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고려 1,31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고려
  • 건통7년명종 / 乾統七年銘鐘 [예술·체육/공예]

    고려시대의 종. 1107년(예종 2) 제작. 총고 47.7cm. 일본 동경국립박물관 소장. 다른 종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검은 색조를 띠고 있음은 주석(朱錫)의 함량이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 용뉴(龍鈕)의 입은 천판(天板)에서 약간 떨어져 보주를 물고 있으며, 목은 다른

  • 검토관 / 檢討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경연의 종6품 관직. 고려 공양왕 때 처음 나타난다. 당시에는 4품 이하의 관원이 겸했던 것 같으며, 1392년(태조 1) 7월에 관제를 새로 정할 때 정5품에 2인을 두었다. 세종 때에는 집현전의 5품관 1, 2인을 임명하고 성종 이후에는 홍문관의 6품관을

  • 격안지곡 / 格安之曲 [예술·체육/국악]

    고려시대 제례의식에서 연주된 아악곡. 선잠(先蠶)의 신을 맞아들이는 영신절차 때 헌가(軒架)에서 연주되었는데, 이때 연주된 악곡은 고선을 중심음으로 삼은 고선궁(姑洗宮)이었다. 명칭만『고려사』예지(禮志)와 악지(樂志)에 전할 뿐,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어떠한 악곡인지

  • 결기궁 / 結綺宮 [문학/한문학]

    고려 중기에 김부식(金富軾)이 지은 한시. 오언고시로 『동문선』 권4에 전한다. 서경천도(西京遷都)와 대화궁(大花宮)의 창건을 풍자한 뜻이 함축되어 있다. 서경천도와 대화궁 창건계획은 묘청(妙淸)의 음모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묘청은 서경의 임원역(林原驛)에 대화세

  • 겸압원 / 兼押院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어서원의 관직. 비서성에 딸린 관청으로, 궁내의 도서를 맡아보던 왕실도서관인 어서원에 2인이 배치되었다.

  • 경기우도 / 京畿右道 [지리/인문지리]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경기도를 분할하여 설치하였던 행정구역. ‘기(畿)’는 중국의 주나라에서 왕성을 중심으로 500리 이내의 땅을 뜻하였으며, 서울을 에워싼 문지방이라는 뜻이다. 1018년(현종 9) 정주ㆍ송림ㆍ임진ㆍ토산ㆍ임강ㆍ적성ㆍ파평ㆍ마전 등 여러 고을을 상서도성(

  • 경기좌도 / 京畿左道 [지리/인문지리]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경기도를 분할하여 설치하였던 행정구역. ‘기(畿)’는 중국의 주나라에서 왕성을 중심으로 500리 이내의 땅을 뜻하였으며, 서울을 에워싼 문지방이라는 뜻이다. 1018년(현종 9)정주ㆍ송림ㆍ임진ㆍ토산ㆍ임강ㆍ적성ㆍ파평ㆍ마전 등 여러 고을을 상서도성(尙

  • 경기체가 / 景幾體歌 [문학/고전시가]

    고려시대 장가(長歌)의 한 형태. 고려 고종 때부터 조선 선조 때까지 약 350년간 계속된 시가형태이다. 대부분 ‘경(景)긔엇더니잇고’ 또는 ‘경기하여(景幾何如)’라는 구절이 제4·6구에 있어서 붙여진 장르상의 명칭이다.

  • 경렴정집 / 景濂亭集 [종교·철학/유학]

    고려후기 문신 탁광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0년에 간행한 시문집. 5권 1책. 목활자본. 1850년(철종 1) 후손 문규(文奎)·운한(雲翰) 등에 의해 간행되었다. 박기수(朴綺壽)의 서문과 권말에 19세손인 운한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 도서에 있다

  • 경률이상 / 經律異相 [종교·철학/불교]

    6세기 초 양나라의 보창·승민 등이 여러 경전 중에서 불교의 습득에 필요한 내용을 모아 엮은 사전. 『경률이상(經律異相)』은 ‘불교의 경(經)과 율(律) 속에 산견하고 있는 특이한 사항[異相]을 채록했다’는 의미로 일종의 백과사전이다. 양(梁)나라 무제(武帝)의 명령에

1 2 3 4 5 6 7 8 9 10 끝
페이지 / 13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