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작품 2,17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작품
  • 장님놀이 [문학/구비문학]

    무당굿놀이의 하나. 경기도 양주·안성과 인천 및 동해안 각지에서 채록되었다. 재수굿 마지막 거리인 뒷전이나 별신굿에서 주무와 반주무가 대화로 진행하는 골계 놀이이다. 장구를 치는 반주무는 앉아 있고, 장님 노릇을 하는 주무가 지팡이를 짚고 등장하면서 주무의 구연으로 놀

  • 장단 / 長湍 [문학/고전시가]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고려가요.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고려가요. 가사는 전하지 않으며, 창작경위만이 『고려사』 권71 악지 속악조에 전하고, 그 일부 내용이 『증보문헌비고』 권106 악고(樂考)에 옮겨져 있다. 태조가 민간의 풍속을 순찰하고 부족한 것

  • 장백전 / 張伯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한글본·목판본·활자본의 2종이 있다. 이 작품은 중국을 배경으로 한 영웅소설로서, 주인공의 일대기에 의한 군담계 영웅소설의 보편적 구조를 갖추고 있다. 장백의 아버지가 후사가 없으므로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농업에 힘쓰는 것과,

  • 장산인전 / 張山人傳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허균(許筠)이 지은 한문소설.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권8 문부(文部) 5 전(傳)에 들어 있다.「장산인전」은 초능력의 소유자인 주인공의 영웅적 활동을 통하여 무력하였던 왜란의 참상을 역설적으로 표출시켰다. 나아가 작자의 의식세계가 신선사상으로 기울고

  • 장생보연지무 / 長生寶宴之舞 [예술·체육/무용]

    조선 순조 때 새로 창작된 당악정재(唐樂呈才) 중의 하나. 1829년(순조 29)효명세자(孝明世子)가 중국 송대(宋代) 기성절(基聖節)에 쓰던 장생보연지악(長生寶宴之樂)의 이름을 따서 지은 정재이다.죽간자(竹竿子)가 무원(舞員)을 인도하여 출퇴장(出退場)하는 춤에는 「

  • 장생전 / 蔣生傳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허균(許筠)이 지은 한문소설. 작자의 문집인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권8 문부(文部) 5 전(傳)에 들어 있다. 「장생전」의 주제는 허균의 소설인 「홍길동전」에서 보여 준 율도국(硉島國)과 같은 이상향 건설에 작자의식의 지향점을 알 수 있다. 구성면에

  • 장생포 / 長生浦 [문학/고전시가]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가사는 전하지 않으며, 창작경위와 작자에 대한 언급만이 『고려사』 권71 악지 속악조와 『증보문헌비고』 권106 악고(樂考) 17에 전하는데, 두 기록은 큰 차이를 보인다. 『고려사』에 의하면, 유탁(柳濯)이 전라도에 나가 진을 지

  • 장석전 / 張碩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이 작품은 우리 고전소설 가운데에서 매우 독특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인공의 영웅적 활약을 그리고 있기는 하지만, 그것보다는 오히려 황후가 된 왕소저가 은혜를 갚는 형태를 띤 구출담이 중심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장례를 치르는 도

  • 장안걸식가 / 長安乞食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불교가사. 국문필사본. 모두 380구. 4·4조가 주조를 이룬다. 탁발승이 한개의 표주박을 차고, 삿갓을 쓴 채 혼자 떠돌아다니며 걸식하다가 덕행을 원만히 마친 뒤에 장안대도에 나서니 탁연독존(卓然獨尊)은 나뿐이라고 노래한 작품이다. 또, 인왕산·종

  • 장안춘일유감 / 長安春日有感 [문학/한문학]

    신라 말기 헌강왕 때 최광유(崔匡裕)가 지은 한시. 신라 말기 헌강왕 때 최광유(崔匡裕)가 지은 한시. 칠언율시 10수로, 『동문선』·『명현십초시 名賢十抄詩』 등에 전한다. 최광유에 대해서는 최치원(崔致遠)과 같은 시대에 당나라에 유학하여 빈공과(賓貢科)에 급제하였다는

페이지 / 21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