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후생록 / 厚生錄 [경제·산업/산업]

    조선시대 신중후(辛仲厚)가 편찬한 종합 농업기술서. 2권 1책. 본래 상하 2권(책)으로 구성된 것이나 현존하고 있는 것은 82면의 하권 1책뿐이다. 편찬연대와 편찬동기는 알 길이 없으나, 유척기(兪拓基)가 쓴 ≪지수재집 知守齋集≫ 15권에 후생록 서문이 수록되어 있어

  • 후수호전 / 後水滸傳 [문학/고전산문]

    중국소설 『후수호전(後水滸傳)』의 번역본. 『후수호전』은 전체 45회로 구성된 장회소설(章回小說)이다. 『수호전』이 송강을 비롯한 주요 인물들이 모두 죽는 결말로 되어 있어 독자들이 아쉬움을 갖고 있었다. 번역본 『후수호전』은 원전의 축약번역본이다. 원전의 내용 대부분

  • 후수호지 / 後水滸誌 [언론·출판/출판]

    조선 후기에 중국 수호지를 한글로 번역한 책. 12권 12책. 필사본. 한자 책이름은 한글 책이름과는 다르게 끝 자를 전(傳)자가 아닌 지(誌)자로 나타냈다. 이 책은 한글 궁체의 반흘림체로 쓰되 1면을 10행씩, 1행을 21자-23자 정도로 다른 궁중 필사본들의 글

  • 후암집 / 厚庵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권렴의 시문집. 1933년 권일수·권양호 등이 간행하였다. 권말에 아들의 발문이 있다. 원집 8권 4책, 명성집람 5권 2책, 합 13권 6책. 목판본. 원집 권1∼3에 시 300수, 가 4편, 사 2편, 권4에 서 48편, 권5에 잡저 15편, 권6

  • 후음 / 喉音 [언어/언어/문자]

    목구멍에서 나오는 자음들을 분류하였던 전통적인 음운론의 용어. 후음은 전통적으로 아(牙)·설(舌)·순(脣)·치(齒) 음과 함께 오음(五音)의 하나로 분류되는데, 이는 원래 중국음운학의 용어로 ≪훈민정음≫에서는 초성으로 ‘ㆆ ㅎ ○ ㅇ’의 넷을 들었으며, 중국음운학에서는

  • 후재집 / 厚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김간의 시문집. 간행연대 미상. 46권, 별집 4권, 합 50권 25책. 목판본. 권1에 시, 권2∼4에 주차·서계·수의, 권5∼7에 서, 권8∼10에 답문경의, 권11∼16에 답문예의, 권17∼20에 소학차기, 권21∼23에 대학차기, 권24

  • 후창광산 / 厚昌鑛山 [경제·산업/산업]

    평안북도 후창군 남신면 유화동에 있는 구리광산. 처음에는 한국인이 소규모로 채굴하던 황동광산이었으나 1917년에 히사하라광업회사(久原鑛業會社)에서 인수하여 채광을 계속하였으나 연간 100t 내외를 산출하는 것에 그쳤다. 그러다가 1935년에서 1941년 사이의 세계 구

  • 후천개벽사상 / 後天開闢思想 [종교·철학/신종교]

    후천세계가 새롭게 열릴 것이라는 증산교의 사상. 현재 유행하고 있는 후천개벽사상은 몇가지 공통점이 있다. 첫째로, 이미 현재 후천개벽의 시기에 들어섰기 때문에 선천시대에 벌어졌던 모든 재난과 고통을 해소하고 혁세(革世)할 기틀이 마련되었다. 둘째로, 후천시대에는 새로운

  • 후쿠자와 유키치 / 福澤諭吉 [정치·법제/외교]

    1835-1901. 일본 메이지의 계몽사상가. 교육자. 출판가. 조선의 개화파에게 영향을 준 인물. 1860년부터 1867년 번역 업무를 담당하였다. 유럽6개국 파견사절단, 미국사절단의 일원으로 참가하였다. 후쿠자와는 1868년 4월 게이오기주쿠를 설립하여 저술과 교육

  • 훈가사 / 訓歌辭 [문학/고전시가]

    조선 영조 때 배이탁(裵爾度)이 지은 장편가사. 국한문 혼용 필사본. 구체적인 조목은 다음과 같다. 조손(祖孫)(25행)·부자(父子)(49행)·신민(臣民)(26행)·부부(夫婦)(32행)·형제(兄弟)(35행)·붕우(朋友)(30행)·순천성무화목(順天性務和睦)(14행)·정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