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작품 2,17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작품
  • 숙창궁입궐일기 / 淑昌宮入闕日記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 반궁체 순한글 흘림체로 쓰여져 있다. 필사연대나 작자를 추단하기는 어려우나, 글의 내용으로 미루어보아 풍산홍씨(豊山洪氏) 가문, 특히 정조 때의 세도가였던 홍국영(洪國榮) 일가의 인물이 지은 것으로 보인다. 이 작품에는

  • 숙향촌 / 宿香村 [문학/한문학]

    고려 명종 때 김극기(金克己)가 지은 한시. 오언고시(五言古詩)로, 『동문선』 권4에 실려 있다. 김극기는 무신란 후인 명종 때 잠시 벼슬한 적이 있으나 불우하게 지내면서, 농민과 가까운 위치에서 농촌생활을 다룬 시를 개척하였는데, 「숙향촌」은 그러한 작품의 대표적인

  • 순정해협 / 純情海峽 [예술·체육/영화]

    함대훈의 원작을 영화화한 애정물. 각색과 감독은 심경균이 맡았고, 이 작품으로 영화계에 데뷔했다. 사랑하는 사람의 순정미담을 그린 애정영화로 당시의 암담했던 사회에 맑은 물처럼 보여졌다. 1937년 청구영화사에서 제작하였다.

  • 술 나오는 샘 [문학/구비문학]

    샘에서 저절로 술이 나왔다는 내용의 설화. 우리나라 몇 군데에 이 설화의 증거물이 실화처럼 전해 오고 있다. 술은 기호품으로 공짜 술이 생기기를 바라거나, 마셔도 마셔도 마르지 아니하는 술이 나오는 기적의 샘물을 소원하는 것은 인지상정이다. 이 소원대로 전에는 술 나오

  • 숫자요 [문학/구비문학]

    숫자를 가지고 엮어나가는 민요. 어희요(語戱謠)의 일종으로, 동요 속에서 특히 발달했으며 질과 양이 풍부하다. 「숫자요」의 기원은 오래일 것이나 구체적인 기록은 「춘향전」의 ‘십장가(十杖歌)’에서 보인다. 「숫자요」는 흔히 두 가지 형태로 나뉜다. 하나는 단순한 숫자를

  • 스님과 상좌설화 [문학/구비문학]

    스님과 상좌 사이에서 생긴 일을 내용으로 한 설화. 설화 유형으로 스님과 상좌 사이의 관계가 긍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것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전자는 신이담(神異譚) 중 초인담에 속하며, 후자는 소담(笑譚) 중 지략담(智略譚)에 속한다. 신이담에 속하는 유형은 초인적

  • 승가타령 / 僧歌打令 [문학/구비문학]

    1723년경에 남철이 지은 연정가사. 1723년(경종 3)경에 도사(都事)와 참판(參判)을 지낸 남철이 소년 시절 옥선(玉禪)이라는 여승을 사모하여 지은 연정가사이다. 고려대학교 소장본 『악부(樂府)』에 수록되어 전한다.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위항 시인인 추재 조수삼(

  • 승답가 / 僧答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정조 때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사. 「송여승가(送女僧歌)」(승가)에 대한 답가이다. 3(4)·4조로서 모두 82구이다. 옥선(玉禪)이라는 여승이 남철의 연정을 호소함에 은근히 거절하는 형식으로 노래하였다. 여승이 자기에게 보내온 뜻밖의 편지사연에 대답하되, 어버이

  • 승무 / 僧舞 [예술·체육/무용]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민속춤의 하나. 중요무형문화재 제27호. 본래는 지역에 따라 각기 양식과 구성을 달리하면서 그 고장의 광대(廣大)들, 특히 판소리꾼에 의해 추어져왔으나, 구체적인 것은 알려진 것이 없다.1900년대 초 협률사(協律社)의 조직에서 비롯하여 광무대(光

  • 승무살풀이춤 / 僧舞─ [예술·체육/무용]

    수원 지방의 재인청(才人廳)에서 계승된 민속무용. 승무는 민속무용의 정수로 손꼽히며 불교의 교리의 입장에서 본 불교 기원설에서 유래하였다. 기원설이 여러 가지 전해져 내려 오고 있는데, 승무의 긴 장삼 소매를 잘 승화시킨 춤이다.그 발달 과정은 첫번째로 소리 광대를 주

페이지 / 21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