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기관단체 54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기관단체
  • 주한프랑스공사관 [정치·법제/외교]

    1889년 착공하여 1896년 완공. 공사는 플랑시와 프랑댕. 1888년 플랑시는 박동에 소재한 한옥을 프랑스공사관으로 임시 사용했다. 그후 1889년 플랑시는 정동의 러시아공사관과 인접한 지역에 새로 공사관부지를 선정했다. 프랑스공사관은 1896년 바로크 양식으로 완

  • 죽림고회 / 竹林高會 [문학/한문학]

    고려 무신정권 때 이인로(李仁老) 등이 중심이 되어 결성한 문인들의 모임. 이 시회(詩會)는 정중부(鄭仲夫)의 무신집권기에 이인로(李仁老)·임춘(林椿)·오세재(吳世才)·조통(趙通)·황보 항(皇甫沆)·함순(咸淳)·이담지(李湛之) 등 일곱 문인이 구성하였다. 중국 위(魏)

  • 중앙교육무용협회 / 中央敎育舞踊協會 [예술·체육/무용]

    1949년 초등교육 분야에서 무용을 독립교과로 활성화하기 위해 결성된 단체. 창작교육으로서 교육무용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조종식, 김태식(문교부 체육과장), 김신실(이화여대 체육과장), 서명환(이화여고 교감), 김보남(국악원), 권오국(경기여고 교사), 이인해(선명

  • 증산교 / 甑山敎 [종교·철학/신종교]

    1901년에 강일순이 창립한 신종교. 강일순은 1901년 전라북도 모악산에 있는 대원사에서 대각을 하고 중생을 건지기 위하여 이 세상에 내려왔다고 하였다. 강일순의 호가 증산이기에 교단들을 총칭해서 증산교라고 하며, 일제하에서는 훔치교라고도 하였다. 증산교 사상적 특징

  • 직하시사 / 稷下詩社 [문학/한문학]

    1853년(철종 4) 최경흠(崔景欽)과 유재건(劉在建) 등이 중심이 된 위항문인(委巷文人)들의 모임. 최경흠(崔景欽)·유재건(劉在建)·조희룡(趙熙龍)·이경민(李慶民)·박응모(朴膺模) 등이 함께 활동하였다. 당시는 이미 위항인들이 본격적으로 시사활동을 전개한 지 약 2세

  • 창극좌 / 唱劇座 [예술·체육/연극]

    1936년 2월 조선성악연구회 직속으로 조직되어, 본격적인 창극운동을 전개한 극단. 단원들은 오태석, 조상선, 정남희 등 남녀 중견급 창극인들이었다. 총지위는 이동백, 기획은 김용구가 담당했다. 1936년 4월 창립 공연으로 정정렬 편극인 <흥보전>을 서울 서대문에 있

  • 창무회 / 創舞會 [예술·체육/무용]

    한국 전통춤을 토대로 한 오늘의 한국춤을 창작, 모색한다는 취지아래 창단된 무용단. 1976년 12월 발족 당시 예술감독 김매자(金梅子)에 의하여 이화여대 무용과 출신의 제자 5명의 단원으로 출발하였으며, ‘한국성’이라는 민족족 특질과 시대적 인식을 바탕으로 춤 작가의

  • 창원시립무용단 / 昌原市立舞踊團 [예술·체육/무용]

    경상남도 창원시에 위치한 시립 한국무용단. 1984년 경남도립무용단으로 창단하여 경남지역 문화예술 발전을 위해 활동하다가 1987년 3월 창원시의 발전과 더불어 경남 유일의 시립무용단인 창원시립무용단으로 재창단되었다. 초대 상임안무자 김경애 이후, 제2대 이남주, 제3

  • 청계피복노동조합 / 淸溪被服勞組 [사회/사회구조]

    1970년 11월 전태일 분신 사건을 통해 결성된 대표적인 민주노조. 1970년 11월 13일전태일 분신 사건을 계기로 평화시장 노동자들은 전국연합노동조합 청계피복지부를 결성하였다. 노동조합의 핵심은 전태일의 동료와 전태일의 어머니 이소선이었고, 이들은 새마을노동교실ㆍ

  • 청주시립무용단 / 淸州 市立舞踊團 [예술·체육/무용]

    1995년 8월 창단된 청주시의 시립 한국무용단. 초대 윤승희 안무자에 이어 2대 박재희, 3대 박시종, 4대 김평호 예술 감독에 이르기까지 단원들의 기량향상과 우수단원 확보를 통해 국내 정상급 무용단으로서의 기틀을 확립했다. 2005년 「춤, 직지」로 전국문예회관연합

페이지 / 5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