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인물 > 예술인 13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인물 > 예술인
  • 박병천 / 朴秉千 [예술·체육/무용]

    해방 이후 중요무형문화재 제72호 「진도씻김굿」 전승자로 지정된 예능보유자.전통무용가. 1933년 전라남도 진도군 지산면 인지리에서 박범준과 김소심의 2남 3녀 중 넷째(차남)로 태어났다. 세습무가 출신인 대금명인 박종기(朴鍾基)의 손자다. 18세 때부터 판소리 명인

  • 박석기 / 朴錫基 [예술·체육/국악]

    1899년∼1952년. 거문고산조의 명인. 전라남도 옥과 출신. 일본 동경제국대학을 졸업하였으나 예술에 뜻을 두고 거문고산조의 창시자인 백낙준(白樂俊)에게서 거문고풍류와 거문고산조를 배워 명인(名人)이 되었다. 향리에 초당을 짓고 명인·명창들을 초빙하여 사범으로 삼고

  • 박시몬 / 박시몬 [예술·체육/무용]

    일제강점기 해삼위학생음악단의 일원으로 활동한 무용가. 러시아 해삼위(海參威,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출생했다. 러시아 원동대학(遠東大學)을 졸업했다.그는 1921년 4월 해삼위학생음악단의 일원으로 고국을 찾았다. 해삼위학생음악단은 1921년 4월 24일 원산을 통해 고국

  • 박영석 / 朴永錫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여항시인. 서울 순화방(順化坊) 누각동(樓閣洞 : 지금의 종로구 누상동·누하동 부근)에 살면서 학동들을 가르치고, 저보(邸報)를 필사해주는 것으로 생업을 삼았다고 한다. 가난에 개의하지 않고 단정한 풍모를 잃지 않아서 군자라 불리었다. 여항시인들의 시사(

  • 박외선 / 朴外仙 [예술·체육/무용]

    해방 이후 이화여자대학교 무용과 교수를 역임한 교육자.안무가. 일제 강점기 일본에 유학하여 정식 클래식 발레교육을 받은 최초의 조선인으로 한국인 최초로 일본 체육학교 무용교수이자 무용영화 안무가를 역임했다. 1960년대 미국의 마사 그레이엄(Martha Graham)

  • 배구자 / 裵龜子 [예술·체육/무용]

    일제강점기 배구자예술연구소를 설립하여 활동한 무용가. 서울 출생. 배구자는 구한말의 요화(妖花) 배정자(裵貞子)의 조카이며, 12세에 조선 공연에 온 쇼우교구사이덴까스(松旭齊天勝)의 덴까스곡예단(天勝曲藝團)에 입단하였다. 덴까스곡예단의 프로그램은 무용, 음악, 곡예,

  • 배명균 / 裵明均 [예술·체육/무용]

    해방 이후 우리나라 최초의 직업 안무가.연출가. 직업안무가 제1호로 함경남도 삼방(三防)에서 출생했다. 배병인과 남양 홍씨 부인의 3남 1녀 중 셋째로 태어났다. 삼방의 신고산 초등학교를 졸업한 후, 서울에서 중학교와 경성상고를 졸업했다. 경성상고 졸업 후 삼방으로 귀

  • 빙호당이씨 / 氷壺堂李氏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의 시인. 선조 때 종실(宗室) 숙천령(肅川令)의 부인으로 시문에 능하였다. 그의 절구는 몇 수 안 되나 주옥 같은 작품들이다. 그의 비를 읊은 시 “하늘에다 구슬을 매달아 드리웠고 땅위에 은방울 울리며 떨어지도다(玉索連天直 銀鈴落地圓).”의 「영우(咏雨)」와

  • 삼의당김씨 / 三宜堂金氏 [문학/구비문학]

    조선 후기의 여류시인. 본관은 김해(金海). 전라도 남원 서봉방(棲鳳坊)에서 태어나 같은해 같은날 출생이며 같은 마을에 살던 담락당(湛樂堂)하립과 혼인하였다. 삼의당김씨의 문집에 기록된 것처럼 남편 하립이 그 부인이 거처하는 집의 벽에 글씨와 그림을 가득히 붙이고 뜰에

  • 서상달 / 徐上達 [예술·체육/무용]

    해방 이후 중요무형문화재 제12호 「진주검무」의 전승자로 지정된 예능보유자. 경상남도 진주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살았다. 소학교를 졸업하고 장죽심(張竹心)에게 「진주검무」를 배웠다. 1967년 1월 중요무형문화재 제12호인 「진주검무」의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다. 후계자로

1 2 3 4 5 6 7 8 9 10 끝
페이지 / 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