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작품 2,17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작품
  • 동유기 / 東遊記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금강산 기행문. 내용은 삼신산(三神山)이 모두 우리나라에 있으며, 그 중에도 봉래(蓬萊)는 금강산임을 강조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어서 금강산은 중국인들조차 한번 보고 싶다고 하였는데, 이 나라에 태어나서 어찌 못보고 평생의 한이 되게

  • 동인논시절구 / 東人論詩絶句 [문학/한문학]

    1831년(순조 31)신위(申緯)가 지은 한시. 1831년(순조 31) 신위(申緯)가 지은 한시. 칠언절구. 35수. 작자의 시집 『경수당전고 警修堂全藁』에 수록되어 있으며, 김택영(金澤榮)이 1907년 중국 남통(南通)에서 간행한 『자하시집 紫霞詩集』에는 24수만 수

  • 동자문답 / 童子問答 [문학/고전산문]

    작가·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 부록으로 「답랑전」·「정슈경전」 등과 함께 합본되어 있다. ‘공부자동자문답(孔夫子童子問答)’이라고도 한다. 공자와 지혜로운 소년이 주고 받았다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꾸며져 있다. 이 작품은 비교적 간단하여 소설의 형태를

  • 동창춘향가 [문학/구비문학]

    조선 후기에 신재효(申在孝)가 개작한 「춘향가」. 「남창춘향가(男唱春香歌)」와 짝을 이루는 작품이다. 필사 연대가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추정되는 성두본(星斗本)을 비롯하여 여러 이본이 전해 오지만, 미세한 부분의 차이만 보여 준다. 가람본에는 ‘童唱一云女唱(동창일운여창)

  • 동한연의 / 東漢演義 [문학/고전산문]

    명나라의 역사소설 『동한통속연의(東漢通俗演義)』의 번역본. 한글필사본. 『동한연의』는 『서한연의』와 함께 이른 시기에 조선에 전래되어 역사연의소설 및 장편소설에 영향을 끼치며 많은 독자층을 형성한 작품이다. 동한 시기의 열두 황제 중에서도 광무제의 사적이 매우 상세히

  • 동행산수기 / 東行山水記 [문학/한문학]

    조선 말기에 이상수(李象秀)가 지은 금강산 기행문. 작자의 문집인 『어당집(峿堂集)』 권13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은 금강산의 아름다운 경치와 고적들을 두루 구경하면서 작자의 느낌·감정들을 표현한 것이다. 이상수는 금강산 유람을 통하여 여러 곳에 깊은 인상을 받게 된다

  • 두꺼비와 지네 [문학/구비문학]

    두꺼비가 은혜를 갚기 위하여 지네에게 죽게 된 소녀를 살리고 대신 죽는다는 내용의 설화. 동물보은담 중의 하나로 ‘지네장터설화’ 또는 ‘오공장(蜈蚣場)터 설화’라고도 한다. 대표적인 것은 충청북도 청주의 지네장터에 근거한 유래담이며, 경기도 개성 서북쪽의 지네산[蜈蚣山

  • 두꺼비의 나이자랑 [문학/구비문학]

    동물들의 나이 자랑에서 두꺼비가 좌장(座長)을 차지한다는 내용의 설화. 동물우화의 하나로 지략담에 속한다. 문헌보다는 구전설화가 많다. 사슴·토끼·두꺼비가 모여서 서로 자기가 나이가 많다고 자랑하게 되었다. 사슴은 천지가 개벽할 때 자신이 그 일을 거들어 주었다 하고,

  • 두껍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 필사본·활자본. 여러 가지 이본이 있으며, 두꺼비가 주인공이 된 고전소설들을 아울러 두껍전류라 할 수 있다. 삼광서림(三光書林)·박문서관(博文書館)·덕흥서림(德興書林) 등에서 활자본으로 나온 바 있다. 두껍전에는 첫째로 여러

  • 두더지 혼인설화 [문학/구비문학]

    한 두더지가 가장 훌륭한 사윗감을 구하러 다니다가 결국 같은 종(種)의 사위를 선택한다는 내용의 설화. 형식담 가운데 반복담에 속하며, ‘두더지사위고르기’라고도 한다. 동양권에서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상당히 널리 분포되어 있다. 인도의 경우는 『판차탄트라(Pancha

페이지 / 21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