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작품 2,17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작품
  • 터벌림춤 / 터벌림춤 [예술·체육/무용]

    경기도 남부지방의 도당굿에 나오는 춤. 터벌림춤은 무녀들이 추는 것, 남무가 추는 것, 또는 남녀무당들이 혼합하여 추는 것 등이 있다. 형식은 보통 두 사람의 대무(對舞), 또는 네 사람이 춘다. 기본 춤사위는 꽹과리를 치면서 제자리에서 왼발을 왼쪽으로 발꿈치를 꺾어올

  • 토굴가 / 土窟歌 [문학/고전시가]

    19세기 중반에 영암대사(靈岩大師)가 지은 불교가사. 4음보 율격의 가사. 참선 수행인으로서 토굴 참선의 운치와 열락을 노래하면서 중간 중간에 아미타불 염불의 가치를 함께 전달한 불교가사이다. 여러 이본 가운데 「토골가」(316행)를 기준으로 볼 때, 화자가 토굴의 공

  • 토끼와 호랑이 [문학/구비문학]

    동물담에 속하는 설화 유형군의 하나. 토끼와 호랑이의 관계를 이야기하는 설화가 단일 유형으로 존재한다기보다 다수가 존재하므로 유형군이라 할 수 있다. 이 유형군에 속하는 설화 유형들은 다음과 같다. ① 호랑이에게 잡힌 토끼가 호랑이에게 자신은 뭇짐승들이 모두 도망갈 정

  • 토끼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조선 후기의 판소리계 작품으로 동물을 의인화한 우화소설이다. 국한문 혼용의 필사본은 「별주부전」·「별토가」·「수궁가」 등, 한글 필사본은 「토끼전」·「토생전」·「토처사전」 등, 한문 필사본은 「토공사」·「별토전」 등이며, 목판본은 경판본 「

  • 토막 / 土幕 [예술·체육/연극]

    동랑 유치진의 희곡으로 <문예월간>에 발표된 작품이며 데뷔작. 이 작품은 두 농가, 즉 명서가와 경선가의 몰락과정을 비극적으로 그린 것이다. 이농의 참담한 패배로 나타나는 비극적 현실을 통해서 일제의 식민지적 수탈정책을 고발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작품은 단순히 한

  • 토별가 / 兎鼈歌 [문학/구비문학]

    신재효(申在孝)가 개작하여 정착시킨 판소리 작품의 하나. 신재효의 「토별가」는 충성스러운 별주부를 긍정적인 관점에서 서술하고 이에 걸맞게 그의 아내도 정숙하게 형상화했다는 점에서 다른 개작의 방향을 보여 준다. 이것은 유교적 이념 구현에 충실하려는 그의 가치관의 구현이

  • 토산당본풀이 / 兎山堂本─ [문학/구비문학]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토산리에 있었던 여드렛당신의 내력담. 토산리에는 이렛당과 여드렛당이 있는데, 그 제일(祭日)이 각각 7·8일인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전자는 마을의 위쪽에 있다 하여 ‘웃당’, 후자는 아래쪽에 있다 하여 ‘알당’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

  • 통인노래 / 通引─ [문학/구비문학]

    영남지방에 전승되는 서사민요. 처녀가 잃은 댕기를 통인이 주웠기에 댕기를 돌려 달라는 데서 수작이 시작된다. ‘댕기노래’라고도 할 만큼 댕기에 대한 묘사가 자세하다. 아버지가 감을 떠 오고, 어머니가 접었고, “우리 오빠 눈치 댕기, 우리 형님 입살 댕기”라고 노래한다

  • 특별회심곡 / 特別回心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휴정(休靜)이 지은 불교가사. 형식은 4음보 1행을 기준으로 모두 152행이다. 「회심곡」에서 파생된 가사로, 『석문의범(釋門儀範)』에 실려 있는 「별회심곡」과 내용이 같다. 다만, 『악부(樂府)』에 기록된 「특별회심곡(特別回心曲)」에는 끝에 ‘나무아미타불

  • 파랑새요 / ─謠 [문학/구비문학]

    어린이들에게 널리 불리던 전래동요. 노래 서두의 “새야새야 파랑새야”의 구절은 「아리랑」을 비롯한 「도라지타령」이나 「달노래」 등에 관용되는 반복률의 하나로 이 노래의 중심적 특징이기도 하다. 대표적인 노래는 다음과 같다. ① “새야새야 파랑새야 녹두밭에 앉지마라/녹두

페이지 / 21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