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서·고문서 659,610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弔禮迎送之節。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士喪禮〉始死之初,君使人弔,主人迎于寢門外。賓出,主人拜送于外門外。【〈喪大記〉,大夫於君命,送于寢門外】 又君視斂,主人出迎于外門外。【視大斂】 二車畢
    권차명喪禮外編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弔禮,主人之位,亦在西階。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宮室階戺之制,今雖蕩然,然愛禮存羊,君子所務。其在〈曲禮〉曰:“居喪之禮,升降不由阼階。” 其在〈坊記〉曰:“升自客階,受弔於賓位,敎民追孝也。” 〈喪大記
    권차명喪禮外編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弔禮,賓不答拜。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曲禮〉曰:“凡非弔喪,非見國君,無不答拜者。” 此甚言弔喪之無答拜也。故歷考三禮,而賓拜之文,不可見。【鄭玄云:“喪,賓不答拜,不自賓客也。”】 呂大均曰
    권차명喪禮外編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弔者致辭,不宜煩絮。主人尤不可有答。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古者弔賓致辭,只是如何不淑一語,屢見〈雜記〉,而主人遂無答詞,只以拜稽顙爲文。【致襚ㆍ致含同】 唯〈檀弓〉記公弔之禮,弔曰‘寡君承事’,主人曰‘臨’。【一字
    권차명喪禮外編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弔蠅文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嘉慶庚午之夏,蒼蠅大作,充牣室屋,戢孴蕃息,漫山蔽谷,層構桀閣,曾莫癡凍,酒戶餅市,雲屯雷鬨,耇老歎嗟,指爲怪變,少年發憤,思與搏戰,或設笱筒,使其離罥,或
    권차명文集 卷二十二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引者,紼也。御柩之索也。在殯曰紼,在堩曰引。謂引柩以就壙也。蒙士唁人,啓引或以爲發靷,誤矣。靷者,馬胸之革也。
    권차명附 雜纂集 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引壺觴而(인호상이)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朱松史 鼓 姜萬壽 [1] 引壺觴而自酌(인호상이자작)하야 酩酊(명졍)케 醉(취)한 後(후) 邯鄲枕(한단침) 도도베고 莊周蝴蝶(장주호졉)이 잠
    구분잡가 | 편저자―‧제―핸드포―드
  • 引嫌辭同副承旨疏 【乙卯春】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권차명文集 卷九 | 문체公車類|疏箚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引紼 【紼綍通】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君四綍,大夫二綍,士二綍。” 【〈喪大記〉】 鄭曰:“在棺曰綍,行道曰引,至壙將窆,又曰綍,綍或爲率。” 【孔云:“天子則六綍。”】 ○又曰:“引,所以
    권차명喪禮四箋 卷七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弗貨換算承認申請에關한件, 1949년 12월 19일 [“미공개 이승만문서” 정리·분류 및 DB화 사업 | 연세대학교]
    자료명弗貨換算承認申請에關한件, 1949년 12월 19일 | 자료형태문서 | 작성일1949.12.19 | 작성자서울特別市長 | 작성언어한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