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고대 1,19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고대
  • 유우중문 / 遺于仲文 [문학/한문학]

    고구려 영양왕 때 을지문덕(乙支文德)이 지은 한시. 을지문덕이 수나라 장군 우중문(于仲文)에게 준 오언 고체의 단형시(短形詩)이다. 『삼국사기』을지문덕전에 이 시의 제작경위가 기록되어 있으며, 제목은 후대에 붙여진 것이므로 ‘여수장우중문(與隋將于仲文)’ 또는 ‘유수장우

  • 육조단경 / 六祖壇經 [종교·철학/불교]

    혜능이 쓴 저서. 혜능은 중국 선종의 법맥을 이어받았다. 중국 선종은 달마를 초조로 삼고 6대조인 혜능에게로 전해졌다. 이 육조단경은 선정의 본질로서 견성성불과 돈오를 강조하고 남종선의 관점에서 신수를 조사로 하는 북종선의 점수의 수행법을 비판한다. 여기서 돈오는 순간

  • 은곡 / 殷谷 [지리/인문지리]

    평안남도 순천지역의 옛 지명. 본래 고구려의 땅이었는데, 당나라의 영토가 된 뒤에는 오랫동안 황폐한 지역으로 남아 있었다. 고려 초에는 흥덕진(興德鎭, 또는 同昌)이 설치되어 고려의 국경을 방어하는 군사기지가 되었다. 983년(성종 2)에 은주방어사(殷州防禦使)라고 하

  • 은산 / 殷山 [지리/인문지리]

    평안남도 순천 지역의 옛 지명. 본래 고구려의 은곡현(殷谷縣)이었는데, 당나라의 영토가 된 뒤에 오랫동안 황폐한 지역으로 남아 있다가 고려 초에 흥덕군(興德郡, 또는 同昌郡)이 설치되어 고려의 국경을 방어하는 군사기지가 되었다. 983년(성종 2)에 은주(殷州)라 하고

  • 은진 / 恩津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논산 지역의 옛 지명. 은진이라는 지명은 덕은(德恩)과 시진(市津)의 두 현이 합쳐서 생긴 것이다. 덕은군은 본래 백제의 덕근군(德近郡)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때덕은(德殷, 고려 초부터는 덕은으로 표기함)으로 고쳤다. 시진현은 본래 백제의 가지내(加知奈, 또는

  • 은풍 / 殷豊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영주 지역의 옛 지명. 신라의 적아현(赤牙縣)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 은정(殷正)으로 고쳐 예천군(醴泉郡)의 영현(領縣)으로 하였다. 940년(태조 23) 은풍으로 바꾸었고, 1018년(현종 9) 안동부(安東府)에 속하였다가, 1390년(공양왕 2)

  • 음부경 / 陰符經 [종교·철학/도교]

    중국 고대 도가류의 병법서. 황제가 1권으로 지었다고 한다. 병가에 속하는 <주서음부>와 도가에 속하는 <황제음부>의 두 가지가 있었으나 현전하는 것은 후자뿐이다. 총 447자의 단문으로 되어 있다. 내용은 <신선포일연도><부국안민연법><강병전승연술>의 3장으로 되어

  • 음죽 / 陰竹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이천 지역의 옛 지명. 본래 고구려의 노음죽현(奴音竹縣)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때 음죽으로 고쳐 개산군(介山郡)의 영현으로 삼았다. 1018년(현종 9) 충주로 이관시키고 뒤에 감무를 두었다. 1413년(태종 13) 음죽현(陰竹縣)으로 고치고 현감을 두어 충청도

  • 음즙벌국 / 音汁伐國 [지리/인문지리]

    신라 초기에 복속된 주변에 있던 소국. 지금의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지역에 있었던 것으로 비정된다. 이 지역은 신라시대에는 퇴화군(退化郡) 음즙화현(音汁火縣)이 두어졌던 곳이다.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의하면 파사이사금 23년(108) 8월에 음즙벌국이 실직곡국(悉直谷國

  • 음즙화 / 音汁火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경주 지역의 옛 지명. 본래 음즙벌국(音汁伐國)이었는데, 신라의 파사왕이 취하여 음즙화현을 설치하였으며 뒤에 안강현(安康縣)에 합속시켰다. 안강현은 신라 경덕왕 때 의창군(義昌郡)의 영현이었는데, 1018년(현종 9) 경주에 속하게 하였다. 1390년(공양왕

페이지 / 12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