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 전적 1,57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 전적
  • 헌릉대왕 행장 / 獻陵大王 行狀 [문학/고전산문]

    조선 태종(太宗)의 행장. 1422년(세종 4) 5월 10일 태종이 훙서(薨逝)하자, 동월 15일 형조판서 이발(李潑)과 좌군동지총제 이수(李隨)를 북경에 파견하여 부고하며 시호를 청했는데, 이때 이 행장을 가지고 갔다.

  • 현산문집 / 玄山文集 [문학/한문학]

    문인 이현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8년에 간행한 시문집. 7권 3책. 석인본. 저자는 학문과 강학에 평생을 바쳤다. 고문(古文)에 뛰어나 조긍섭(曺兢燮)·정인보(鄭寅普)와 당대에 어깨를 나란히 하였다. 이 책은 1968년 이성도(李聖道)가 편집하고 간행하였다. 『

  • 형암문략 / 荊庵文略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최소의 서(序)·기·인·잡저 등을 수록한 문집. 3권 1책. 필사본. 1868년(고종 5) 손자 성학(性學)이 유고를 정리하여 편집하였다. 『형암문략』의 권1은 분여고(焚餘藁)로 서(序) 2편, 기(記) 3편, 인(引) 1편, 제후(題後) 1편, 권2는

  • 혜전집 / 蕙田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문인 나헌용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7년에 간행한 시문집. 7권 7책. 석인본. 저자의 저술목록에 『과두미집 蝌蚪尾集』·『초미동집 焦尾桐集』·『목가산집 木假山集』·『교교재집 嘐嘐齋集』·『조선전사 朝鮮戰史』·『상다반잡저 常茶飯雜著』

  • 호곡시화 / 壺谷詩話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남용익이 선조들의 사적과 가계(家系)를 비롯하여 지내온 경력·시평·시화 등을 수록한 시화집. 『호곡시화』는 권1·2에서는 선조들의 사적 및 가계를 서술하고 자신의 지내온 경력을 말하였다. 권3의 첫머리에 「호곡만필하병서 壺谷漫筆下幷敍」라 하여 서문을

  • 호곡집 / 壺谷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신 남용익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영조 연간에 간행한 시문집.시문집. 18권 9책. 문집의 서문과 발문은 없지만, 작품을 시체와 문체별로 분류하여 수록하였다. 이 중에서 시는 권1부터 권13까지 실려 있다. 권1~4는 칠언율시, 권5·권6은 오언율시, 권7은

  • 홍릉지 / 弘陵誌 [역사/조선시대사]

    홍릉의 비지문(碑誌文) 및 홍릉 관련 기록이 실린 책. 《홍릉지(弘陵誌)》초록의 성격을 띤다. 영조가 지은 <홍릉지문(弘陵誌文)>·<서부홍릉재실(書付弘陵齋室)>과 정조가 지은 <정종대왕어제비문(正宗大王御製碑文)>이 있고, 다음에 홍릉과 관련된 정조와 영조의 전교가 있으

  • 홍릉축식 / 弘陵祝式 [역사/조선시대사]

    홍릉(弘陵)에 올리는 두 건의 축식(祝式)을 담은 책. 하나는 해마다 기일(忌日)에 지내는 기신제(忌晨祭)의 축식, 다른 하나는 정조(正朝), 한식, 단오, 추석, 동지, 납일 등 민속 명절에 지내는 속절제(俗節祭)의 축식이다. 축식은 축문의 기본 형식으로서, 제사하

  • 홍무정운역훈 권3~16 / 洪武正韻譯訓卷三~十六 [언어/언어/문자]

    한자음을 정확히 나타내기 위하여 편찬한 한글주음운서. 보물 제417호. 편찬목적은, 첫째 정확한 중국발음을 쉽게 습득하고, 둘째 속음의 현실성을 불가부지한 것으로 보고 이를 표시하였으며, 셋째 『홍무정운』을 중국표준음으로 정하고자 한 것이며, 넷째 세종의 어문정책 전

  • 홍현주시문고 / 洪顯周詩文稿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신 홍현주의 시문과 부인 숙선옹주의 글 등을 수록한 시문집. 25책. 필사본. 『홍현주시문고』 제1∼4책은 『해거재시집(海居齋詩集)』, 제5∼8책은 『해거재시초(海居齋詩鈔)』, 제9책은 『해거재시초이집(海居齋詩鈔二集)』, 제10책은 『해거재미정고(海居齋未定

페이지 / 157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