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1,713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감이백휴지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감는 용도로 사용하는 흰색의 휴지. 휴지는 훼손되거나 잘라내어 원래의 용도로 사용할 수 없게 된 종이를 말한다. 백휴지 앞에 붙어있는 감이[甘伊]는 감는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감이백휴지는 감는 데 사용하는 백휴지라는 뜻이다. 백휴지는 도배를 할 때 초배나 재...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감이후백지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감는 용도로 사용하는 두꺼운 흰 종이. 백지는 닥나무 껍질을 도련(擣鍊)하여 얇게 만든 흰색을 띠는 종이이다.그 앞에 후(厚)-는 일반적인 백지에 비하여 두껍게 만들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감이[甘伊]는 감는다는 뜻을 나타낸다. 따라서 감이후백지는 감는 용도로 사용하는...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감자비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띠쇠를 ㄷ자형으로 꺾어 만든 보강하는 철물. 대문이나 문장부에 감아 박거나 기둥이나 대들보에 겹쳐 대고 박는 쇳조각으로, 대문 널 밑과 같은 곳을 감아주는 데 사용되었다. 또 해금의 통밑에 대어 통을 보호하는 구실을 하는 ㄴ자 모양의 쇠붙이를 말하기도 한다. 크기와 ...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감자비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① 띠쇠를 ㄷ자형으로 꺾어 만든 보강하는 철물. ② 해금의 통밑에 대어 통을 보호하는 구실을 하는 ㄴ자 모양의 쇠붙이. 감자비는 문맥에 따라 지시하는 기물이 달라진다. 가령 대문이나 문장부에 감아 박거나 기둥이나 대들보에 겹쳐 대고 박는 쇳조각으로, 대문널 밑과 같은...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감자비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감자비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감자비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감조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국가에서 필요로 하는 물건을 만들거나 건축, 토목 공사를 감독하는 일,또는 그 관원. 국가적으로 중요한 행사나 건축, 토목 공사가 있을 때 임시로 구성하는 관청인 도감(都監)에서 패장(牌將)을 거느리고 실질적인 노역이나 공사를 감독하는 역할을 하는 관원을 감역관이라 ...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감투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왕의 가례 때 귀유치[歸遊赤]와 내관(內官)이 쓰던 모자.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后嘉禮都監儀軌에서부터 고종명성후가례도감의궤高宗明星后嘉禮都監儀軌에 이르기까지 왕의 가례 시 귀유치와 내관 등이 홍주의(紅紬衣)나 자적주의(紫的紬衣), 녹주의(綠紬衣)를 입고 감...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물건을 담아 보관하는 작은 상자. 중요한 물건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할 물건을 감싸 안듯이 만들어 사용하였다. 가령 죽책을 보관할 때 죽책을 갑(匣)에 싸서 흑칠한 내궤와 외궤에 넣어 보관하였는데, 이때 사용한 갑(匣)을 죽책갑이라 한다. 이 밖에 용도에 따라 도장을 ...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1 2 3 4 5 6 7 8 9 10 끝
페이지 / 172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