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고려 1,31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고려
  • 조운흘 / 趙云仡 [문학/한문학]

    고려후기 밀직제학, 서해도관찰사, 첨서밀직사사 등을 역임한 관리.문신. 1357년(공민왕 6) 문과에 급제해 안동서기(安東書記)가 되었다. 합문사인(閤門舍人)을 거쳐서 1361년형부원외랑에 올랐다. 홍건적의 침입으로 말미암아 남쪽으로 피난하던 왕을 호종해 1363년에

  • 조인규 / 趙仁規 [종교·철학/유학]

    1237(고종 24)∼1308(충렬왕 34). 고려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조영이다. 평양부 상원의 미미한 가문 출생이었으나 몽고어 통역관으로 출세해 충선왕의 장인이 되었으며 권문세가의 반열에 올랐다. 그의 아들은 조서, 조련, 조연수, 조위 등인데, 모두 재상의 지위

  • 졸고천백 / 拙藁千百 [문학/한문학]

    고려후기 문신 최해의 서(序)·기·후제·행장 등을 수록한 문집. 『졸고천백』에는 45편의 산문이 시대순으로 수록되어 있다. 권1은 서(序) 6편, 기(記) 4편, 후제(後題) 2편, 발 1편, 묘지 3편, 묘지명 4편, 문책(問策) 1편, 권2는 서 5편, 묘지 9편,

  • 종묘서 / 宗廟署 [정치·법제/법제·행정]

    왕실 능원의 정자각과 종묘를 수호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 처음 설치는 고려 문종 때로서, 처음에는 영 1인, 승 2인을 두었다. 충렬왕 때 침원서로 개칭, 전의시에 속하면서 승 1인이 줄었다. 공민왕 때 대묘서로 개칭되면서 주부 1인을 증원하였고, 다시 능원서로

  • 종정시 / 宗正寺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왕실의 보첩을 관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서. 1298년 충선왕이 7개월간 왕위에 있으면서 종정시로 개칭, 1310년(충선왕 2)에는 종부시(宗簿寺), 1356년(공민왕 5)과 1369년에 실시한 관제개혁에 의해 구제도 회복 그러나 전중성만은 복고되지 못하고

  • 좌별초 / 左別抄 [정치·법제/국방]

    고려 무신정권기에 설치되었던 사병. 최이(崔怡) 집권기에 도둑 소탕을 목적으로 만들어졌던 야별초의 수가 점차 많아지자 후에 좌·우별초로 분리되었다. 여기에 대몽항쟁 과정에서 포로로 잡혀갔다가 도망해 온 자들로 편성된 신의군(神義軍)을 합하여 흔히 삼별초라 불렀는데,

  • 좌보간 / 左補諫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중기 중서문하성의 정6품 관직. 정원은 1인. 고려 전기의 좌보궐(左補闕)이 예종 때 좌사간(左司諫)으로 고쳐졌다가 뒤에 다시 개칭된 것이다. 중서문하성의 낭사를 구성하는 간관으로서 간쟁·봉박 등에 참여하였다. 1298년(충렬왕 24) 다시 좌사간으로 개칭되었으

  • 좌복야 / 左僕射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상서성의 정2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995년(성종 14)에 상서성이 설치되면서 처음 두었고 문종 때 품계와 정원이 정하여졌다. 우복야 및 정3품의 6부 상서와 한묶음이 되어 8좌(座)라 통칭되었다. 1275년(충렬왕 1) 상서성의 혁파와 함께 폐지, 1

  • 좌부대언 / 左副代言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왕명의 출납 및 숙위·군기의 정사를 관장하던 밀직사의 정3품 관직. 1310년(충선왕 2) 좌부승선의 후신인 좌부승지를 개칭한 것이다. 1356년(공민왕 5) 좌부승선, 1362년 좌부대언, 1369년 좌부승선, 뒤에 다시 좌부대언으로 개칭되었다. 조선이 건

  • 좌찬선대부 / 左贊善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전기의 정5품 동궁관. 정원은 1인이다. 1068년(문종 22) 처음으로 설치되었으며, 그 뒤 1098년(숙종 3)과 1116년(예종 11)에도 태자관속(太子官屬)이 갖추어지면서 설치되었다. 그러나 1131년(인종 9)에 동궁관으로서 첨사부(詹事府)가 두어질 때

페이지 / 13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