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작품 2,17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작품
  • 진인출현설 / 眞人出現說 [문학/구비문학]

    뛰어난 능력을 지닌 진인(眞人)이 나타나 어지러운 세상을 뒤엎고 새로운 세상을 건설할 것이라는 내용의 설화. 진인출현설은 역사적으로 잠복과 활성화를 반복하는 이야기 유형으로, 홍경래난이나 동학농민운동과 같은 사회적 긴장 상태에서 구체화되고 거듭 재생산되기 때문에 구비문

  • 진정표 / 陳情表 [문학/한문학]

    고려 중기에 이규보(李奎報)가 지은 표(表). 작자의 문집 『동국이상국집』 제28권에 수록되어 전한다. 표는 제왕(帝王)에게 소회(所懷)를 적어올리는 글로, 이 글은 몽고왕에게 고려에 대한 몽고의 여러가지 무리한 요구와 억압에 대하여 이쪽의 정상(情狀)이 참혹함을 들어

  • 진주검무 / 晋州劍舞 [예술·체육/무용]

    진주지방에 전해 내려오는 칼춤. 원래는 검기무(劍器舞) 또는 검무로 일컬어온 정재(呈才)의 한가지이다. 조선 중기 이후로 계속 연행되어왔으며, 그 무보(舞譜)는 조선 말기의 『각정재무도홀기(各呈才舞圖笏記)』에서 전해진다.진주검무의 기능보유자로 지정되었던 사람 중에는 김

  • 진주교방굿거리춤 / 晉州敎坊─ [예술·체육/무용]

    진주 지방의 교방에서 추어지던 춤. 다른 말로 기방굿거리·굿거리춤·수건춤·입춤으로 불리어진다. 이 춤은 주로 3분박 4박자에 맞추어 추는 춤으로 고려 문종때 들어와 고려, 조선조를 통하여 1900년대 이후 승무와 더불어 여기들에 의해 교방에서 예술적으로 다듬어져 왔다.

  • 진주낭군 / 晉州郎君 [문학/구비문학]

    영남 지방의 서사민요. 부녀자들이 주로 부른다. 진주낭군을 보려고 진주 남강에 빨래하러 갔다는 대목이 있어 노래 이름을 ‘진주낭군’이라 한다. 시집살이의 어려움과 남편의 배신 때문에 자살을 한다는 내용이다. 서두는 “울도 담도 없는 집에 시집 삼년 살고 나니”라는 말로

  • 진주탑 / 珍珠塔 [문학/고전산문]

    청나라의 탄사(彈詞) 『진주탑(珍珠塔)』의 번역본. 한글필사본. 필사자 미상. 10권 10책으로 된 장서각 소장본 외에 규장각에도 13권 5책으로 된 동일한 번역본이 전해지고 있다. 청나라 때의 희곡 강창예술의 하나인 탄사(彈詞) 『진주탑(珍珠塔)』(56회)을 번역한

  • 진주포구락무 / 晉州抛毬樂舞 [예술·체육/무용]

    경상남도 진주 지방의 교방에서 추어지던 일종의 놀이춤. 이 춤의 내력은 고종때 진주부사를 지낸 정현석(鄭顯奭)의 교방가요에서 비롯된 것으로서 궁중문화가 지역화된 춤이다. 궁중가무가 지방교방으로 내려오면서 의상·도구·절차 등에서 변화한 것으로 점차 민속적 요소가 가미되면

  • 진토굿노래 [문학/구비문학]

    제주도 지방의 의식요. 이 민요는 장지로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는 「행상노래」(상엿소리), 봉분이 이루어지고 난 다음 달구질하면서 부르는 「달구노래」와 함께 장례의식요(葬禮儀式謠)에 포함된다. 유장한 가락으로 불리는 이 「진토굿노래」의 선소리꾼은 대체로 남성들이며,

  • 짐승의 말을 알아듣는 사람 [문학/구비문학]

    짐승의 말을 알아들을 수 있는 사람이 그 소리를 통해 자신이 처해 있는 위기 상황을 벗어나거나 자기 집이 부자가 되도록 한다는 내용의 설화. 신이담(神異譚)에 속하는 설화 유형이다. 동물의 종류에 따라 ‘새의 말을 알아듣는 사람’·‘쥐 소리 알아듣는 며느리’·‘짐승 소

  • 집없는 천사 / 집없는 천사 [예술·체육/영화]

    1940년대 암흑기의 영화로서 고아와 불우 아이들을 돌보는 젊은 남녀들의 희생적인 봉사를 그린 작품. 감독 최인규, 시나리오 일인작가 서구원정, 촬영 김학성. 최인규 감독은 불우 소년들의 생활을 사실적인 수법으로 묘사하였는데, 일제하에서 사실적인 영화미학을 제시하였다는

페이지 / 21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