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신석희 / 申錫禧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08∼1873). 헌종 때 증광별시에 급제하여, 철종 때 대사성·홍문관부제학·규장각직제학·이조참판·황해도관찰사와 도총관·예조판서·한성부판윤 등을 거쳐 형조판서에 이르렀다. 고종 때 실록교정청의 당상이 되었으며, 홍문관·예문관·규장각의 제학, 대사

  • 신선놀음에 도끼자루 썩는 줄 모른다 / 神仙─ [문학/구비문학]

    ‘신선놀음에 도끼자루 썩는 줄 모른다’는 속담의 근원설화.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전설로도 일부 전해지고 있다. 황해도 평산읍(平山邑)에 가마골, 즉 부동(釜洞)이라는 마을이 있는데 이곳에 선암(仙巖)과 난가정(欄柯亭)이 있다. 옛날 신선들이 이곳에서 바둑을 두었다

  • 신선설화 [문학/구비문학]

    신선(神仙)과 방사(方士)·은사(隱士) 혹은 이와 관련된 방술(方術)에 관한 이야기. 신선 사상은 본래 중국에서 발전된 장생불사(長生不死)의 사상으로, 중국에서는 겸선천하(兼善天下)의 유학사상과 독선기신(獨善其身)의 노장사상(老莊思想) 두 계통이 발달해 왔다. 이 가운

  • 신선태을자금단 / 神仙太乙紫金丹 [언어/언어/문자]

    조선 전기의 문신 이종준(李宗準)이 저술한 의서. 책의 내용은 서명이기도 한 신선태을자금단이라는 신령스러운 환약의 자료와 제조법, 이어서 황종(黃腫)·중풍 등에 듣는 효험에 대한 구체적이고도 자세한 설명으로 되어 있다. 그 설명은 거의 중국의 의서에 근거하였으나, 각

  • 신설부 / 新雪賦 [문학/한문학]

    조선 전기에 성간(成侃)이 지은 부(賦). 첫눈이 오는 것을 묘사하는 과정을 통해 문학하는 자세를 심각하게 검토한 글이다. 작자와 나그네가 대화하는 대화체 형식으로 되어 있다. 『진일유고(眞逸遺稿)』 권4, 『동문선』 권3 등에 수록되어 있다. 「신설부」는 크게 3단으

  • 신섭 / 申㰔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말기의 우국지사. 1880년(고종 17) 제2차 수신사 김홍집이《사의조선책략》을 가지고 고종에게 바쳤다. 이에 신섭은 신사척왜상소문의 공통된 《조선책략》의 사학성의 지적과 사교(서학)의 배척을 강조하고 《조선책략》을 만이지역(일본)에 가서 가져와 중

  • 신성 / 新城 [지리/인문지리]

    중국 랴오닝성(遼寧省) 푸순(撫順) 동북쪽 북관산(北冠山) 위에 있었던 고구려 때의 성(城). 『삼국사기』에는 276년(서천왕 7) 왕이 이곳을 순시하였다고 한다. 봉상왕 때 모용외(慕容廆)가 변경을 침입하자 국상(國相)인 창조리(倉助利)의 건의를 받아들여 고노자(高奴

  • 신성주 / 新城州 [지리/인문지리]

    중국 랴오닝성(遼寧省) 푸순(撫順)에 있었던 고구려 때의 성(城). 당나라가 이곳을 점령한 뒤에 신성주도독부(新城州都督府)를 설치하였다. 수양제와 당태종의 고구려 침입과 관계있는 지명이다.『삼국사기』에는 서천왕 때 왕이 이곳을 순행(巡幸)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고국원왕

  • 신성하 / 申聖夏 [종교·철학/유학]

    1663∼1736. 조선 후기의 문신. 완의 아들이다. 1704년(숙종 30)에 참봉이 되고, 이어 현감을 거쳐 연안부사가 되었다. 돈령부도정에 이르러 평운군에 봉해졌다. 문장이 뛰어났고 72세에 죽었다. 저서로는《화암집》이 있다.

  • 신세타령 [문학/구비문학]

    신세를 한탄하면서 부르는 민요. 민요는 백성들의 건강한 삶을 노래하는 한편, 자신들의 서러운 심경과 절박한 실정을 노래로 드러내는 본질을 지녔으므로, 거의 모든 종류의 민요사설에서 「신세타령」이 드러나게 마련이다. 민요는 가장 절실한 현실의 삶 그 자체를 노래하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