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개념용어 > 개념 용어(일반) 1,89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개념용어 > 개념 용어(일반)
  • 정보통신산업 / 情報通信産業 [경제·산업/산업]

    정보의 생산·가공·처리·제공 등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통신기술을 이용하는 산업. 우리나라에서는 1983년 12월에 제정된 「공중전기통신사업법」을 통해 정보통신이란 용어가 처음 법률적으로 규정되었다. 동 법에서 정보통신은 “전기통신회선에 문자·부호·영상·음향 등 정

  • 정사품 / 正四品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7등급의 품계. 조선 건국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무산계를 제정할 때 문산계의 정4품 상계는 봉정대부, 하계는 봉렬대부로, 무산계의 정4품 상계는 위용장군, 하계는 위의장군이라고 하였다. 그런데 ≪경국대전≫에는 무산계의 위용장

  • 정삼품 / 正三品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5등급의 품계. 정3품 상계부터 당상관이라 하였고, 하계 이하를 당하관이라고 하였다. 조선 건국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와 무산계를 제정할 때 문산계의 정3품 상계는 통정대부, 하계는 통훈대부, 무산계 상계는 절충장군, 하계는

  • 정신대 / 挺身隊 [역사/근대사]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인이 자행한 강제인력수탈 중의 하나. 정신대는 어떤 목적을 위해 솔선해서 몸을 바치는 부대라는 뜻으로 일제가 전쟁을 위해 동원한 인력 조직이었다. 남녀 모두 그 대상이 되었는데, 농촌정신대·보도정신대·의료정신대·근로정신대 등이 있었다. 이 중에서 여

  • 정안 / 政案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 관원의 인사관리를 위하여 특별히 작성된 기록. 관원의 성명과 생년월일, 출사의 과정, 관원으로서의 경력, 사조 및 장인의 성명과 관직, 친가와 외가의 본향, 현재의 거주지는 물론이고 공적과 과실, 능력의 유무 등에 관한 사항이 모두 기록되었다. 따라서,

  • 정역 / 正易 [종교·철학/유학]

    조선 말기의 종교사상가 김항이 주창한 역학사상 스승은 이운규이다. 후일 동학과 ≪정역≫의 공통사상인 선후천개벽사상 형성의 기초가 되었다. 김항은 54세 되던 1879년에 ‘영동천심월’의 오묘한 의미를 파악하여 그것을 입도시에 표현해 놓고 있다. 1884년에 ≪정역≫의

  • 정오품 / 正五品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9등급의 품계.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와 무산계를 제정할 때, 문산계의 정5품 상계는 통덕랑, 하계는 통선랑으로, 무산계 상계는 충의교위, 하계는 현의교위로 정하였다.그런데 ≪경국대전≫에는 무산계 상계의 충의교위

  • 정육품 / 正六品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11등급의 품계.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무산계를 제정할 때, 정6품 문산계 상계는 승의랑, 하계는 승훈랑으로, 무산계 상계는 돈용교위·진용교위로 정하였다. 1443년(세종 25)에는 종친계의 상계와 하계를 집순랑·종순랑으로 신설하

  • 정음 / 正音 [언어/언어/문자]

    1934년에 창간되었던 조선어학연구회(朝鮮語學硏究會)의 기관지. 1941년에 제37호 발행으로 폐간되었다. 국어학사상 국어학 연구의 근대화 과정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문헌이다. 일제강점기하에서 1930년대 조선어학회(현 한글학회)의 기관지 ≪한글≫

  • 정이품 / 正二品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3등급의 품계.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의 품계인 정헌대부·자헌대부가 제정되었다. 종친계는 1443년(세종 25) 숭원대부·승헌대부가 신설되고, 의빈계는 1444년 7월 봉헌대부·통헌대부가 제정되어 ≪경국대전≫에

페이지 / 18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