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3,38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 가부장제 / 家父長制 [사회/사회구조]

    가장인 남성이 강력한 가장권을 가지고 가족구성원을 통솔하는 가족형태, 또는 가족구성원에 대한 가장의 지배를 뒷받침해 주는 사회체계를 일컫는 말. 이 가운데 앞의 정의는 가족을 단위로 한 것이고, 뒤의 정의는 가족을 둘러싼 전반적인 사회체계를 중심으로 한 것이다. 가부장

  • 가사제한 / 家舍制限 [예술·체육/건축]

    조선시대의 주택법규로, 가옥의 전체규모와 건물의 종류 및 구조부재의 크기, 장식과 색채 등 세부치장에 이르기까지 신분에 따라 허용범위를 제한하는 건축규제. 조선은 개국과 함께 한양으로 천도하면서, 한정된 규모의 도성내에 무분별한 건축행위를 규제하기 위하여 1395년(태

  • 가산향교 [교육/교육]

    평안북도 박천군(현재 운전군) 가산면 동문동 봉두산(鳳頭山) 기슭에 있는 향교. 창건연대는 미상이며,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 설립되었다. 노후한 건물을 이경린(李鏡麟) 등 지방유림의 공의로 중수하였다는 기록이 있으

  • 가서봉 / 哥舒棒 [정치·법제]

    조선 시대 왕이 타던 수레인 법가나 소가 등에 쓰이는 노부의 하나.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 왕이 참석하는 조회나 연회 및 왕의 행차 때에 동원되는 의장 기구의하나이다. 붉은 칠을 한 장대 위에 철사를 연결하여 동전 22개를 꿰어 놓은 뒤에 자주색 비단자루를 씌운 다

  • 가성덕 / 歌聖德 [문학/고전시가]

    1429년(세종 11) 예조에서 지은 경기체가. 내용은 조선의 창업과 이를 도운 명나라의 공덕을 읊은 것으로, 제1장은 천자가 천하를 통일하니 제후의 나라들이 모두 조공을 드려 온 천하가 한집을 이룩하였다는 내용이다. 제2장에서는 조선에 온 칙사의 의장과 관복을 바라보

  • 가승 / 家乘 [사회/가족]

    혈통적 근원 내지 내력을 직계조상을 중심으로 하여 밝힌 가계기록. 일반적으로는 작성자 자신이 속하는 씨족의 시조 또는 중시조를 기점으로 하여, 그로부터 자신에 이르기까지의 일직선상에 나타나는 역대 조상을 세대순으로 기록하였다. 이와 동시에 각 조상에 관하여 여러 가지

  • 가의녀 / 假醫女 [과학기술/의약학]

    조선 시대 부인들의 질병을 구호, 진료하는 여자 의원. 조선 시대에 간단한 의술을 익힌 뒤 내의원과 혜민서에 임시로 소속되어 궁녀들에게 침을 놓아주거나, 비빈들의 해산원에서 조산원 노릇 등의 심부름을 하였다. 이들은 때로 궁중의 크고 작은 잔치에서 기녀의 역할을 담당

  • 가의대부 / 嘉義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2품 상계 문관의 품계. 1522년 (중종 17) 가정대부에서 가의대부로 개칭되었는데, 이는 당시 명나라 세종이 새로 즉위하여 연호를 ‘가정(嘉靖)’으로 정하였기 때문에 이를 피해 고치게 된 것이다.

  • 가인의 / 假引儀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통례원 종9품의 임시관직. 정원은 6인, 대소 조회의 의전을 담당한 인의의 일을 같이하였다. 겸인의와 함께 중종 때 증치되었다. 가인의직에 있는 관리는 근무기간을 계산하지 않고 결원이 생기면 임용차례에 따라 겸인의에 승진되었고, 여기서 30개월을 더 근무하면 종

  • 가장 / 家長 [사회/가족]

    한 가족 또는 한 집안의 어른.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가족제도가 부계제였으므로, 가장은 대체로 한 가족에서 가장 항렬이 높은 남자로서 최연장자인 부(父) 또는 조부(祖父)를 가리키는 말로도 사용되어 왔다. 가장이라는 용어는 고려시대까지는 법령이나 법전에서 거의 사용되지

1 2 3 4 5 6 7 8 9 10 끝
페이지 / 33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