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서·고문서 11,066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金楚香 [2] 전생차생(前生此生) 무삼 죄가 지즁하야 우리 량인이 외 상겨 이다지 간장을 다 녹이느냐…… 아이구대구 허허허 성화가 낫네… 흥
    구분잡가
  • 〈o〉내용상 ‘影ヲ慕ヒテ’로 보임.〈/o〉 〈mn〉숫자악보, 가사가 기록됨〈/mn〉 〈#141〉 [ 1. ] まぼろしの 影(かげ)を慕(
    구분창가 | 편저자洪鍾起
  • 〈#142〉 [ 1 ] 〈o〉원전의 페이지가 잘려 절 번호와 첫 행, 두 번째 행의 한자 발음 표기가 누락됨〈/o〉 歸りや内地も 一夜の浪
    구분창가 | 편저자洪鍾起
  • 。ㅂㅇㅓㄱ;。ㄱㅇㅜㄱ;새 왜? 우나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mn〉오선악보〈/mn〉 〈#18〉 。ㅂㅇㅓㄱ;。ㄱㅇㅜㄱ;새 。ㅂㅇㅓㄱ;。ㄱㅇㅜㄱ; 。ㅂㅇㅓㄱ;。ㄱㅇㅜㄱ; 바위 우에서 온종일 울고 울어
    구분창가 | 편저자文揎皓
  • 「古調아리랑」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上】 朝鮮江山(조선강산) 어데를 가던지 아리랑고개 업는 데가 업스며 아리랑 멜로듸가 흐르지 안는 곳이 업다고 하겟습니다 그런데 原來(원래)
    구분잡가
  • 「咸鏡道아리랑」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2] 山(산)마루 올라서 바라를 보니 아득한 하눌가 힌구름 날고 봉오리∧ 진달레 붉어 마음은 우노라 그리운 故鄕(고향) 아리∧∧아라리오
    구분잡가
  • 「新아리랑」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4] 豊年(풍연)이 든다네 豊年(풍연)이 들어 이 江山三千里(강산삼쳘리)에 豊年(풍연)이 와요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구분잡가
  • 「江原道아리랑」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3] 노다 가게∧ 저 달이 지도록 노다 가게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얼시구 노다 가게 〈mc〉옷자락에 매여달려 노다 가라고 哀願(애원)
    구분잡가
  • 「토―키아리랑」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8] 草堂(초당)에 이야 곱다만은 이 모은 울 밧갓 맘만 散亂(살난)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가잔다∧ 님을 라 고개
    구분잡가
  • 「嶺南아리랑」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5] 西山(서산)에 지는 해는 지고십허 지며 날 바리고 가는 님은 가고십허 가나 아리∧랑 스리∧랑 아라리가 낫네 아리랑 어리헐시구  넘어
    구분잡가
페이지 / 1107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