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최순탁 / 崔淳鐸 [역사/근대사]

    1892-1926. 독립운동가·사회운동가. 함경남도 함흥 출신. 1918년 함흥고등학교·함흥농업학교·영생중학교의 3·4학년 학생들로 구성된 함산학우회(咸山學友會)를 조직하였다. 이듬해 3·1운동이 일어나 함흥에 독립선언서가 전달되자, 함산학우회 동지들과 3월 3일 함흥

  • 최승일 / 崔承一 [예술·체육/연극]

    1901-미상. 일제 강점기 작가·연극인. 아호는 추곡(秋谷). 출생지는 서울이다. 부친 최준현(崔濬鉉)과 모친 박성녀(朴容子)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동생으로 고전무용가 최승희(崔承喜)가 있다. 일본 유학 시절부터 프로문학과 연극활동에 관심을 기울이던 중 19

  • 최시흥 / 崔時興 [역사/근대사]

    미상-1925. 독립운동가. 평안북도 의주 출신. 삭주에서 마부(馬夫)로 있다가 독립운동에 투신하였다. 3·1운동이 일어나자 최주천(崔柱天)·박응백(朴應伯) 등과 함께 천마산(天摩山)을 근거로 천마산대(天摩山隊)를 조직, 500여명의 청년을 규합하여 의주·구성·삭주·창

  • 최신선영사전 / 最新鮮英辭典 [언어/언어/문자]

    1928년 김동성(金東成)이 편찬한 한영사전. 조선어 표제어를 한글 자모순서(가~하)에 따라 배열한 후, 이에 대응하는 영어를 간단한 주석의 형식으로 배열한 사전으로 전체 1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사전은 한국인이 편찬한 최초의 한영이중어사전이라는 점과 한국어를 영어

  • 최여봉 / 崔汝鳳 [역사/근대사]

    1900-1970.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사회주의운동가. 다른 이름은 최여봉(崔如鳳)·최해봉(崔海鳳)이다. 본적은 경상남도 김해(金海)이다. 1926년 6월 김행청년회 발행의 벽신문 《청뢰(晴雷)》의 편집위원, 같은 해 12월 김해청년회 야학부위원직, 1927년 7

  • 최영걸 / 崔英傑 [역사/근대사]

    미상-1921. 독립운동가. 함경남도 온성 출신. 3·1운동이 일어나자 만주로 망명하여 대한군정서(大韓軍政署)에 가입, 활동하였다. 1920년 9월 노령(露領)으로 옮겨 그곳 시지미에 있는 강용궁(姜龍宮)의 집에서 김학섭(金學燮)·강병관(姜秉官)·최시능(崔時能)·문창학

  • 최영년 / 崔永年 [문학/한문학]

    일제강점기 국민신보 사장, 조선문의 주필 등을 역임한 언론인.친일반민족행위자. 신소설 『추월색(秋月色)』의 작가인 최찬식(崔瓚植)이 아들이다. 1897년 고향인 경기도 광주에 사립 시흥학교(時興學校)를 설립해서 신교육보급에 앞장섰다. 1904년 일진회(一進會)에 가입하

  • 최영하 / 崔榮夏 [정치·법제/외교]

    1854-?. 대한제국 외부협판. 철도원부총재. 1887년 3월 육영공원 사첨으로 관직생활을 시작하였다. 궁내부 시종원의 주임관 벼슬인 시종으로서 어복과 어물에 관한 일을 맡아보았다. 1899년 2월 농상공부협판으로 칙임관 3등에 서임되었고, 이후 외부협판과 한성부판윤

  • 최익현 / 崔益鉉 [정치·법제/정치]

    조선 말기의 애국지사(1833∼1906). 1868년에 흥선대원군의 실정을 상소하여 관직을 삭탈당하였다. 이후 일본과의 통상조약과 단발령에 반대하였다. 1905년 을사조약 체결 이후 항일의병운동 전개를 촉구하며 전북 태인에서 의병을 모았으나, 순창에서 패하여 쓰시마

  • 최일명 / 崔日明 [역사/근대사]

    1888-1976. 독립운동가. 평양 출신.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평양에서 만세시위운동을 주도하였다. 1920년에는 평양의 서성리교회에서 청년단을 조직하고 상해(上海)로부터 몰래 들어온 선우 혁(鮮于爀)과 함께 평안남도내에서 군자금을 거두어 상해로 전달하였다

페이지 / 3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