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이현보 / 李賢輔 [종교·철학/유학]

    1467(세조 13)∼1555(명종 10). 조선 중기의 문신·문인. 아버지는 흠이다. 홍귀달의 문인이다. 1498년(연산군 4)식년문과에 급제, 예문관검열·춘추관기사관·예문관봉교 등을 거쳐, 1504년(연산군 10) 38세 때 사간원정언이 됐다. 이때에 서연관의 비행

  • 이현석 / 李玄錫 [종교·철학/유학]

    1647(인조 25)∼1703(숙종 29). 조선 후기의 문신. 수광 증손, 할아버지는 성구, 아버지는 상규, 어머니는 강대수의 딸이다.1675년(숙종 1)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 한성부판윤, 우참찬, 형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명사강목』24권,『역의규반』1

  • 이현익 / 李顯益 [종교·철학/유학]

    1678년(숙종 4)∼1716년(숙종 42). 조선 후기 문신. 이여 후손, 증조는 이형, 조부는 이시휘이다. 부친 이홍과 모친 박선의 딸사이에서 3남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형 이현정과 동생 이현태가 있다. 익위사세마·왕자사부·종부시주부·공조좌랑·진안현감 등을 역임

  • 이현일 / 李玄逸 [종교·철학/유학]

    1627-1704. 조선 숙종때의 성리학자. 퇴계학파 중 호파의 학통을 이어 받았다. 이황 학설에 대한 율곡학파의 비판에 대해 역비판을 가했다. <율곡이씨사단칠정서변>은 이이의 인심도심설과 기발이승일도설을 철저히 비판한 글이다. 저서에 <갈암집>이 있다.

  • 이현정 / 李顯靖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1∼1789). 영조 때 증광문과에 급제, 정조 때 교리가 되어 왕에게 많은 소를 올려 자신의 주장을 정책으로 펴는 데 노력하였다. 특히 언로를 개방할 것을 주장했고, 당시 펼쳐야 할 정책사항 여섯가지를 상소로 올렸으며, 조세에 대한 대안을 제

  • 이현조 / 李玄祚 [종교·철학/유학]

    1654(효종 5)∼1710(숙종 36).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태종의 후손, 아버지는 석규, 어머니는 민성복의 딸이다. 큰아버지 동규에게 수학하였다. 1682년 증광시에 을과로 급제, 검열, 대교, 경상도도사, 경기도도사, 사간원정언, 홍문관수찬, 이조좌랑, 대

  • 이현직 / 李顯稷 [종교·철학/유학]

    1797년(정조 21)∼미상. 조선 후기의 무신. 이격 아들, 이학영의 아버지이다. 1846년(헌종 12) 경상좌도수군절도사·전라도병마절도사, 1854년(철종 5) 삼도수군통제사·함경북도병마절도사, 1865년(고종 2) 총융사, 이듬해 어영대장과 공조판서를 역임하였다

  • 이협 / 李浹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 허목·홍우원의 문인이다. 1689년(숙종 15) 생원시 장원을 거쳐 진사시에 합격했다. 같은 해 유생으로 대사헌 이현일의 유임을 청하는 상소를 올렸다. 벼슬은 사옹원봉사에 그쳤다.

  • 이형남 / 李亨男 [종교·철학/유학]

    1556(명종 11)∼1627(인조 5). 임진왜란 때 의병. 아버지는 제, 어머니는 남욱의 딸이다. 이황·권대기의 문인이다. 1592년 왜란이 일어나자 순국의 뜻을 품고 임하현에서 의병을 모집하였다. 1600년 경릉참봉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저서로는『송계문

  • 이형상 / 李衡祥 [종교·철학/유학]

    1653(효종 4)∼1733(영조 9). 조선 후기의 문신. 효령대군의 10대손, 사민 증손, 할아버지는 장형, 아버지는 주하이다. 1680년(숙종 6)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호조좌랑, 성주목사, 동래부사, 제주목사, 영광군수, 경주부윤 등을 역임하였다.

페이지 / 428 go