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고려 1,31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고려
  • 삼례업 / 三禮業 [교육/교육]

    고려시대 과거 가운데 잡업의 한 과. 시험방법은 첩경과 독경으로 치렀는데 ≪예기≫를 대경, ≪주례≫와 ≪의례 ≫를 소경으로 삼았다. 1136년(인종 14)에 제정된 학식에 빠진 것으로 보아 그에 앞서 폐지된 듯하다. 삼례업도 잡업의 다른 업과 같이 국자감시가 있어 일

  • 삼반봉직 / 三班奉職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액정국의 정9품 관직. 본래 송나라에서 시종무관의 최하위직이던 것으로, 고려에서는 남반의 관직이 되었다. 문종 관제에서의 전전승지가 1116년(예종 11)에 개칭되었다. 정원은 전전승지와 마찬가지로 8인이었을 것이다. 1308년(충렬왕 34) 액정국이 내알사

  • 삼반차사 / 三班差使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액정국의 남반 초입사직. 문종 관제에서의 상승내승지를 1116년(예종 11)에 개칭한 것이다. 이 개칭의 이유는 동반이나 서반에 비해 천시되던 남반의 관직에 승지라는 호칭이 어울리지 않았기 때문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1308년(충선왕 복위년) 액정국을

  • 삼반차직 / 三班借職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액정국의 남반 초입사직. 문종 관제에서의 전전부승지를 1116년(예종 11)에 개칭한 것이다. 이 개칭의 이유는 동반이나 서반에 비하여 천시되던 남반의 관직에 승지라는 호칭이 어울리지 않았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그 명칭은 송나라의 근시제도인 사신제를 모방한

  • 삼반차차 / 三班借差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액정국의 남반의 초입사직 가운데 최하위직. 문종 관제에서의 상승부내승지를 1116년(예종 11)에 개칭한 것이다. 이 개칭의 이유는 전전승지·상승내승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반이나 서반에 비해 천시되던 남반의 관직에 승지라는 호칭이 어울리지 않았기 때문인 것

  • 삼별초 / 三別抄 [정치·법제/국방]

    고려시대 경찰 및 전투의 임무를 수행한 부대의 명칭. 최씨 정권의 사병으로 좌별초·우별초·신의군을 말한다. 그것이 경찰·전투 등 공적 임무를 수행했으므로 공적인 군대에 준하는 것이다. 최우(崔瑀) 집권기에 나라 안에 도둑이 들끓자 용사를 모아 매일 밤에 순찰, 단속하

  • 삼전업 / 三傳業 [교육/교육]

    고려시대 과거 가운데 잡업의 한 과. 시험과목은 춘추삼전이 출제되었으며, ≪좌전≫을 대경으로, ≪공양전≫·≪곡량전 ≫을 소경으로 삼았다. 인종 때 제정된 학식에 빠진 것으로 보아 그에 앞서 폐지된 듯하나, ≪고려사≫ 선거지에는 극소수의 급제자가 수록되어 있다.

  • 삼존불 / 三尊佛 [종교·철학/불교]

    본존불과 좌우 양편에 모시고 있는 불보살을 함께 일컫는 말. 우리나라의 사찰 전각 안에는 대부분 주불이 좌우부처를 거느린 삼존불로 봉안되어 있다. 모든 본존불과 협시보살과의 관계는 본존불의 권능을 협시보살이 대변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삼존불로는 아미타불과 관세음보살,

  • 삼주호부 / 三珠虎符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에 사용된 부절 이름. 부절은 군사를 발동할 때 사용하는 신표인데, 삼주호부는 호랑이 모양의 삼주부를 말한다. 삼주부는 원에서 사용하던 철·금·은에 옥으로 장식을 한 3종의 부절을 일컫는 것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원 간섭기에 원에 사행을 간 신하들이 원으로부터

  • 삼중대광 / 三重大匡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정1품 문관의 품계. 1308년(충렬왕 34) 충선왕이 복위하여 개정할 때 신설하였다. 종전 종1품계가 최고등급이었는데 이 때 처음으로 정1품계가 설치된 것이다. 삼중대광은 중국으로부터 문산계제를 도입하기 전에 이미 고려왕조가 채택하고 있던 초기의 관계에서도

페이지 / 13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