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한글첫걸음 [언어/언어/문자]

    1945년 11월 조선어학회에서 편찬하여 군정청 학무국에서 발행한 한글입문교본. 일제 말기 7년간이나 말살되었던 국어교육을 급속히 회복하기 위하여 국민학교의 『초등국어교본』과 중학교의 『중등국어독본』을 각각 편찬하였으나, 특수한 사정은 상급학년일지라도 모두 한글을 배우

  • 한글파동 / ─波動 [언어/언어/문자]

    1954년 7월 공포된 정부의 「한글 간이화안(簡易化案)」을 중심으로 빚어진 일련의 문화적·사회적 파동. 1954년 3월 27일 “신구약과 기타 국문서에 쓰던 방식을 따라 석달 안에 교정해서 써야 할 것”이라고 발표한 그 당시 대통령 이승만(李承晩)의 담화문이 한글파동

  • 한글학회 / The Korean Language Society [언어/언어/문자]

    1908년 우리 말글의 연구와 통일 및 발전을 목적으로 창립된 학술단체. 1908년 8월 31일 주시경과 김정진 등 당대의 지식인들이 우리 민족의 문맹을 깨치고 나라의 주권을 지키고자 세운 민족학회이자 우리나라 최초의 학술단체이다. 창립 초기부터 한글학회의 활동은 우리

  • 한기무 / 韓岐舞 [예술·체육/무용]

    신라 신문왕 9년(689) 임금이 신촌(新村)에서 잔치를 베풀었을 때 가무(笳舞) 등 악무(樂舞)와 함께 연출된 춤의 하나. 감(監) 3인, 금척(琴尺) 1인, 무척(舞尺) 2인으로 구성되었으나 춤의 내용은 알 수 없다. 이 시기에 연출되던 신라의 무악(舞樂)은 한기무

  • 한기수 / 韓淇洙 [역사/근대사]

    1879-1926.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한자명을 한기수(韓琪洙)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전라북도 임실군(任實郡) 청웅면(靑雄面) 출신이다. 1919년 3월 16일부터 19일까지 임실군 청웅면 구고리(九皐里)의 주민 200여 명과 함께 독립만세를 외치고 마을을 돌면서

  • 한기악 / 韓基岳 [역사/근대사]

    1898년∼1941. 독립운동가. 자는 명오(明五), 호는 월봉(月峰). 강원도 원성 출신. 보성전문학교 법과를 졸업한 뒤 이승복(李昇馥)과 함께 만주로 망명하였다. 1919년 국내에서 3·1독립만세운동이 일어나자 이동녕(李東寧)·이시영(李始榮)·조소앙(趙素昻) 등과

  • 한낮에 꿈꾸는 사람들 / 한낮에 꿈꾸는 사람들 [예술·체육/연극]

    1935년 10월 <동아일보>에 발표된 이무영의 희곡으로 그해 11월 극예술연구회에 의해 무대에 올려진 작품. 이 작품은 격렬한 사회투쟁을 그리고 있는데, 시대환경에 지배를 받는 얼치기 인간과 시대환경에 과감히 도전하는 정열적 인간을 대비시키고 있다. 이 작품은 당시

  • 한당유사 / 漢唐遺事 [문학/고전산문]

    1852년(철종 3)에 박태석(朴泰錫)이 지은 한문장편소설. 「한당유사」는 이야기의 성격에 따라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전반부는 남한(南漢)에서 성명(聖明)이 혁명을 일으켜 천자가 되는 부분부터 청(靑)이 삼국을 통일하여 대당(大唐)을 세우는 부분까지로, 「

  • 한도원 / 韓道源 [역사/근대사]

    1906-1984. 독립운동가. 일명 이국화(李國華)·왕소산(王少山).평안남도 대동 출신. 1925년 평양 숭실중학교(崇實中學校)를 중퇴하고 상해(上海)로 건너갔다. 그곳에서 상해전차회사의 차장으로 근무하면서 박창세(朴昌世)·강창제(姜昌濟) 등과 함께 항일무장단체인 병

  • 한돈석 / 韓敦錫 [역사/근대사]

    1896-1993.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출신지는 전라북도 임실군(任實郡) 삼계면(三溪面) 어은리(漁隱里)이다. 1919년 3월 지방 유지 이기송(李起松)·오병용(吳秉鎔)·이만의(李萬儀) 등은 독립운동을 계획하고 천도교 및 기독교와 은밀히 연락하여 거사를 준비하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