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신정사서보주비지 / 新訂四書補註備旨 [종교·철학/유학]

    사서류(四書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 판종은 석인본(石印本)이다. 규격은 24.6×15.2cm, 반곽은 20.9×13.1cm이다. 판심제는 사서보주비지(四書補註備旨)이다. 청(淸)나라의 등림(鄧林)이 찬(撰)한 것이다. 권수는 2권 1책이다.

  • 신정심상소학 / 新訂尋常小學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유가류(儒家類) 학부편집국(學部編輯局) 편, 금속활자본(재주정리자), 1896년(건양 1), 1책(영본, 전3권 3책). 학부에서 1896년에 편간한 소학용교과서로 1895년에 편간된《심상소학(尋常小學)》을 신정(新訂)한 것이다. 국한문혼용본이다.

  • 신정왕후 / 神貞王后 [역사/조선시대사]

    1808년(순조 8)∼1890년(고종 27). 익종의 비. 헌종의 어머니이다. 아버지는 만영, 어머니는 송시연의 딸이다. 12세 때 익종비로 책봉되어 세자빈이 되었고 효부라는 칭찬을 들었다. 1827년(순조 27) 헌종을 낳았다. 1834년 헌종이 왕위에 오르고 죽

  • 신정하 / 申靖夏 [종교·철학/유학]

    1680(숙종 6)∼1715(숙종 41). 조선 후기의 문신. 준 증손, 할아버지는 여정, 아버지는 완, 어머니는 조원기의 딸이다. 유에게 입양되었다. 김창협의 문인이다. 1705년(숙종 3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예문관검열, 부교리, 헌납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

  • 신종교 / 新宗敎 [종교·철학/신종교]

    비교적 최근에 창립된 종교. 국내에서는 신종교와 비슷한 개념으로 신흥종교, 유사종교, 민족종교, 민중종교, 민족적 종교, 보국종교 등의 개념이 사용되며, 국외에서는 천년왕국운동, 메시아운동, 종교운동, 부흥운동 등 수십 개의 개념이 사용되고 있다. 신종교는 근래에 종교

  • 신종옥 / 申從沃 [종교·철학/유학]

    생졸년 미상. 조선 중기 관리. 조부는 신숙주, 부친은 신주이다. 관직은 파주목사 등을 역임하였다. 헌납 경세창 또한 문제를 삼았지만 임금이 들어주지 않았다. 이후에도 장령 유숭조‧유희철과 정언 서후가 관직을 주는 것이 합당하지 못하다고 재차 아뢰었으나, 모두 들어주

  • 신좌모 / 申佐模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99∼1877). 원릉별검·성균관전적·병조정랑·종부시정 등을 역임하였고, 춘추관편수관이 되어 실록편찬에도 참여하였다. 은퇴한 뒤에는 향리에 화수헌을 짓고 종친과 후진들을 교육, 많은 학자를 배출하였다.

  • 신주 / 神主 [사회/가족]

    죽은 사람의 위를 베푸는 나무패. 대개 밤나무로 제작한다. 길이는 여덟치. 폭은 두 치가량이고 위는 둥글고 아래는 모지게 생겼다. 보통은 혼전·종묘·가묘에 봉안한 것을 신주(神主), 기타의 사묘에 봉안한 것을 위판(位版)으로 불렀다. 조선시대에는 귀천의 구별없이 1척

  • 신준 / 申埈 [종교·철학/유학]

    1572년(선조 5)~1638년(인조 16). 조선 중기 문신. 조부는 신립, 부친은 신경진이다. 인조반정 때 백의종군하여 공적을 세웠다. 그 공로를 인정받아서 1623년(인조 1)에 구인기‧노수원‧박유명‧송영망‧신경식‧한여복‧홍효손 등과 함께 정사공신 3등에 책록되었

  • 신준미 / 申遵美 [종교·철학/유학]

    1491(성종 22)∼1562(명종 17). 조선 중기의 문신. 원우 증손, 할아버지는 영석, 아버지는 원, 어머니는 이철동의 딸이다. 조광조의 문인이다.1545년 (명종 즉위년)에 복과되고 봉상시주부·성균관전적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그 뒤 인조·명종의 외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