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학포헌집 / 學圃軒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여항시인 서경창의 시·제문·서(書)·설 등을 수록한 시문집. 1권 1책. 필사본. 필사자·필사연대는 미상이다. 『학포헌집』 권두에 서경창이 살았던 학포헌에 대하여 쓴 천수경(千壽慶)의 기문(記文)이 서(序) 대신 실려 있다. 이어 사(詞) 11수, 부(賦) 2

  • 학풍 / 學風 [언어/언어/문자]

    1948년 9월에 창간된 월간 종합 학술 문예 교양지. 『학풍』이 지향한 바는 창간사와 편집후기에 잘 드러나 있다. 창간사에는 학문 스스로가 외부적인 영향에 휘둘리지 않고 본연의 역할을 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학문을 욕구(欲求)하는 강력한 윤리적 힘을 가질 필요가 있

  • 학호서원 / 鶴湖書院 [교육/교육]

    울산광역시 북구 양정동에 있었던 서원. 창건연대는 미상이며, 조선시대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제신(李濟臣)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봉안하였다. 당시의 경내건물로는 묘우(廟宇)·신문(神門)·강당·동재(東齋)·서재(西齋)·주사(廚舍) 등이 있었다. 선

  • 학회령 / 學會令 [교육/교육]

    1908년 일제의 통감부가 한국인들이 세운 학회에 대하여 반포한 통제령. 구한말 국권 회복을 위해 근대적인 지식의 보급과 민중교화를 위한 교육계몽운동이 애국지사들을 통해서 펼쳐졌다. 이에 따라서 1904년 국민교육회를 비롯한 각종 학회가 설립되었는데, 일제의 통감부는

  • 한 / 罕 [정치·법제/법제·행정]

    국왕 의장 가운데 하나. 한과 필은 한 쌍을 이루는 의장으로 국왕의 대가 의장과 법가 의장에 사용되었다. 한은 붉은색으로 칠한 자루 위에 네모난 얇은 판자를 붙이고 그 위를 녹색 보자기로 덮은 후 같은 색의 끈으로 묶고 양쪽으로 늘어뜨린다.

  • 한 근의 살 설화 / ─說話 [문학/구비문학]

    살을 베어내야 하는 위기에 처한 사람이 살을 베되 살만 벨 수 없는 조건을 지켜야 한다는 판결 덕분에 살아나게 되었다는 내용의 설화. 소화(笑話) 중 지략담(智略譚)에 속한다. 구전되는 자료를 찾기는 힘든 편이다. 이 설화는 북구권과 동구권에도 많이 분포되어 있고, 아

  • 한강현전 / 韓康賢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필사본. 1책. 가문소설(家門小說)의 한 유형에 속한다. 이 작품은 그 창작연대가 17세기 후반 이전으로 확인되는, 우리 소설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작품이다. 17세기 후반에서 18, 19세기에 걸쳐 사대부계층을 주 독자층으로 하여

  • 한객건연집 / 韓客巾衍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신 유련이 이덕무·유득공·박제가·이서구의 시를 초록하여 1777년에 간행한 시집. 『한객건연집』의 내용을 작가별로 보면 다음과 같다. 이덕무는 육언시 1, 칠언절구 28, 오언율시 14, 칠언율시 48, 오언고시 3, 칠언고시 5로 모두 99수이다. 유득공은

  • 한거십팔곡 / 閑居十八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선조 때 권호문(權好文)이 지은 연시조. 모두 19수로, 그의 문집 『송암별집 松巖別集』에 수록되어 있다. 각 연은 독자적인 주제를 개별적으로 노래한 것이 아니라, 의미상의 맥락을 가지고 구조적으로 짜여 있어 시상과 주제의 전개 및 흐름을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

  • 한경원 / 韓敬源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7∼?). 1843년(헌종 9) 식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이후 공조판서·대사헌 등을 역임했다. 1887년에는 갑신정변의 주모자들과 내통한 지석영·지운영 등을 국문하도록 상소를 올리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