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우활가 / 迂濶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정훈(鄭勳)이 지은 가사. 『수남방옹유고(水南放翁遺稿)』에 전한다. 지은이가 자신의 초탈한 생활상을 소재로 자연을 벗삼아 안빈낙도(安貧樂道)하는 모습을 그린 작품이다. 작품구성은 전 92구에 7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단의 구성내용을 순서에 따라 살펴보면

  • 우후 / 虞候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각 도 절도사에 소속된 관직. 남병사를 제외한 전임절도사 밑에 두었으며, 병마절도사에 소속된 종3품의 병마우후와 수군절도사에 소속된 정4품의 수군우후로 구분되고, 임기는 720일(2년)이다. 우후는 절도사를 도와 군기에 참여하고 군령을 전달하며 군사를 지휘하

  • 우후요 / 雨後謠 [문학/고전시가]

    1618년(광해군 10)윤선도(尹善道)가 지은 시조. 『고산유고(孤山遺稿)』 제6권 하편 별집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는 30세 때인 1616년 당시 예조판서 이이첨(李爾瞻) 일파의 문란한 정치를 탄핵하다가 함경도 경원으로 유배를 가게 되었는데, 이 작품은 그곳에서 지은

  • 우휴모탁국 / 優休牟啄國 [지리/인문지리]

    삼한시대 마한의 소국. 마한 54소국 중의 하나이다. 『삼국지(三國志)』위서(魏書) 동이전 한조(韓條)에는 삼한 소국들의 이름이 열거되어 있다. 이들 소국들의 이름은 당시의 중국 고대음에 따랐을 것으로 보이는데, 대체로 우리 나라의 한자음에 가깝다. ‘우휴모탁’은 중국

  • 우희국사가 / 憂喜國事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정훈(鄭勳)이 지은 가사. 임진왜란·병자호란·인조반정 등 작자가 겪은 역사적 대사건들을 시대순으로 읊은 장편 한역가사이다. 본래 한글로 지은 것인데, 현재 한글본은 전하지 않으며 한역본만 『경주정씨세고』·『수남방옹유고(水南放翁遺稿)』에 전한다. 이 가사는

  • 욱양서원 / 郁陽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욱금리에 있었던 서원. 1662년(현종 3)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황(李滉)과 황준량(黃俊良)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 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 운강서원 / 雲岡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검암리에 있는 서원. 고려시대 문신인 진양하씨의 시조 하공진(河拱辰, ?∼1011)과 조선 전기 문신인 운수당(雲水堂) 하윤(河潤, 1452∼1500)을 제향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연산군 대부터 내려오던 영모재(永慕齋)의 새로운 이름으로 창건

  • 운강집 / 雲岡集 [종교·철학/유학]

    송천익의 문집. 석인본, 서:권중해(1979), 발: 송준희. 선장 2권 1책. 저자의 문집은 1979년에 간행하였다. 권수에는 권중해가 지은 서문이 있고, 권미에 저자의 손자 송준희가 지은 발문이 실려 있다. 문집의 구성은 권두에 서문이 실려 있고, 卷1에는 시가 실

  • 운검 / 雲劍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무반 두 사람이 큰칼을 차고 임금의 좌우에 서서 호위하는 2품 이상의 임시 관직. 나라에 큰 잔치나 회합이 있어 임금이 임어할 때 유능한 무장 중에서 믿는 사람을 골라서 임명하였다. 이들이 사용하는 칼은 칼집을 어피로 싸고 주홍색으로 칠하였으며, 장식은 백은

  • 운계집 / 雲溪集 [종교·철학/유학]

    전이성의 문집. 목활자본, 서: 유도헌(1906), 발: 전학영(1907), 4권 2책. 권1에는 시 90수가 수록, 권2는 부록으로 행장, 27편의 만사와 8편의 제문도 수록되어 있다. 권3에는 해휴록상편과 제. 기를 비롯하여 67수의 시 수록, 권4에는 해휴록하편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