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개념용어 1,896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개념용어
  • 서사무가 [문학/구비문학]

    소설이나 설화와 같이 줄거리를 갖춘 서사 양식에 속하는 무가. 서사무가의 기원은 고대 무속 제전에까지 소급된다. 영고(迎鼓)·동맹(東盟)·무천(儛天) 등과 같은 고대 제천의식이나 단군제(檀君祭)·동명제(東明祭)·혁거세제(赫居世祭)와 같은 국조제(國祖祭)는 고대의 무속

  • 서사민요 [문학/구비문학]

    이야기를 갖춘 민요. 서사민요는 서사시이지만 반드시 삼인칭 시점에서 전개되지 않고, 노래 부르는 사람이 주인공의 심정을 직접 토로하기도 한다. 서정적인 수법이 적지 않게 사용되어, 어느 한 부분만 들으면 서정민요와 비슷하다. 서사민요는 남녀 구별이 없이 부를 수 있지만

  • 서술어 / 敍述語 [언어/언어/문자]

    문장성분(文章成分)의 하나. 한 문장의 주어로 제시된 인물이나 사물에 대하여 그 동작·상태·성질·유개념을 설명하는 말로서, 주어와 함께 문장의 두 주요성분을 이룬다.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주술관계)를 가진 구성을 주술구성(主述構成)이라 하는데, 전통문법(傳統文法)의 ‘

  • 서양자 / 婿養子 [사회/가족]

    사위를 삼을 목적으로 입양시키는 양자. 양자와 마찬가지로 양부모와의 사이에 양친자관계(養親子關係)가 발생하지만, 서양자는 양친자관계의 발생 또는 소멸이 전적으로 혼인관계의 발생이나 소멸에 따르는 점에서 양자와 다르다. 그러나 입양의 무효나 취소 또는 파양(罷養)은 혼인

  • 서얼 / 庶孼 [사회/사회구조]

    첩의 자손. 봉작(封爵)의 대상은 애초부터 정처(正妻)에 제한되어 있어 첩에게는 해당되지 않으며, 그 위에 부인이 첩의 소생인 경우에도 봉작할 수 없다는 것이다.

  • 서연관 / 書筵官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 왕세자의 교육을 담당하던 관리들의 총칭. 고려시대의 서연관에 대해서는 그 직제만 겨우 알 수 있다. 또, 고려 말에 경연이 서연으로 격하됨에 따라, 서연관도 왕의 교육을 담당하던 관리들을 일컫는 말이 되었다. 서연관은 문과급제자 가운데서 학문과 덕망이

  • 서옥 / 壻屋 [사회/가족]

    삼국시대 고구려에서 딸이 시집으로 옮겨갈 때까지 사위가 머물게 하는 집. 서옥이라는 말이 처음 쓰인 것은 『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동이전(東夷傳)에서이다. 동이전의 고구려조에 “처음 말로써 혼인을 정하고 다음에 여자의 집 대옥(大屋) 뒤에 소옥(小屋)을 지어 서

  • 서원촌 / 書院村 [사회/촌락]

    조선시대 서원의 재정적·인적 기반이 되던 마을. 서원촌의 주민은 서원에서 청소와 심부름, 수직(守直), 제수(祭需) 마련, 유생공궤(儒生供饋) 등 원노(院奴)가 하는 잡역을 담당하였다. 법전상으로는 사액서원을 제외하면 서원촌 주민의 면역규정은 없지만, 서원은 향교의 예

  • 서학 / 西學 [역사/조선시대사]

    조선 선조 이후 중국에서 도입된 한역(漢譯) 서양 학술서적과 서양 과학기술문물과 이를 토대로 연구하던 학문. 조선서학이라고도 한다. 이 용어가 처음 사용된 것은 명말·청초의 중국에서 포교활동에 종사하던 예수회(耶蘇會, Society of Jesus) 소속의 카톨릭 선

  • 석가모니 / 釋迦牟尼 [종교·철학/불교]

    불교의 개조이름. 석가는 종족의 이름이다. 석가모니는 석자족 출신의 성자란 뜻이다. 중인도의 가비라의 성주 정반왕의 태자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마야부인이다. 석가의 생몰년대는 여러 이설이 있다. 중국, 한국 등 북방에서는 BCE 627년으로 불탄년을 기려왔다. 그러나

페이지 / 1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