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활재집 / 活齋集 [종교·철학/유학]

    이구의 문집. 목판본, 서: 권두경, 발: 이유, 채헌징, 7권 4책. 권 1에는 시.부.소, 권2에는 서와 잡저, 권3에는 잡저,권4에는 잡저.서.발, 권5와 6에는 간사잉어, 권7에는 잠.명.제문.행장이 수록되어 있다. 부록에는 행장과 묘갈명, 상제례 때 문중과 지

  • 황경원 / 黃景源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예학자(1709∼1787). 1740년 증광문과 병과급제 후 이조참판 겸 대제학·예조판서·공조판서·중추부판사 등을 지냈다. 서예에 능하고, 예학에 정통, 고문에도 밝았다. 저서로《남명서》·《명조배신전》등이 있다.

  • 황계희 / 黃啓熙 [종교·철학/유학]

    1727년(영조 3)∼1785년(정조 9). 조선 후기 학자. 부친 황도중과 모친 이만헌의 딸사이에서 2남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형은 황서희이다. 이상정의 문인이다. 17세에 부친상을 당하고 난 후부터는 더욱 학문에 정진하여 능통하지 않은 학문이 없었다. 특히《대학

  • 황고집 / 黃皐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신수이 시문집. 1845년(헌종 11) 후손들이 편집·간행. 권두에 홍직필의 서문이 있다. 8권 3책. 목활자본. 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2에 시 142수, 권3에 서 13편, 권4에 서 24편, 권5에 서 3편,

  • 황곡 / 黃斛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1∼?). 1765년(영조 41) 식년사마시 생원 3등으로 합격했다. 관학에 있을 때《소학》교육의 진흥책을 청하는 글을 올렸다. 이학의 깨달음이 깊어〈태극이기〉를 짓고, 혼천의를 만들었다.

  • 황구하 / 黃龜河 [종교·철학/유학]

    1672(현종 13)∼1728(영조 4). 조선 후기의 문신. 형 증손, 할아버지는 신구, 아버지는 건, 어머니는 이문행의 딸이다. 1705년(숙종 31)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 좌부빈객, 호조판서, 동지경연사, 한성부판윤, 예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 황국주 / 黃國柱 [종교·철학/신종교]

    항일기의 종교운동가(?-?). 도덕적 완전주의를 주장하였으며 신비주의적 영체교환의 교리를 가르쳤다. 1933년 신앙과 사상을 포교하기 위해 《영계》라는 잡지를 간행하였으나, 1933년 평안도의 안주 노회로부터 이단으로 정죄 받았다.

  • 황기천 / 黃基天 [종교·철학/유학]

    1760년(영조 36)∼1821년(순조 21). 증조부는 황유사, 조부는 황채, 생부는 황인조, 부는 황인영, 외조부는 민백복, 형은 황기성이다. 1794년(정조 18) 갑인 정시 병과 17위 문과에 급제하였다. 이조정랑, 종부시정, 장령 등을 역임하였다. 문장에 뛰

  • 황난선 / 黃蘭善 [종교·철학/유학]

    1825년(순조 25)∼1908년(융희 2). 조선 말기 학자. 부친 황인로와 모친 손회경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유치명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교유한 인물로는 강직‧김도화‧김흥락‧이돈우‧정민병 등이 있다. 옥동서원에서 후학들을 양성하고 향음주례를 펼치며 친목을 도모하

  • 황도연 / 黃道淵 [종교·철학/유학]

    1857년(철종 8)∼1913년. 아버지 수극, 어머니 안동권씨이다. 박우현에게 수업하여 식견이 날로 발전하였다. 그 사이 과거 공부에 종사했지만 여러 차례 실패한 뒤에는 관직의 꿈을 접었다. 김흥락을 찾아가 가르침을 구하였다. 어버이를 모시고 조상을 받드는일, 빈객

페이지 / 42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