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작품 2,17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작품
  • 몽환가 / 夢幻歌 [문학/고전시가]

    작자, 연대 미상의 불교가사. 4·4조 위주 4음보 율격의 가사. 같은 제목으로 여러 이본이 전하는데, 분량의 차이는 있으나 모두 서사─본사─결사의 3단 구성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몽환가」와 유사한 내용의 가사로 「몽환별곡」이 있다. 두 작품은 같은 주제를 상이한

  • 몽환별곡 / 夢幻別曲 [문학/고전시가]

    작자, 연대 미상의 불교가사. 4음보 율격의 가사. 『악부』본 「몽환별곡」 외에 여러 이본이 전하는데, 각각 분량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서사─본사─결사의 3단 구성을 보이고 있다. 「몽환가」와 「몽환별곡」은 세상만사가 다 몽환이니 염불에 힘쓰자는 같은 주제를 다르게

  • 묘향산기 / 妙香山記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김시화(金時和)가 지은 기행문. 이 기행문은 1853년(철종 4)손한영(孫漢永)이 시문 4권과 함께 간행한 『죽하집 竹下集』에 수록되어 있다. 그 내용은, 묘향산은 해동(海東)의 명산으로 태백산이라고도 한다. 단군이 이 산의 단목(檀木) 아래 내려와서 동국

  • 묘향산지 / 妙香山誌 [문학/한문학]

    승려 설암(雪嵒)이 지은 연대 미상의 된 기행문. 1권. 한문필사본. 묘향산은 장백산(長白山)의 지맥으로 압록강 남쪽 언덕과 평양부(平壤府)의 북쪽에 있어서 요동(遼東)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산이 높고 큰 것이 비길 데가 없다. 땅에는 향나무가 많아서 겨울에도 푸르러

  • 무고 / 舞鼓 [예술·체육/무용]

    고려 때부터 전하는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하나. 『고려사(高麗史)』 악지(樂志)에 따르면 충렬왕 때 시중 이혼(李混)이 영해(寧海)에 유배되었을 때 바닷가에서 물에 뜬 뗏목을 얻어 큰 북을 만들었더니 그 소리가 크고 웅장해 북을 두드리며 춤춘 데서 기원했다고 한다.춤의

  • 무당춤 / 무당춤 [예술·체육/무용]

    무당이 굿을 할 때 추는 춤. 강신무가 추는 춤은 발작적인 광란한 춤이 나오기도 하고, 신격자로서 권위나 위엄을 보이기도 하며, 장난기가 있는 춤으로 변하기도 하는 등 유동적이고 변화가 심하다. 그러나 세습무의 춤은 축원적인 성격이 강하므로 일반적인 가무를 하면서, 종

  • 무당호랑이설화 [문학/구비문학]

    호랑이떼에게 잡혀먹히게 된 사람이 피리소리로 호랑이떼를 물리치고 부자가 되었다는 내용의 설화. 독립유형으로서뿐만 아니라 「아버지의 유물과 3형제」 설화의 삽화로서도 구연되며, 서울을 비롯하여 충청남도 홍성·서산·아산, 평안북도 철산·정주·선천 등지로부터의 자료보고가 있

  • 무등산 / 無等山 [문학/고전시가]

    백제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가사는 전하지 않고, 「지리산 知異山」·「선운산 禪雲山」·「방등산 方等山」 등과 함께 『고려사』 악지에 내력만 실려 전한다. 무등산은 광주(光州)에 있는데 백제 때는 이 곳에 성(城)이 있었다. 이 때문에 백성들이 편안하게 살 수

  • 무릉도원 / 武陵桃源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활자본. 「무릉도원」은 다른 고전소설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요소들을 가지고 있다. 첫째, 남자주인공의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고관대작이 아니다. 장사하는 부상으로 할아버지는 장사하러 갔다가 객사하고, 아버지는 가지고 있는 진

  • 무목왕정충록 / 武穆王貞忠錄 [문학/고전산문]

    명나라 웅대목(熊大木)이 지은 『대송중흥통속연의(大宋中興通俗演義)』의 번역본. 한글필사본. 필사자 미상. 한글본 『무목왕정충록』은 원래 12권 12책이었으나 권3∼5, 9, 11이 유실되어 현재 7책만 장서각에 전한다. 이 책은 제12권에 ‘상장집서(上章執徐) 탕월(湯

페이지 / 21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