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1,713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왕실의 흉례(凶禮) 시 명기(明器)로 사용되었던 갑옷. 갑(甲)은 푸른 마름꽃 무늬가 있는 종이인 청릉화(靑菱花)를 아홉 번 잇대어 미늘[札]을 만들고, 채색을 사용하여 두정(頭釘)을 그려서 표현하였으며 녹피(鹿皮)를 사용하였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강사포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왕의 조복(朝服)으로 착용되는 붉은 비단으로 만든 포(袍). 왕이 삭망(朔望)ㆍ조강(朝降)ㆍ진표(進表)ㆍ조현(朝見)ㆍ조참(朝參) 등에 착용한 조복(朝服)은 원유관(遠遊冠)과 강사포(絳紗袍),규(圭), 관(冠), 의(衣), 상(裳), 중단(中單), 패(佩), 수(綬),...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강장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배를 만드는 것을 전문으로 하는 장인. 평상시에는 배를 만들다가 국장 시 의례용 수레나 옹가(甕家), 녹로(轆轤)등을 만드는 과정에서 부재에 구멍 뚫는 일을 담당하였다. 선장(船匠)으로도 표기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강철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철의 한 종류로 비교적 강한 성질을 지니도록 만든 것. 주로 돌을 가공하는 정(釘) 등을 만드는 데에 사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개명정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상례(喪禮) 때 명정(銘旌)을 고쳐 쓰는 일. 명정은 장례 때 죽은 사람의 품계, 관직, 본관, 성씨 등을 기록하여 관 앞에 세우는 붉은 깃발이다. 국왕의 국장에는 붉은 비단에 전자(篆字)로 대행왕 재궁(大行王梓宮)이라 세로로 쓰고, 내상(內喪)이면 예자(隸字)로 대...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개아장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개아장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뚜껑 만드는 일을 전문으로 하는 장인. 가례나 책례, 국장, 예장(禮葬) 시 의례용 요여(腰輿)나 채여(彩輿)ㆍ연여(輦輿)의 뚜껑을 만들었다. 여(輿)의 뚜껑[蓋兒]은 가운데에서 네 모서리로 만충연(彎衝椽)을 걸고 그 위에 비단천인 모단(冒段)이나 아청(鴉靑)을 대개...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개와/기와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기와를 잇는 행위 또는 기와. 지붕을 덮어 마감하는 재료인 기와는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한데, 크게 일반 기와와 장식 기와로 나눌 수 있다. 일반 기와에는 암키와와 수키와, 암막새와 수막새 등이 있으며, 크기에 따라 대와(大瓦), 중와(中瓦), 소와(小瓦) 등으로 구분...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개와장/기와장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조선 시대에 선공감(繕工監)에 딸린 공장(工匠)의 하나. 기와를 굽거나 기와나 이엉을 잇는 일을 맡아 하였다. 다른 장인들이 대체로 하루 단위로 공임을 받았던 반면, 개와장은 일의 분량에 따라 임금을 받았다. 가령 오량각(五樑閣)은 매 간(間)마다 돈 6전을, 행각(...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개와장/기와장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1 2 3 4 5 6 7 8 9 10 끝
페이지 / 172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