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인물 3,8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인물
  • 홍원주 / 洪原周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유한집』을 저술한 시인. 관찰사를 지낸 아버지 인모(仁模)와 여류시인인 어머니 영수합 서씨(令壽閤徐氏)의 3남 2녀 가운데 맏딸이며, 심의석(沈宜奭)의 부인이다. 석주(奭周)와 길주(吉周)의 누이동생이며, 숙선옹주(淑善翁主)와 혼인한 영명위(永明尉)인 현주(

  • 홍원표 / 洪元杓 [역사/근대사]

    1909-1939년. 항일학생운동가. 제주 출신. 1926년 4월 영창소년단(英昌少年團)을 조직하여 항일사상을 고취하였으며, 1929년 4월 광주학생시위운동으로 광주농업학교에서 퇴학당하였다. 1929년 6월 조선독립과 사회주의 계열 운동을 연구할 목적으로 독서회를 조

  • 홍위 / 洪瑋 [종교·철학/유학]

    1559(명종 14)∼1624(인조 2). 조선 중기의 문신. 의동 증손, 할아버지는 우식, 아버지는 흔, 어머니는 홍혼의 딸이다. 유성룡의 문인이다.1601년 생원으로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지평·예조좌랑·성균관전적 등을 역임하였다. 이어 통제영종사관으로 선임되어

  • 홍윤무 / 洪允武 [역사/근대사]

    1872-1943. 한말의 의병. 일명 홍종렬(洪鍾烈). 전라북도 임실 출신. 1907년 이석용(李錫庸)의병대에 가담, 연락책이 되었다. 진안·용담·임실 등지에서 활약하였고, 1908년에는 진안에서 일본헌병의 밀정 김관일(金寬日)을 살해하였다. 부잣집과 면사무소 등을

  • 홍응보 / 洪應輔 [종교·철학/유학]

    1702년(숙종 28)∼1770년(영조 46). 증조부는 홍주삼, 조부는 홍만운, 부는 홍중윤, 외조부는 강현, 처부는 이의이다. 1735년(영조 11)에 진사가 되고, 1742년(영조 18) 임술 정시 병과 5위 문과에 급제하여 정언·지평, 헌납에 이르렀다. 벼슬

  • 홍이간 / 洪履簡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53∼1827). 아버지는 선양이다. 음사로서 관직에 나아가, 의금부도사·남부령·형조좌랑·임실현감을 지냈다. 이후 공조좌랑·안성군수·전주부판관·밀양부사·경주부윤 등을 역임하고 동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저서로 《남헌고》가 있다.

  • 홍익필 / 洪翼弼 [종교·철학/유학]

    1777년(정조 1)∼1825년(순조 25). 조선 후기의 문신. 직필의 사촌동생이다. 1805년(순조 5)에 생원시에 합격하여 처음 벼슬이 광릉참봉, 창평현령을 역임하였다.《매산집》에는 능참봉으로 있을 때인 1814년(순조 14)에 사촌형인 직필이 ‘능관은 비록 낮은

  • 홍익한 / 洪翼漢 [종교·철학/유학]

    1586(선조 19)∼1637(인조 15). 조선 후기의 문신. 숙의 현손, 서주의 증손, 할아버지는 애, 아버지는 이성, 어머니는 김림의 딸이다. 백부인 교위 대성에게 입양되었다. 이정구의 문인이다. 1624년(인조 2) 정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한 뒤 사서를 거쳐,

  • 홍인한 / 洪麟漢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2∼1776). 예조판서·우의정·좌의정 등을 지냈다. 세손(정조)과 사이가 나빠 다른 풍산홍씨들이 세손을 보호하는 시파에 가담한 것과는 달리 세손 즉위를 반대하는 벽파에 가담했다. 정조 등극 후 유배, 위리안치 된 후 사사되었다.

  • 홍일순 / 洪一純 [종교·철학/유학]

    1804년(순조 4)∼1856년(철종 7). 부친은 홍우필이다.《매산집》에 의하면 1818년(순조 18)에 매산 홍직필의 양자가 되었다.《일성록》에 의하면, 1845년(헌종 11) 1월 3일에 초사로 가감역에 제수되었고 1848년(헌종 14)에 과천현감을 지냈다. 조

페이지 / 38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