 그후 퇴락이 심하여 1962년에 현재와 같이 확장 중건하였다.현재 금대정사는 산을 등진 높은 대 위에 동남향으로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